본문 바로가기
코리아 둘레길/서해랑길(2024진)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원인재~선학역)걷기

by 山頂 2025. 1. 28.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인력개발원~선학역)걷기

 

▣ 트래킹 일시 : 2025년01월26일. 일 . 날씨 : 맑음

▣ 트래킹 참여 : 나홀로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거리및 QR위치

    <주요지점및 거리> = 12.7km

     남동체육관입구-4.0km-오봉산-5.2km-인력개발원-3.5km-선학역

    <QR위치>

    - 시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수산동 595-24(장수천교2교 아래 다리 서측)

    - 종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선학동 406-9(선학역3번출구)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교통편

    <시점교통>

      - 송내역 남부 버스정류장에서 시내버스 16-1, 103-1 탑승

      - 약20여분후 '수산동' 버스 정류장 하차

    <종점교통>

      - 선학역에서 인천1호선 전철 → 부평역에서 국철1호선 환승 → 중동역 하차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트래킹 기록

    - 두루누비따라가기 기록 : 12.78km/ 02시간58분(08:27~11:25)

    - 오록스맵 기록 : 12.77km / 2시간58분(08:27~11:25)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록스맵 트랙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3번출구)산정__20250126_0827.gpx
0.18MB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지도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선학역)트레킹 메모

 

설 명절 연휴가 시작되는 어제 서해랑길50코스(동진대교동단~부안군청)를 

걸었는데 거리가 비교적 짧은 약12km정도라 3시간도 안걸려 트레킹을 마쳤고

평소보다 일찍 귀가하는 차안에서 설 명절 연휴기간을 어떻게 보낼지를 고민하다가

긴 연휴 기간중에 그간 걷지 못했던 인천광역시 지역의 서해랑길을 걸어야겠다는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설명절 전날 부터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고  폭설이

예상된다고 하여 날씨의 변동이 없는 일요일에 트레킹을 하려고 계획을 짜다 보니

연속 걷기를 하여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 같은 서해랑길94코스가 맘에 든다.

서해랑길94코스는 집에서 가까운 인천광역시 남동체육관에서 시작하여

인천지하철1호선 선학역까지로 거리가 약12km정도 되어 아침에 일찍 시작한다면

오전중에 트레킹을 마치고 오후에는 편안히 휴식을 갖을 수 있을 듯 하다.

집에 도착후에 잠시 낼 아침에 서해랑길 94코스의 시작지점으로 가는 교통편을

확인하고 핸드폰에 06시에 알람을 설정해놓고 달콤한 잠자리에 들었다. 

아침6시에 알람소리에 잠에서 깨어나 트레킹 준비를 하고 아침을 먹고 났는데

날씨가 흐린 탓인지...7시가 넘었는데도 창밖이 아직도 어둑한 느낌이다.

잠시 기다려 07:40분에 집을 나서 중동역에서 전철을 이용해 송내역에 내려

송내남부역으로 나가 '어부의 밥상' 음식점앞 송내남부역 정류장에 닿고

약5분정도 기다리니 남동구청 방향으로 가는 103-1번 버스가 도착합니다.

송내남부역 앞에서 103-1버스를 타고 20여분후 '수산동' 버스정류장에 내려

정류장 옆의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의 제2경인고속도로 밑을 지나자 마자

우측으로 휘어져 좌측의 남동체육관을 보며 서해랑길94코스 시점으로 갑니다.

08:27   남동체육관 뒤에서 제2경인고속도로의 장수천2교 아래의

서해랑길94코스 안내판이 있는 곳에 닿고 걷기를 시작합니다.

서해랑길94코스 안내판옆에는 이정표가 서 있는데

오늘 걸어갈 방향은 좌측의 소래장미길(반환점)방향이고

장수천을 건너는 소래습지생태공원은 다음코스에 걷게 될 방향이다.

 서해랑길94코스 시점에서 좌측의 제2경인고속도로 장수천2교 아래를 지나면

좌측에 장수천을 두고 세멘트 포장의 개천변길을 따라 걷습니다.

 서해랑길 걷기를 시작하여 약10분쯤 걸으면 장수천변길 좌측의

영동고속도로의 장수천3교 아래로 서해랑길이 휘어져 갑니다.

장수천3교 아래를 지나나오면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가 줄지어 서있는

세멘트 포장 도로를 따라 우측에 영동고속도로를 보면서 걷게 됩니다.

걷는길 우측의 논에는 무리지어 먹이를 찾는 철새들이 보이네요

서해랑길은 좌측에 장수천을 두고 인천 남동구 도림동 지역을 지납니다.

08:44   도림동의 농가2채가 있는 곳을 지나면 농로 삼거리에 닿는데

우측은 영동고속도로위에 설치된 '도림교' 방향이고

서해랑길은 좌측의 드론교육센타 방향으로 휘어져 갑니다.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장수천변길을 따라 '도림고가교'아래를 지납니다.

좌측편 서해로 흘러드는 장수천에 새들이 먹이를 찾는 모습이 보이네요

장수천(長壽川)인천광역시의 남동구 장수동 인천대공원이 위치한 

관모산에서 발원하여 수산동에서 만수천과 합류한후 황해로 유입된다.

『여지도서』와 『대동지지』, 『대동여지도』에는 사천(蛇川)이라 표기 하였고

장수(長壽)라는 지명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처음 등장하였으므로

장수천은 그 이후에 명명된 하천일 것이다. 새롭게 등장한 장수리(長壽里)의

지명은 장자리(壯者里)와 수현리(水峴里)의 앞 글자를 따서 합친 것인데

한자는 다른 뜻의 같은 음으로 바꾸어버렸다. 특히 '수(壽)'라는 한자는

'학(鶴)'과 함께 일본인이 선호하는 글자이다. 상류에는 인천대공원안에 조성된

 저수지가 위치하고 제2경인고속도로 서창분기점 부근에서 만수천과

합류하며 하류에 있는 소래포구에서 서해로 흘러든다.

장수천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영동고속도로 방향으로 갑니다.

농막을 지나 이동통신시설물이 있는 곳으로 올라 영동고속도로를 건너게 됩니다.

08:51    영동고속도로위의 '도림2육교'를 건넙니다.

도림2육교를 건너면 임도를 따라 오봉산 자락의 야산을 넘어갑니다.

야산을 넘어가면 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동의 

'해보소 농장'앞을 지나 도림초등학교 방향으로 갑니다.

도림초등학교 건너편의 오봉산 오르는 입구에 닿습니다.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오봉산을 향해 오르는 입구 풍경

오봉산 생태탐방로 안내판에서 오늘 지나게 될 등로를 확인해 봅니다.

초록색의 철망울타리가 있는 곳을 지나고

오봉산 급경사 등로 직전의 쉼터가 조성되어 있는 곳에 닿고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긴급구조목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오봉산 1봉으로 오르는 등로 풍경

우측으로 휘어진 등로는 가파른 계단길을 오릅니다.

계단길 끝에서 데크전망대가 만들어져 있는

오봉산의 1봉(×103.3m)에 도착합니다.

오봉산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동과 논현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5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으며 주봉은 제3봉(▲106.1m)입니다.

오봉산1봉(×103.4m)표지판

오봉산에서 바라본 주변 풍경이 사진과 같다는데....

현재는 나무가 많이 자라있고 날씨 마저 좋치 않아 이렇게 보이네요

오봉산 1봉에서 524m 거리에 있는 오봉산 2봉으로 향합니다.

1봉에서 등로를 내려서면 약수터 갈림길 안부에 닿고 직진의 2봉으로 향합니다.

오봉산 2봉으로 오르는 등로 풍경

오봉산 2봉과 마주하고 있는 돌탑봉을 오르고

09:20    긴나무의자가 4개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봉산 2봉(×96m)에 닿습니다.

정상부에 있는 이정표에 2봉 표시가 되어 있네요

194m거리에 있는 오봉산 3봉으로 향합니다.

급경사의 소나무숲의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급경사의 등로를 오릅니다.

 09:24   긴나무의자와 외기둥의 정자가 있는

오봉산의 주봉인 오봉산 3봉(▲106.1m)에 닿습니다.

오봉산 3봉(▲106.1m)의 삼각점

의자밑에 자리하고 있어 찾는데 어려움이 있네요

오봉산 3봉에서 123m거리에 있는 오봉산4봉으로 향합니다.

오봉산 3봉에서 4봉으로 가는 등로는 완만하게 이어집니다.

오봉산 4봉 정상부에는 커다란 돌무더기탑이 있네요

오봉산 4봉 표시판과 이정목

오봉산의 마지막봉인 5봉이 191m의 거리에 있네요

오봉산 5봉으로 오르는 길에 갈림삼거리를 만나는데....

서해랑길은 5봉으로 오르지 않고, 이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가지만

오봉산 5봉을 다녀온 후에 서해랑길을 이어가려고 합니다.

갈림길 삼거리에서 직진으로 약2분쯤 오르면

원형의 데크전망쉼터가 조성되어 있는 5봉(×103m) 정상에 닿습니다.

09:32   오봉산 5봉 정상의 나무에는 시계가 하나 걸려 있네요

오봉산 5봉에서 되돌아 내려와 갈림길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급경사등로를 내려서면 삼거리에서 좌측으로는 논현동으로 가고

서해랑길은 우측으로 휘어져 생태통로를 건너 갑니다.

논고개로 생태통로 풍경

논고개라는 지명은 의논하여 넘는 고개라는 뜻으로

마을에 중대사가 있을 때 마을 위에 있는 망월산 넓은 공터에 모여서

의논을 하였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생태통로를 건너서는 완만하게 이어지는 등로를 따라 야산을 지나고

09:42    '수골로 54번길'이 지나는 고갯마루에 내려섭니다.

좌측편의 고개를 넘어서면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이고

우측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동으로 가는 길이지만

서해랑길은 길 건너 안전로프가 설치되어 있는 산길을 오릅니다.

산길에 들어서면 완만하게 오름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09:49    듬배산 갈림길 삼거리에 도착하고...

서해랑길은 우측의 논현주공아파트 방향으로 가야하지만

멀지 않은 듬배산 정상을 다녀오려고 좌측으로 갑니다.

09:51   듬배산 갈림길에서 약2분쯤 좌측으로 완만하게 등로를 따라가면

넓은 공터에 운동시설물과  휴식을 취할수 있는 의자등이 설치되어 있는

듬배산(×81.6m)정상에 도착합니다.

듬배산 정상을 다녀와 갈림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한 등로를 따라 산을 내려갑니다.

10:02   산길을 내려서면 남북으로 이어지는 '호구포로'와

동서로 이어지는 '은봉로'가 교차하는 곳에 닿습니다.

서해랑길은 남북으로 이어지는 '호구포로'를 건너서 

동서로 이어지는 '은봉로'를 따라 '논현유치원'앞을 지나고

'은봉로'를 따라 계속 걸어가 '논현포대근린공원'으로 이어지는 생태통로를 지나고

생태통로를 지나자 마자 좌측으로 휘어져 '논현포대근린공원'으로 들어섭니다.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에 위치해 있는 논현포대(論峴砲臺)는

1879년(고종 16년)에 쌓은 포대로 인천과 부평 연안의 군사방어시설인데

지금은 군사시설로 사용하지 않는 옛 포대 자리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어린이 놀이터와 산책로를 만들고, 체육시설로는 농구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X-GAME 장이 있고, 문화 시설로 야외공연장이 있다.

수인 분당선 호구포역 2번 출구를 통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포대근린공원의 벽천광장이 보이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안전철책이 설치되어 있는 계단길을 올라가고

포대근린공원의 최상단의 정자가 있는 곳에 닿습니다.

포대근린공원의 육각정자가 보이고...

서해랑길은 육각정자를 지나 갑니다.

육각정자를 지나 포장된 산책로를 따라 포대근린공원을 내려갑니다.

포대근린공원주차장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남동동로'로 향합니다.

'남동동로'에 닿으면 좌측으로 휘어져 '경제자유구역 송도' 방향인

'수인분당선'이 지나는 철교 아래를 지나고

'남동동로'와 '은청로'가 교차하는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은청로'를 따라 걷습니다.

은청로를 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오공본드' 제2공장 앞을 지납니다.

은청로를 따라 계속가  '공단본부사거리'를 지나고

공단본부사거리의 좌측에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 청사

한국산업단지 공단은 국가산업단지의 개발 및 관리와 입주 기업체의

생산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공공기관으로

1964년 8월 한국수출산업공단으로 발족한 뒤 1996년 10월

정부의 5개 국가 산업단지관리공단 통폐합 결정에 따라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1997년에 설립되었다. 

서해랑길은 계속해서 '은청로' 를 따라

'남동인더스파크역' 사거리를 지납니다.

수인분당선의 '남동인더스파크역' 풍경

수인선 개통 당시인 1937년의 역명은 '남동역'이었으며

1994년 수인선 영업 중지로 폐역이 되었고

새롭게 수인선을 공사하면서는 '남동공단역'이었으나

2012년 수인선 오이도~송도 개통을 하면서 한국산업단지공단

경인본부의 요청으로 '남동인더스파크역'으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은청로'를 따라 계속가면 '은청로'가  '남동서로'와 만나는 교차로에 닿고

이곳에서 '은청로'는 끝나고 직진의 도로는 '남동서로205번길'로 바뀐다.

서해랑길은 '남동서로205번길'을 따라 걷게 되며

교차로 건너편 남동서로 입구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인천지사'가 있다.

 '남동서로 205번길'을 들어서 우측에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의 울타리를 따라 걷게 됩니다.

울타리 안쪽으로 보이는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울타리 끝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좌측으로 '승기천'이 보이고

그위에 놓인 다리를 만난다.

승기천위에 놓인 다리를 건너는데....

좌측으로는 옛 수인선의 협궤열차의 철교가 보이고

우측으로는 승기천위에 놓인 수인분당선의 철교가 보이네요

서해랑길은 지금 걷고 있는  다리를 건너서 승기천위에 만들어져 있는

산책로를 따라 연수교와 승기교 아래를 지나 선학역으로 가게 됩니다.

승기천(承基川)은 남동구 구월동을 기점으로 하여 종점인 동춘동

 남동공단 유수지를 거쳐 황해로 직접 유입되는 지방2급 하천으로

한강서해권 수계에 속한다. 남동구와 연수구의 경계를 형성하며 

유역면적은 26.08㎢이고, 유로 연장은 10.33㎞이며, 하천이름은

옛날에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 있던 마을이 다시 생겨나면서

이어졌다고 하여  '승기(承基)'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다리를 건너 승기천에 내려서면 만나는 서해랑길 이정표

선학역까지는 2.8km 남아 있네요 

승기천위의 자전거 도로옆의 산책로를 따라 '수인분당선' 철교 아래를 지나고

승기천위의 산책로를 따라가면 좌측에 '원인재'가 보인다.

10:53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에 자리한 '원인재'에 닿았고 

걷고 있는 승기천쪽에서는 원인재 안쪽으로 진입할 수 가 없어

입장은 못하고 담장너머로 '원인재' 사진만 찍었네요.

'원인재'는 인천 이씨 중시조인 이허겸의 묘 앞에 세운 건물로

 『고려사』에 보면 그의 선조는 신라 때부터 지금의 인천인 소성현에 살았는데

 신라 사신으로 중국 당나라에 갔다가 천자로부터 성(姓)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인천 이씨가 고려시대 귀족대열에 낄 수 있게 된 것은 이허겸 때부터로

그의 손녀 3명이 모두 현종의 비(妃)가 되었다. 첫째 손녀는 원성황후로 덕종과 

정종 두 왕을, 둘째 손녀는 문종을 낳았다. 그 뒤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기까지

 7대에 걸쳐 귀족정치의 막강한 파벌을 이루었다. 이 건물을 세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32대 손과 33대 손의 글을 통해 조선 순조 7년(1807) 혹은

고종 4년(1835)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근처 신지마을에 있었으나

택지개발로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문화재청 글 인용)

원인재를 지나 근린공원길을 따라 걷습니다.

공원길을 따라 가면 '연수교'에 닿고

서해랑길은 '승기천'으로 내려가 '연수교'아래를 지나게 됩니다.

연수교앞에서 우측 승기천으로 내려서면 이정표를 만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연수교밑을 지나 선학교 방향으로 갑니다.

승기천위의 산책로를 따라 선학교로 향합니다.

승기천은 도심속의 하천으로 산업화 과정에서 부근에 택지지구와

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각종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유입 등으로

하천의 기능을 잃고 심각하게 오염되었다가 2003년부터 도심하천

정비사업이 추진되었다. 이후 '도심 속에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을

주제로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복원을 추진하였고, 자전거도로와

산책로, 갈대숲, 공원을 갖춘 도심 속 친수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승기천 산책로에는 휴일을 맞아 운동을 나온 시민들이 많이 보이네요

앞쪽으로 보이는 '선학교' 아래를 지납니다.

선학교 아래를 지나 계속해서 승기천의 산책로를 따라 걷습니다.

선학교를 지나 승기천위의 산책로를 따라 약200m정도 가면

서해랑길 이정표를 만나게 되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승기천 산책로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를 따라 갑니다.

도로를 따라 금호어울림 아파트 6동 뒤를 지나고...

1차선의 도로를 따라 금호어울림 아파트 6동을 지나 나오면

왕복10차선의 '경원대로' 횡단보도에 닿게 되고

서해랑길은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 '선학역' 방향으로 갑니다.

선학역4번 출구가 있는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선학역4번 출구를 지나면 곧 선학역 3번출구 앞에 닿는다.

선학역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한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9년 10월 6일에 개업하였고, 역 번호는 I128이며, 문학경기장역과

신연수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양을 기점으로 18.8km 떨어져 있다.

출입구는 1번, 2번, 3번, 4번으로 4곳에 설치되어 있다.

선학역3번 출구앞의 서해랑길 95코스 안내판에서

서해랑길 94코스 트레킹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