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신당근린공원-수도사-남양방조제-이화리버스정류장)
▣ 트래킹 일시 : 2025년02월16일. 일 . 날씨 : 맑음
▣ 트래킹 참여 : 좋은사람들 서해랑팀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거리및 QR위치
<주요지점 구간 거리> = 14.1km
평택항-1.8km-신당근린공원-7.0km-수도사-1.3km-남양방조제-4.0km-이화리버스정류장
<QR위치>
- 시점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만호리 570-3(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앞 삼거리)
- 종점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 1714-4(기아자동차 사거리 부근)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교통편
좋은 사람들 31인승 버스/ 30,000원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트래킹 기록
- 두루누비따라가기 : 14.13km/ 02시간51분(08:04~10:55)

- 오록스맵 : 14.08km / 2시간50분(08:03~10:54)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오록스맵 트랙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지도

♥
서해랑길86코스(평택항~이화리버스정류장)트레킹 메모
이틀을 연속으로 하게되는 트레킹 계획 때문에 부담이 되기는 했지만
어제 걸었던 DMZ평화의길 28코스(양구통일관~DMZ자생식물원)의 거리가
약7km라 짧은 시간내에 트레킹이 끝났고 양구의 파로호에 만들어진
한반도 섬을 들렸다 귀가 했는데도 평소보다 일찍 도착해 다행이였다.
오늘은 좋은 사람들 산악회에서 시행하는 서해랑길 86코스+87코스=32km의
트레킹에 참여 하게 되었는데...어제의 트레킹 피로감이 남아 있고
조금은 긴 거리 때문에 마음속에서는 부담감이 스멀스멀 생겨 났기도 했고
빠진 구간을 보충하고자 참여하는 트레킹이니 함께 하는 사람들이
모두낯선 사람이라 서먹함 까지 있어 오늘은 걷는 내내 외로움도 있었다.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설치된 방조제를 걷는게 부담이 되기도 했지만...
그래도 눈 앞으로 펼쳐지는 사물들이 영화속의 장면 처럼 계속해서 바뀌고
새롭게 접하는 지역의 특성과 풍경들을 카메라에 담아 가며 걸었기에
오랬만의 장거리 트레킹을 무사히 완주 할 수 있었던 날이 였습니다.
♥
08:03 서해랑길 86코스의 출발은 평택항 마린시티 건물 앞쪽에
마련되어 있는 안내판 앞에서 시작을 합니다.
서해랑길86코스 안내판이 있는 사거리의
좌측편으로는 평택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있다.
평택항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에서
충남 당진시 송산면 성구미리 동쪽 끝에 이르는
항구로 1986년12월 국제무역항으로 개항했고
2001년8월에 국제여객터미널이 준공되었다.
오늘 걷게 되는 서해랑길 86코스는
안내판이 있는 사거리에서 직진 방향의
'평택항만길'을 따라 걷습니다.
평택항만길을 따라 가면 잠시후에 좌측편으로 동부두 제6정문앞을 지나고
우측으로 평택지방해양수산청앞을 지납니다.
평택항만로를 따라 계속가면
좌측에 동부두 제5정문이 보이는 사거리에 닿고
우측에 동부두 제5정문이 보이는 사거리에서
서해랑길은 우측으로 휘어져 '평택항홍보관' 방향으로 갑니다.
동부두제5정문사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걷게되는
'포승공단순환로' 우측으로 소공원이 조성되어 있네요
'유성TNS사거리'에 닿고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휘어져
'평택항홍보관' 방향으로 갑니다.
'유성TNS사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평택항로' 우측편 산위에 '평택항 홍보관'이 보이네요
'평택항로' 넓은 도로에서 우측의 '평택항 홍보관방향'으로 오릅니다.
야산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평택항홍보관'에 닿고
이른 시간이라 개방은 안되어 있어 그냥 지나갑니다.
평택항 홍보관을 내려오면 '신당근린공원'에 닿게 됩니다.
신당근린공원안에 있는 이정표...
오늘 종착점 화성 이화리버스정류장까지 11.6km 남아 있습니다.
서해랑길은 신당근린공원 입구로 나와 우측으로 휘어져
'평택항로'를 따라 '오수중계펌프장사거리'까지 걷게 됩니다.
'평택항로'를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 GS칼텍스 주유소 방향으로 진행하고
'오수중계펌프장사거리'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서해안고속도로 방향으로 갑니다.
'오수중계펌프장사거리'에 우측으로 휘어져
'포승공단로'로 진행을 하게 되는데...
좌측편으로는 소공원과 수로가 있네요
08:46 '현대모비스사거리'에 닿고
횡단보도를 건너서 좌측으로 휘어져
(주)홍성브레이크 방향으로 갑니다.
'공단농협사거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으로 진행하고
'공단농협사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평택항로268번길'을 따라 갑니다.
'평택항로268번길'을 따라 가면 '모아아파트'버스정류장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모아미래도2차'아파트 방향으로 갑니다.
08:59 2006년 9월 1일 개교하였다는
평택시 포승읍 도곡리의 도곡초등학교를 지납니다.
도곡초교 사거리에서 직진의 도로(여술로43번길)를 따라 진행합니다.
'여술로43번길'이 '포승공단순환로'와 만나는 삼거리에 닿고
'포승공단순환로'의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으로 휘어져 '포승공단순환로'를 따라
약30m쯤 진행하다가 우측에 보이는 계단을 오릅니다.
계단을 올라서면 '본팩트' 주차장이 있는 곳에 닿고
직진방향의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평택항로' 왕복4차선 도로를 만나고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으로 휘어지면 보이는 풍경
도로를 따라 '순창밥상' 간판이 있는 곳까지 진행합니다.
서해랑길은 '순창밥상' 간판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원정초등학교'정문 우측의
학교울타리를 따라 골목을 지나 갑니다.
'원정초등학교' 울타리를 따라 지나는 풍경
'원정초등학교' 울타리를 따라 뒤쪽으로 지나 나오면
'포승어린이집'이 있는 도로에 닿게 됩니다.
'포승어린이집'앞을 지나는 도로(포승원정길)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포승원정길'을 따라 지구촌 교회와 지구촌 어린이집이 있는 곳을 지나고
포승원정로의 넓은 도로를 따라 걷다가
GS25 편의점 좌측의 세멘트포장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세멘포장도로를 따라 계속가면
'명진특장' 회사앞 삼거리까지 진행합니다.
'명진특장' 회사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원정중기 간판 뒤로 보이는 '포승향남로'(왕복4차선도로)까지 진행합니다.
'포승향남로'(왕복4차선도로)에 닿으면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 따라 걷습니다.
'포승향남로'(왕복4차선도로)를 따라 걷다가 삼거리에서
좌측의 도로를 따라 '수원국토관리사무소'방향으로 갑니다.
'수원국토관리사무소'앞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포승향남로357번길'(원효길)을
따라 군부대 울타리를 만나는 곳 까지 갑니다.
군부대 울타리 아래로 이어지는 세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걷고
군부대 울타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포승향남로357번길이 끝나는
평택시 포승읍 '원정리' 마을 민가 직전에서 좌측의 산으로 오릅니다.
철망 울타리가 좌측으로 보이는 야산의 능선을 오르내리며 걷습니다.
철망울타리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며 지나오면
우측으로 수도사가 보이는 곳에 쉼터가 조성되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쉼터에서 바라본 '수도사' 풍경
이곳 수도사는 평택시 포승읍 원정리의 봉화산 아래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경기도 전통사찰 제28호로 지정된 사찰로, 852년(신라 문성왕14)
염거(廉巨)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 염거가 수도사를
창건하기 이전인 661년(문무왕1) 원효(元曉)가 해골물을 마시고 득도한
곳으로 염거가 창건하기 전에도 작은 암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조선 중기까지의 연혁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곧 복원하였고
1911년 불에 타 폐사로 남아 있던 것을 1960년 영석(永錫)이 중창하고
1965년부터 정암(靜庵)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렇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보전과 산신각·삼성각·요사채 등이 있고
유물로는 염거의 부도로 추정되는 사리탑이 전하며, 절 주위에
탑재와 석물이 흩어져 있고, 1998년 경내에 불탑을 세웠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원효가 의상(義湘)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던 중 이 근처 바위굴에서 하루를 머물게 되었고
원효는 밤에 목이 말라 주변을 더듬어 보니 바가지에 물이 들어 있는 것 같아
시원하게 마셨다. 그러나 다음날 일어나 물을 마시던 바가지가 해골인 것을
보고는 구토를 하고 말았다. 이에 원효는 모든 것이 마음에 있음을 깨닫고
당나라 유학을 포기하였다고 한다. 수도사에서는 이 깨달음을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해수관세음보살상
이곳은 약사전이며, 템플스테이를 운영할때 사용하는 공간이다.
약사전은 약사여래불을 봉안해 놓은 사찰의 불전 가운데 하나로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중생의 모든 질병을 치료해주고 고통을
없애주는 여래불로 동방유리광세계를 관할하는 부처라고 한다.
따라서 약사전(藥師殿)은 동(東)쪽을 바라보며 건축된다네요.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 하도록 기원하는 기능을 하는 전각입니다.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신 곳이므로 지장전이라고도 하며
지옥의 심판관 시왕을 모신 곳이므로 시왕전[十王殿]
저승과 이승을 연결하는 전각이므로 쌍세전(雙世殿)이라고도 합니다.
대웅전은 불교의 선종 계통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당우(堂宇)로 대웅보전이라고도 한다.
항상 가람의 중심이 되는 전당으로, 큰 힘이 있어서 도력(道力)과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대웅(大雄)’은 고대 인도의 ‘마하비라’를 한역한 말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 즉 대웅이라 일컬은 데서 유래하였다.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을 '요사채'라 한다.
수도사의 종무소
수도사 경내를 돌아보고 나오면 원정리 마을을 지납니다.
원정리 마을의 민가를 지나 나오면 '포승향남로(77번국도)'에 닿고
도로를 따라 좌측의 '원정삼거리' 방향으로 갑니다.
서해랑길은 77번국도 좌측의 세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원정삼거리' 방향으로 갑니다.
세멘트포장도로가 우측으로 보이는 '원정삼거리 입구'에 닿고
자동차 도로의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의 세멘트포장도로를 따라 갑니다.
도로를 건너는 우측으로 보이는 '원정삼거리' 풍경
원정삼거리 입구의 도로를 건너면 보이는
세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남양대교'아래 까지 갑니다.
'남양대교'는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와 평택시 포승읍 원정리를
잇고 있으며 남양호를 지나가는 교량이라서 남양대교로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왕복 4차선으로 총 길이 1,230m, 폭 21m,
높이 13.3m이며 2005년 준공되었다
남양호위에 놓인 남양대교 아래에 닿고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휘어져 남양호를 따라
남양방조제로 향합니다.
남양대교 아래서 좌측으로 휘어져 LNG저장탱크가 보이는 곳으로 갑니다.
LNG저장탱크가 있는 곳으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서해랑길 이정표
서해랑길86코스 종착지점인 이화리버스정류장까지 3.6km 남아 있네요
LNG저장탱크가 있는 옆을 지납니다.
LNG저장탱크가 있는 곳을 지나면 2차선도로의
'남양만로'를 만나고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갑니다.
남양방조제에 닿고 제방을 건넙니다.
남양방조제는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화성시 우정읍 사이에
남양만 하구를 막은 방조제로 1971년에 착공하여 1974년에 준공되었다.
총연장이 2,060m에 이르며, 배수갑문의 길이 84m, 높이 35m,
너비는 상단이 4m, 하단이 33m이다. 이 방조제는 너비 12m의 도로가 있으며,
각각 50t을 배수할 수 있는 34.9m 크기의 갑문이 12개 설치되어 있다.
아산방조제와 함께 세계은행차관으로 우리 나라 최초로 조성된 이 방조제는
서해안지역의 대단위농업개발사업의 효시가 되었다고 한다.
'남양방조제' 좌측편에 갯벌이 모습을 드러낸 풍경과
앞쪽 멀리 오후에 지나게 될 '화성방조제'도 보이네요
남양방조제의 배수갑문이 있는 곳을 지나면
평택시에서 화성시로 행정구역이 바뀝니다.
배수갑문을 지나 화성시로 들어섭니다.
앞쪽 150m 지점의 교차로 안내판이 보이네요
교차로에 서해랑길86코스 종착지점이 있습니다.
교차로 좌측편에 서해랑길86코스 안내판과
경기둘레길 스템프함이 보이네요
10:54 서해랑길87코스 시작지점 안내판앞에서
서해랑길86코스 트레킹을 마칩니다.
♥
서해랑길86코스 트레킹을 종료하고 화성시 이화리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음식점을 찾았으나, 지역특성상 기업체 직장인들을 상대로 음식점 영업을
하는 곳인지 일요일이라 음식점도 영업을 하는 곳이 없네요.
혹시나 하고 이리저리 영업하는 음식점을 찾아 보았으나
문을 연 음식점이 없어 점심을 못먹고 서해랑길87코스를 이어 갑니다.
점심은 간식으로 가져온 떡으로 대신 했네요
'코리아 둘레길 > 서해랑길(2024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랑길87코스(이화리버스정류장-매향리평화생태공원-화성방조제-궁평항정류장) (2) | 2025.02.20 |
---|---|
서해랑길85코스(노양리-평택호예술공원-신영2리마을회관-평택항)걷기 (0) | 2025.02.06 |
서해랑길94코스(남동체육관입구~오봉산~원인재~선학역)걷기 (0) | 2025.01.28 |
서해랑길50코스(동진대교동단-고마제-석정기념관-부안군청)걷기 (0) | 2025.01.27 |
서해랑길49코스(부안신재생에너지테마파크-구암리지석묘-매창공원-부안군청)걷기 (2)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