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지맥6구간(바람골재-삼성산-청산-신뱅이산-조리봉-헐티재)산행
♧ 산행일시 : 2020.10.08. 목,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새마포 비슬지맥팀25명
♧ 산행구간 : 우록1리→바람골재→삼성산(▲668m)→601.2m→우록재→ⅹ652m
방치재→▲695.m→청산(802m)→억새밭→712.7m→▲586.5m
신뱅이산(▲685.9m)→조리봉(▲673.6m)→헐티재(523.4m) 산행종료
♧ 산행거리 : 17.81km
♧ 산행시간 : 4시간52분(10:38~15:30)
♧ 산행트랙 : 비슬지맥6구간(바람골재-헐티재)
♧ 비슬지맥6구간 산행기록 및 고도표
♧ 산행지도 : 비슬지맥6구간(바람골재-삼성산-청산-신뱅이산-조리봉-헐티재)지도
산행메모
긴 장마와 폭염으로 덮고 지루한 여름에 산행을 하면서 가을이 오기를 기다렸는데
물러갈것 같지 않던 더위도 어느새 한풀꺽이고, 이젠 제법 서늘한 기온의 가을이다.
어느곳으로 눈을 돌려도 가을빛이 완연하다. 들판은 황금물결이고,
산등성이의 초목들도 어느새 단풍들기 시작하여 울긋 불긋하게 보인다.
산행하기 좋은 계절 10월...그 절반을 지나고 있는날에 비슬지맥6번째 산행에 나섰다.
오늘 산행구간은 경북 달성군 우록리의 녹동서원앞에서 비슬지맥의 바람골재
능선에 올라 삼성산, 청산, 신뱅이산, 조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걷다가
헐티재로 내려오는 약18km의 산행이다.
서울에서 쉬지않고 달렸건만 우록리에는 10시35분경에 도착을 하고
산꾼들은 유난히 감나무가 많고, 가을빛으로 물들어 있는 우록리 마을을 지나
이제는 많이 사그라진 잡목과 풀숲을 헤치며 바람골재를 향해 오르기 시작한다.
♡
10:38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의 녹동서원앞에서
바람골재로 오르며 비슬지맥 여섯번째 산행을 시작한다.↓
녹동서원앞쪽의 우록교를 건너서 좌측의 포장도로를 따라 우록리를 지난다.↓
우록리 마을을 벗어나면 포장도로를 비포장임도를 걷게 되고
한천약수탕 안내판이 있는곳을 지난다.↓
한천약수탕 안내판을 지나서 계속해서 임도따라 오르면 이정목을 만난다.
바람고개로 오르는 →0.52km 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11:15 녹동서원앞에서 약37분을 오르니 바람골 고개에 닿습니다.
바람골재는 사성(賜姓)김해김씨의 시조이신 김충선 장군이 청도 지역의 의병장들과의
교류를 위하여 넘나 들었던 고갯길이라 전해지며, 우록동 주민들이 청도5일장에 다닐대
쉬어가는 고갯길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우측 헐티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바람골재를 지나 우측으로 경사진 등로를 올라갑니다.↓
11:25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585.9m봉을 지납니다.↓
삼성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완만하게 오르내림을 하며
고도를 높이지만...등로가 아주 좋아 부담이 없습니다.↓
11:46 커다란 화강암의 정상석과 자그마한 자연석의 정상석 2개가 있는 삼성산에 도착합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삼성산(三聖山)은
세명의 성인이 난 곳이라 하여 마을사람들이 삼성산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하고,
또 삼성산의 653m, 668m, 663m 세봉우리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바람골재에서 약30분정도 오르면 만나게 되며 정상에 삼각점과 전망데크가 있습니다↓
삼성산의 전망데크
청도 이서면과 화양읍쪽 풍경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삼성산에서↓
삼성산의 또 다른 정상석↓
삼성산 삼각점(청도415/ 위도35.71, 경도 128.64)↓
삼성산 정상부의 이정목...오늘 최종목적지 헐티재가 13.7km 남아 있네요↓
삼성산에서 약1분가량 내려오면 만나는 이정표
갈림길 삼거리에서 소야4리 방향(우측)으로 비슬지맥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11:52 665m봉을 지나고↓
완만하게 오르내리는 소나무 우거진 능선을 지납니다.↓
12:01 지도상 고도표시된 601.2m봉을 좌측 사면으로 지나고↓
소나무 우거진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우록재로 내려갑니다.↓
우록재의 이정목...비슬지맥은 헐티재 방향입니다.↓
우록재에 있는 비슬산 둘레길 안내도↓
우록재에는 육각정자가 있습니다.↓
우록재는 포장 임도가 지나는 고개로
좌측의 청도군 이서면 수야리에서 우측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로 넘어가는 고개
비슬지맥은 우록재 포장임도를 건너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우록재에서 넓은 임도를 따라 비슬지맥 마루금이 이어지다가
차츰임도가 좁아지고 이네 좁은 산길로 변하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릅니다.↓
능선의 좌측사면으로 이어지는 등로를 따라 진행하고↓
12:20 해발 652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임산물 보호구역이라 출입을 금지 하는 표지판을 나무에다 붙여 놓은곳의
우측사면으로 진행하여 방치재로 내려갑니다.↓
12:31 비포장 임도가 지나는 방치재에 도착합니다.
방치재의 이정목...헐티재 10.4km 남아 있네요↓
방치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와 경북 청도군 각북면 지슬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가창면 우록리의 우록지가 있는 골짜기 명칭인 밤티골에서
유래된 밤티재가 방치재로 오기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비슬지맥은 방치재(580m)를 지나는 임도를 건너 산길로 진행합니다.↓
방치재에서 산길을 따라 오르면 등로는 우미산으로 오르지 않고,
우미산 좌측 사면을 따라 진행합니다.↓
12:41 방치재에서 우미산 좌측사면을 따라 약10여분을 걸으면 우미산 갈림길에 닿습니다.
이정목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우미산가는길이고, 비슬지맥은 직진으로 진행합니다.
비슬지맥 능선에서 1.0km떨어진 우미산은 다녀오지 않기로 하고, 비슬지맥 마루금을 따릅니다.↓
우미산 갈림길을 지나면 오르막 등로가 시작되고↓
12:46 굵은 나무가 자리하고 있는 638m봉에 닿습니다.↓
638m봉을 지난후에도 오르막 등로는 계속해서 이어지고↓
오르막 등로의 바위에 백록생수, 우록가는길 표지판을 지나 오릅니다.↓
등로좌측으로 커다란 바위가 있는 695.7m봉으로 오릅니다.↓
등로에서 약간 좌측으로 벗어나 있는 695.7m봉의 삼각점과표지판
지도의 고도와 다르게 희.준님은 698.2m로 표시하였네요↓
695.7m봉의 삼각점은 글씨를 식별하기가 어렵네요↓
12:58 695.7m삼각점봉에서 약2분쯤 진행하면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13:02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송전탑 아래를 지나고...↓
송전탑아래에 있는 이정목...남지장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목이 있는 송전탑을 지나면 급경사의 오르막등로를 올라갑니다.↓
13:11 급경사의 오르막등로를 올라서면 이정목을 만나고,
급 좌측으로 꺽어져 남지장사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13:16 해발 762.3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762.3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762.3m봉을 지나서도 등로는 계속해서 고도를 높이며 올라갑니다.↓
13:23 비슬지맥 청산(802m) 정상석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청산 정상부는 억새가 우거져 있는 폐헬기장이고, 우측 한편에 정상석이 있다.
비슬지맥은 정상석이 있는 곳에서 급 좌측으로 꺽어져 헬기장을 지나 최정산을 보며 내려간다.↓
청산 정상부의 이정목...비슬지맥은 남지장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청산 정상부의 폐헬기장의 억새밭...그 앞쪽으로 보이는 최정산 풍경
최정산(最頂山:915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에 있는 산으로 달성군의 명산이며
정상부가 평탄하고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정상부는 미군이 설치한 위성 추적소 시설물이 있어 접근이 불가하다.
최정산에 오르면 산성의 유적이 있고,가을이면 억새 물결로 장관을 이룬다고 한다. ↓
13:28 청산에서 약5분쯤 내려가면 6각정자가 있는 전망대에 닿는다.
앞쪽으로는 최정산과, 좌측으로 희미하게 비슬산이 조망된다.↓
육각정자 있는 곳에서 바라본 비슬산과 비슬지맥 능선 풍경↓
육각정 전망쉼터에서 되돌아나와 이정목에서 헐티재7.2km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이정목에서 헐티재 방향으로 꺽어져 넓은 등로를 따라 완만하게 내려갑니다.↓
가을을 상징하는 억새꽃이 만발한 넓은 억새밭을 지납니다.↓
억새밭 가운데 마련된 쉼터의자와 이정목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지고↓
등로가 보이지 않고, 사람키만큼 자라있는 억새밭을 계속해서 지납니다.↓
13:48 드넓은 억새밭을 지나고, 다시 산길을 만나 잠시 오르면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712.7m봉에 닿습니다.↓
712.7m봉을 지나면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따라 안부로 내려갑니다.↓
안부까지 내려갔던 마루금은 다시 좋은 등로를 따라 오르막으로 변합니다.↓
14:01 넓은 평상2개가 나즈막하게 자리하고 있는 669m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비슬지맥 마루금은 급좌측으로 꺽어져 내려가고↓
669.1m봉에서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14:12 안부에서 잠깐 오르막 등로를 오르면 삼각점과 이정목이 있는
지도상 586.5m봉에 닿습니다. 준.희님은 590.5m의 표지판을 달아놓았네요↓
지도상 586.5m봉의 삼각점, 글씨는 식별이 어렵네요↓
586.6m봉을 진나면 우측으로 휘어져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를 진행합니다.↓
14:19 해발601m의 무명봉을 지나고...↓
601m봉을 지나서는 단풍으로 물든 나무들이 있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14:31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등로를 올라서면 무명봉 681m봉에 닿고,
좌측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삼각점이 있는 신뱅이산(685.9m)입니다.↓
무명봉에서 약4분가량 좌측으로 진행하여 오르면 신뱅이산(688.6m)에 닿고,
정상부에는 비슬지맥 신뱅이산(688.6m)정상석과 삼각점, 이정목이 있습니다.↓
신뱅이산(686m)의 이정목...헐티재가 2.65km 남아 있네요↓
신뱅이산의 삼각점, 이끼가 끼어 있어 글자 식별이 어렵네요↓
신뱅이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가들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등로를 내려갑니다.↓
14:43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가 다시 오르막을 올라서
통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해발601m의 무명봉을 지나고↓
통나무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602m봉에서 또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 원계재로 향합니다.↓
14:49 원계재 이정목을 만납니다..우측으로는 대구미술광장으로 가고,
비슬지맥은 헐티재 방향으로 직진입니다.↓
14:49 커다란 나무에 돌무더기가 있어 성황당처럼 보이는 원계재 풍경
원계재는 청도군 각북면 금천리에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로 넘어가는
가장 서쪽에 있는 고개다. 고개이름은 정대리의 원계마을에서 따온듯 하며
옛날 죄인들이 대구 감영으로 재판받기 위해 이고개를 넘었는데,
그들중 단시일에 돌아온 사람이 없어 마치 멀리 가는것과 다름없어 불리어졌고.
원계치, 원개령이라고도 하며 별칭인 이정현(梨亭峴)은
고개에 큰 배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원계재를 지나면 등로는 다시 가파르게 오르막으로 변합니다.↓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올라서면 긴의자 3개가 설치되어 있는 556.9m봉을 지나고↓
556m봉을 지나면 능선은 우측으로 휘어져 헐티재로 향합니다...
그러나 헐티재까지는 계속해서 오르내림이 반복됩니다.↓
556m봉을 지난후에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올라가고↓
15:09 평상2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660m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비슬지맥은 좌측으로 꺽어져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 조리봉으로 향합니다↓
조리봉(673.6m)으로 오르는 가파른 등로↓
15:13 조리봉(676.4m)의 삼각점(청도304/1982재설)↓
15:13 비슬지맥 조리봉(676.4m) 풍경
조리봉 정상에는 정상석과 이정목, 삼각점이 있습니다.↓
조리봉을 지나면 비슬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5:18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송전탑을 지나고↓
15:24 이동통신 시설물이 있는 능선을 지납니다.↓
15:26 헐티재에 도착을 하여 비슬지맥6번째 마루금 산행을 마칩니다
경북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잿들마을을
연결하는 535m의 고개로 과거 청도 서부지역 사람들이 대구와 화원으로 오갈때
이용하던 헐티재, 상심미기, 원계재 3개의 고갯길중 유일하게 자동차가 다닐수 있었다.
헐티재라는 이름은 주위에 나무 그늘이 없는 험준하고 높은 고개이기 때문에
고갯마루에 오를 때 숨이 차서 헐떡거린다고 붙여졌다고 한다.↓
헐티재(535m) 표지석
헐티재는 과거에는 매우 구불구불하고 험준하였지만, 현재는 포장도로로
잘 정비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이 매우 수려하여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하다. 「조선지형도」에는 삼봉현(三峰峴)으로 표기 되어 있으나
오기인 것으로 보이며, 삼봉재는 각북면 오산리에서 달성군 현풍면 유가사를
연결하는 비슬산 주능선에 위치한 고개이다.↓
헐티재 풍경
헐티재는 비슬산과 우미산 사이에 위치한 고개로 청도천의 지류인
각북천의 최상류에서 고개를 넘는다. 각북천 상류는 덕촌리에서 3갈래로 나뉜다.
서쪽의 오산리를 택하면 헐티재에 이르고, 중간의 금천리를 경유하면 원계재,
그리고 동쪽의 지슬리를 거치면 율치를 각각 넘는다.
지방도 902호선이 지나는 헐티재 고갯마루에는 휴게소도 있다.↓
헐티재 고갯마루에 있는 통합기준점 안내판↓
헐티재 통합기준점↓
헐티재 고갯마루 좌측으로 보이는 청도군 각북면쪽의 가을이 내려앉은 풍경↓
비슬지맥7번째 구간 비슬산으로 오르는 들머리...↓
15:30 헐티재 고갯마루 공터의 버스가 대기중인 곳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
비슬지맥 6구간(바람골재-헐티재)까지는 대략 18km정도 되는데
등로가 잘되어 있고, 능선에 오르면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산행도 할수 있고, 산행시간도 적게 걸리는 구간이였다.
구간중에는 최근에 설치한듯한, 청산, 신뱅이산, 조리봉의 정상석이 있어서
산이름의 유래를 산행후에 찾아 보았으나, 알수가 없어서 궁굼했다.
헐티재로 내려오는 길에 앞쪽으로 보이는 우람한 비슬산과 비슬지맥의 능선들..
다음구간에는 비슬지맥의 주산인 비슬봉에 오르게 될 생각에 가슴이 설렌다.
이번주에는 적은 인원이 산행에 참석했지만, 다음주에는 비슬산이 포함되어
많은 산꾼들이 참여하겠지.... 오늘 비슬지맥6번째 구간을 무사히 마칠수
있도록 선두와 후미에서 애써준 대장님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다음주에도 즐겁고 행복한 산행을 마음속으로 그려봅니다.
'낙동정맥상 지맥 > 비슬지맥(2020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슬지맥9구간(밤티재-화악산-형제봉-▲314.8m-날뒤고개)산행 (0) | 2020.11.08 |
---|---|
비슬지맥7구간(헐티재-비슬산-조화봉-마령산-수복산-비티재)산행 (0) | 2020.10.25 |
비슬지맥5구간(남성현-상원산-팔조령-봉화산-대바위봉-우록리)산행 (0) | 2020.10.09 |
비슬지맥3구간(대천고개-대왕산-잉어재)산행 (0) | 2020.09.06 |
비슬지맥1구간(숙재-분기점-사룡산-구룡산-정상고개)산행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