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정맥제27구간(개금고개-엄광산-구덕산-봉화산-아미산-몰운대-다대포)산행
▣ 산행일시 : 2013.06.11(화)~06.12(수) 날씨 : 오전 비, 오후 맑음
▣ 산행구간 : 개금고개-2.4-엄광산-1.6-구덕령-3.1-대치고개-3.2-괴정고개-2.0-장림고개
-2.4-다대고개-1.3-아미산-1.2-홍치고개-2.8-몰운대-0.8-다대포
▣ 산행거리 : 도상거리 20.8km
▣ 산행시간 : 9시간00분(05:20~14:20)
* 05:20 고원APT앞
05:22 고원APT놀이터등로입구
05:42 엄광산임도
06:02 돌탑봉
06:17 엄광산(▲504m)
06:31 산불감시초소
06:44 꽃마을입구
06:46 구덕문화공원입구
07:02 항공무선표안내판,산길/임도갈림길
07:26 구덕산(▲560m)
07:35 시악산 기상관측소
08:00 산불감시초소,박씨묘
08:18 대티고개
08:30~09:15 아침
09:25 가치고개
09:37 공원묘지
09:52 우정탑(▲246.8m)
10:00 극락암전임도
10:12 벽산APT
10:23 감천고개
10:37 해동고교철망
10:45 예비군교장
10:54 체육공원
10:58 헬기장
11:08 대동중고교앞
11:33 봉화산(▲150m)
11:58 ×147m봉
12:03 구평가구단지
12:15 삼환APT
12:22 신다대APT앞육교
12:26 서림사 입구
12:58 아미산(▲234m)봉수대
13:21 홍티고개
13:43 응봉초교앞
13:49 부산다대우체국앞
13:57 낙조분수공원
14:00 몰운대 표석
14:13 다대포 객사
14:20 다대포 산행종료
▣ 산행참여 : 산우정낙동회원10명
※ 산정,등대,산비둘기,백송,배낭여행,산마루,산다람쥐,수정산,나소라,산과함께
▣ 낙동정맥27구간(개금고개-엄광산-구덕산-아미산-다대포)산행지도및고도표
산행메모
지난해 8월22일 백두대간 천의봉에서 낙동정맥을 시작하던 날도 비가 내렸는데...
낙동정맥 마지막 구간을 하는날에도 비예보가 있습니다.
마지막 산행은 날씨 좋은 때에 하고 싶은 생각에 산행 출발 전날 산행을 연기 하려고
회원들에게 문자를 보냅니다. 비가 와도 조금 온다니 그냥 하자는 의견이 있어
비를 맞으며 산행 할 각오를 하고 서울을 출발합니다.
지난 열한달 동안 26번의 산행을 마치고 이제 개금고개에서 몰운대 다대포 앞까지
오늘 걸으면 천리길의 낙동정맥 산행도 끝을 맺게 된다니 감회가 새롭고...
지난 산행의 기억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갑니다.
지난번 살짝 졸던 운전기사님의 실수가 이번 산행에는 없기를 바라며
맨 앞자리에 앉아서 운전기사의 졸음 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한잠도 자지 않고
부산에 도착 합니다. 새벽 5시를 넘겨 부산 지하철 개금역을 지나는데 비가
부슬 부슬 내립니다. 오늘 산행은 개금고개(개금역)에서 엄광산-구덕산-아미산-
몰운대-다대포까지 약 20.8km의 산행을 해야 합니다
낙동정맥 졸업산행의 시작점인 개금고개에서 엄광산 오르는 들머리 까지는
시내구간을 걷게 됩니다. 비도 내리고 있어 시내구간은 차량으로 이동합니다
개금역앞 5번출구에서 백병원 방향의 직진으로 올라가면 만나는 도로 중앙에
화단이 있는 곳에서 백병원을 우측에 두고 올라갑니다.
도로가 좁아 지는 주택가의 하성약국 앞쪽에 차를 멈추고 산행준비를 합니다
하성약국옆으로 직진하여 오르면 차도를 만나고 차도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을 따라 조금 가면
좌측에 고원아파트가 보이고 101동 앞을 지나가면 놀이터가 나옵니다.
고원아파트 놀이터 초입 우측에 둘레길 이정목 옆의 등로를 따라 오르다
우측 절이 있는 방향쪽으로 가면 됩니다.
나무계단을 지나오르고
가야유원지0.3km,임도1.7km 이정목에서 임도 방향으로 갑니다.
가파른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석축이 쌓여 있는 성터 같은 곳을 지나 오르고
팔각정자가 우측으로 보입니다...조금 올라왔는데..
습도가 높아서인지 무척이나 덥습니다..잠시 쉬어갑니다
정자에서 잠시 머물다 조금 진행하면 운동 시설이 있는 곳을 지나고
05:42 임도를 만나면 임도를 건너 산길로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임도 옆의 이정목에는 동의대 1.7km,부산진구 종합복지관1.3km 이정목이 있습니다
임도 건너 숲으로 오르는 등로는 돌탑봉까지 급경사 오르막입니다.
조망을 즐길수 있을것 같은 곳을 지나고
양옆으로 바위가 있는 틈사이를 오릅니다
06:02 돌탑이 4개나 서 있는 503.9m 돌탑봉에 도착합니다
돌탑봉을 지나며
돌탑봉에서 오른쪽 방향의 등로를 따라 엄광산 으로 갑니다.
등로 우측으로는 조망하기 좋은 넓은 바위가 있는 곳을 몇군데 지납니다
넓은 임도가 이어지고
개금2.1km,봉수대체육공원1.8km,내원정사1km 이정목을 지납니다.
직진방향의 내원정사쪽으로
헬기장을 지나고...조금 더 가면 엄광산 정상입니다
06:17 엄광산(504m) 정상에 도착합니다.
정상표지석과 팔각정자가 완만한 능선위에 있습니다.
엄광산에서
급경사 등로를 따라 꽃마을 입구쪽을 향해 엄광산을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구름덮힌 구덕산 모습이 살짝 얼굴을 내밉니다
06:31 좌측으로 산불 감시 초소가 보이는 곳을 지나고
내원정사 0.5km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이정목을 지나 삼거리에서 우측 아래로 내려가는 등로를 갑니다.
비에 젖은 미끄러운 등로를 조심조심 내려가며 구덕고개(꽃마을입구)로 향합니다.
꽃마을 입구 시내의 건물이 보입니다. 도로에 내려서면 우측으로 약 10m 이동하고
송아 추어탕을 끼고 좌틀하여 내려갑니다.
06:44 넓은 차도와 만나고 횡단보도를 건너 앞쪽으로 보이는
직진도로를 따라 구덕문화공원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건물뒤쪽으로 구름에 덮힌 구덕산이 보입니다
도로를 따라 0.5km 거리의구덕문화공원 방향으로 올라 갑니다
차도에서 구덕문화공원 표지가 있는곳 으로 올라갑니다...
차도를 계속 따라 가도 구덕산으로 갈수 있습니다
차도와 구덕문화공원의 보도 표시판
구덕문화공원을 오릅니다..부슬비가 조금씨 내리네요.
날씨예보에 9시까지 비가 온다고 합니다.
구덕문화공원에는 각종 조형물들이 여기 저기 많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화가 신창호 추모비도 지나고
구덕문화공원을 지나며 뒤돌아봅니다...
지나 내려온 엄광산쪽에는 짙은 구름이 덮혀 있네요
부산 서구 로고와 솟대가 있는 곳을 지나고
작은 연못과 그 뒤쪽으로 공원관리사무소가 보입니다.
저곳을 지나 올라야 합니다.
연못가운데 동전을 던져 넣을수 있는 작은 그릇이 보입니다
연못 우측의 관리사무소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릅니다.
지나온 엄광산쪽 모습
구덕문화공원 관리소 앞에서
관리소 건물옆의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07:02 부산항공표지소 안내판이 있는곳에서 표지판 뒤쪽
산으로 오르는 등로를 따라 가면 구덕산입니다.
임도를 따라 가면 편하게 구덕산에 오를수 있습니다.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임도 우측으로 보이는 풍경이 아름답습니다
임도옆에 이정목이 보입니다. 이곳에서 산길로 접어 들어
급경사를 오르면 구덕산 정상에 닿을수 있지만
임도따라 0.25km를 더 진행하여 구덕산 정상 으로 갑니다.
앞쪽으로 보이는 통신탑이 좌측으로 오르면 구덕산 정상이고,
구덕산을 다녀온후에는 통신탑 앞 우측으로 이어지는
도로 따라 시악산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통신탑앞의 이정목....구덕산을 다녀온후에 시악산 방향으로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구덕산 정상에는 부산항공표지소가 있습니다.
07:26 정상에 있는 부산항공무선 표지소에서 벗어나 구덕산 정상석을 만들어 놓았네요.
구덕산은 부산광역시 서구를 감싸고 있으며 서구의 동대신동,사상구의 학장동과
사하구의 당리동의 경계에 솟아 있는 산으로, 구덕산의 이름은 근대에 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불교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예전에는 사병산이라 불리웠다고 합니다.
구덕산 동쪽은 보수천의 발원지이기도 하다네요
구덕산 정상석에서
구덕산 정상에서 되돌아 내려와 중계탑이 있는앞에서
도로를 따라 기상관측소가 있는 시악산으로 향합니다
07:35 시악산 정상에는 기상 레이더 관측소 건물이 있습니다.
정문 좌측 방향이 대티고개로 가는 등로 입니다
기상 레이더 관측소 좌측으로 급경사 내리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시악산에서 내려가는 급경사의 등로
앞쪽으로 작은 무명봉이 보입니다.
07:49 시악산 과 무명봉 사이의 안부에 있는 이정목, 대티고개 까지는 1.5km를 더가야 합니다.
무명봉을 오릅니다.
무명봉을 지나면 급경사 내리막 등로가 박씨묘가 있는 곳까지 이어집니다.
내리막 등로 중간에 대티고개 1.2km 이정목을 지나고
산불감시 초소가 보이고, 앞쪽으로 돌담을 높이 쌓아 놓은 박씨 묘가 보입니다
박씨묘 돌담 좌측으로 갑니다.
대티고개 0.9km 이정목을 지납니다
급경사 내리막 등로가 대티고개까지 약15분정도 이어집니다
낙동 마루금은 대티고개를 지나 앞쪽으로 보이는 봉우리 우측을 지나 까치고개로 이어집니다
대티고개 300m전의 이정목과 산불감시 초소가 있는 곳을 지나고
좌측으로 부산 서구쪽 모습입니다
우측편으로 보이는 까치고개와 금화맨션, 공동묘지를 지나
우정탑이 있는곳으로 가는 낙동 마루금 모습
가파른 언덕에 있는 주택가의 좁은 골목을 따라 대티고개로 내려갑니다.
바닥에 빨간색 페인트로 화살표가 보입니다.
대티고개 사하구쪽 모습이고
대티고개 서구방향 쪽 모습
대티고개는 부산의 사하구와 서구의 경계에 있는 왕복2차선 도로가 지나는 곳입니다
대티고개에 도착하여 마루금은 횡단보도를 건너 우체통이 보이는 옆(강서할인마트)의
좁은 골목으로 직진하여 오릅니다. 올라가는 골목에는 간간이 표식기가 있고
담,구조물에 화살표와 낙동정맥이라 써놓아 길찻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까치고개를 지나고 아미까치 공용주차장 안 우측 소로를 따라 올라서면
주택가 골목을 지나고 도로명주소 53번집앞을 지나게 됩니다
아침을 먹기 위해 대티고개에서 까치 고개 방향의 시내에 있는
24시 웰빙 콩나물국밥 집에서 아침을 먹습니다(8:30~09:15)
앞서가던 산우들이 알바를 하고 늦게 도착한후 아침 식사중
콩나물국밥집에서 아침을 먹고 대티고개로 가지 않고 까치고개 방향으로 갑니다.(약5분정도 소요)
까치고개 직전의 도로에서 우측 계단을 따라 천마산 방향으로 오릅니다.
도로명 주소 53번 집이 있는 곳이 대티고개에서
까치고개를 지나 올라오는 곳과 만나는 지점입니다.
지나온 시악산쪽 모습이 보입니다
도로명 주소 53을 지나 직진으로 계속하여 오릅니다
까치고개를 지나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오르는 등로
09:52 공동묘지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갑니다.
묘지가 꽤나 넓습니다....풀잎에 묻은 빗물로 바지와 등산화가 다 젖어 버립니다.
공동묘지를 지나는 능선 좌측으로 송도쪽 모습이 운무때문에 희미하게 보입니다
공동묘지를 지나면 226m봉을 오르고
앞쪽으로 우정탑이 있는 246m봉이 보이는 능선을 지납니다.
등로 옆으로 산딸기가 많습니다...맛이 달콤하네요
09:52 우정탑이 있는 246m 봉을 지닙니다
우정탑에서
우정탑을 지나면 만나는 삼거리에서 직진하는 오르막으로 가면 안되고,
우측으로 90도 꺽어지며 내리막으로 가야 합니다.(독도주의 지점)
10:00 우정탑이 있는 곳에서 내려오면 만나는 임도,
등산객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 놓은 에어펌프가 있습니다.
등로는 현수막이 매어져 있는 나무 아래쪽 소로를 따라야 한다
지나온 우정탑이 있는 246m봉
임도를 건너 괴정고개(감천고개)로 가는 능선을 지나며 좌측 편으로 보이는 감천항쪽 모습
완만한 등로를 오르내리며 괴정고개(감천고개)로 향합니다.
다대포에서 낙동정맥 종주를 마치고
감천고개로 내려가는 등로 옆으로 산딸기가 한창입니다
앞쪽으로 벽산 아파트가 보입니다.
10:12 벽산아파트로 들어가는 철문(CCTV작동중)을 통과하여 아파트단지를 지나 아파트 정문을 지나고
아파트에서 내려가는 도로를 따라 넓은 차도에 도착하여 우측편으로 가면 괴정고개(감천고개)입니다.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CCTV 를 설치했다고 하는데도 벽산아파트를 통과해 감천고개로 갑니다.
아파트를 통과하지 않고 가는 방법은 아파트로 진입 철문 우측 도로를 따라 감천고개로 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괴정고개(감천고개) 모습입니다...커다란 육교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육교를 건너 낙동마루금이 이어집니다
선답자들의산행기에 나오는 괴정고개(감천고개) 육교 건너편 SK주유소 모습입니다..
주유소 좌측 도로를 따라 해동고교 쪽으로 간다고 산행기에 적고 있지만
지금은 신축건물이 길을 막고 있어서 주유소 옆 도로를 따라 해동고교를 지나
예비군 훈련장이 있는 곳으로 접근 할수 없습니다.(독도주의)
새로운 마루금은 육교에서 우측 SK 주유소로 내려가지 말고 좌측으로 내려가
사진의 우측 차도옆의 차량이 세워져 있는 옹벽이 있는 도로를 따라 가다가 우측 주택쪽으로 갑니다.
옹벽이 있는 도로에서 주택가로 올라가는 길..산밑까지 올라갑니다
도로끝 산밑에 있는 조은빌 주택을 돌아 우측으로 갑니다
조은빌 주택 뒤쪽의 콘크리트 배수로를 따라 가면 해동고등학교 철조망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10:37 해동고등학교 철망앞에서 마루금에 연결됩니다.
이곳에서 SK 주유소쪽에서 올라오는 등로와도 만납니다.
철조망 안쪽의 해동고교 건물과 운동장이 보입니다
해동고등학교 철조망이 있는 곳에서 산으로 조금 오르면
배수로를 건너 좌측 산으로 오르는 등로를 가야합니다.
잠시 가파른 등로가 이어지고
임도를 만납니다. 임도 변에는 96 임도시설 표지석이 있고 임도 따라 우측으로 갑니다
10:45 임도 좌측으로 예비군 훈련 시설물이 보이는 곳을 지나
임도따라 계속 내려갑니다.
임도 좌측으로 체육시설이 보이는 곳으로 향하고
10:54 체육공원 이정목이 있는 곳에서 군부대 방향으로 갑니다.
체육공원에서 군부대 방향 진입로 모습
임도와 등로가 갈라지는 삼거리에서 산으로 오르는 소로로 갑니다....
임도따라 가면 산으로 오르는 등로와 다시 군부대 정문앞에 도착합니다
10:58 넓은 헬기장을 지나고
11:00 예비군들이 훈련받는 군부대 철문앞을 지납니다.(체육공원에서 넓은 임도로 오면 이곳에서 만남)
철망을 따라 군부대를 지납니다
군부대 철조망을 지나는 등로 좌측으로 감천항쪽 부산앞 바다가 보입니다
군부대 철조망이 직진 으로 가다가 휘어지는 곳을 지나고 나면
철조망이 오르막으로 오르는 곳이 보이는 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 등로를 따라 철조망을 벗어납니다
철조망을 벗어나 좌측으로 내려가는 등로 를 따라 가면 자유 아파트 단지가 보입니다
자유아파트 단지 전에 있는 농구장이 있는 곳을 지나고
농구장을 벗어나면 도로에 닿게 되면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11:08 도로 우측 편에 있는 대동 중.고등학교 정문을 지나고
도로를 따라 계속 내려갑니다.
11:13 화물차량의 왕래가 많은 넓은 도로 건너편에 SK주유소가 보이는 장림고개에 도착합니다.
장림고개는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과 신평동을 잇는 고개이며, 왕복 6차선선 도로가 나있습니다.
낙동 마루금은 횡단보도를 건너 주유소 뒷편으로 보이는 산으로 올라야 합니다.
주유소 뒤쪽으로 바로 오르는 등로가 없어 주유소 좌측편 도로를 따라 가다가 산으로 올라야 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주유소옆에서 알바중인 산마루님을 잠시 기다립니다.
도로 건너편으로 방금 지나온 (쥬) 부산 海 사랑 건물과,
높은 지대에 있는 대동중고등학교 건물이 보입니다
SK주유소 뒤쪽으로 올라가는 등로가 없어서 도로 따라 약100m 정도를 갑니다
인도 오른쪽 산으로 오르는 보도블럭이 깔려 있는 곳으로 방향을 잡습니다
보도 블럭이 깔린 도로를 지나면 우측에 산으로 오르는 새로 만들어 놓은 나무계단을 따라 오릅니다
나무 계단 좌측은 산을 깍아 택지를 만든곳이 보이고 깍아 내린 산에는 옹벽을 만들어 놓은것이 보입니다.
낙동 마루금은 옹벽이 보이는 우측 산능선을 따라 걷게 됩니다
나무 계단을 오르며 구평동과 그앞의 바다를 봅니다
두번째 나무 계단을 따라 오릅니다
철망이 쳐져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좌측이 절개지라 위험해서 철조망 시설을 만들어 놓은듯 합니다
11:33 운동시설과 쉼터가 있는 봉화산(150m) 정상에 도착합니다.
체육시설이 있는 곳 조금 앞쪽으로 진행하면 조선시대에 봉화대가 있던 곳입니다
등나무 아래 쉼터에서 알바를 끝내고 이곳으로 올라오고 있는 산마루 님을 기다리며 잠시 휴시을 갖습니다.
낙동 마루금은 봉화산 체육시설과 쉼터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90도 꺽어지며 내리막입니다.(독도주의)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147m봉이 보입니다.
무명봉으로 오르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봉우리를 우회하여 갑니다.
무명봉에서 내려오는 등로 사거리를 만나면 직진하여 지나고
산길을 내려오면 차량이 다니는 포장도로를 만납니다. 마루금은 도로 건너 산길로 이어집니다.
11:58 도로를 건너 가파르게 오르면 우측으로 나무가지에 147m봉(준희) 표지판이 보입니다
147m봉을 내려가면 앞쪽으로 구평가구단지 건물이 보입니다
구평가구 단지 좌측으로는 부산 앞 바다가 보입니다
147m봉에서 내려온 마루금은 밭이 있는 곳을 지나고
12:03 구평가구 단지로 진입하는 포장도로에 닿습니다..삼거리에서 좌측도로를 따라 갑니다
도로를 따라 구평가구 단지의 상점앞을 지납니다
구평산마트,한샘인테리어로 오르는 도로 갈림길에서 좌측의 좁은 도로를 따라 갑니다
다시 도로를 만나면 우측편 천하지기 간판이 보이는 도로를 따라 갑니다
앞쪽으로 GT산업 표지판과 동서식당이 보입니다...동서 식당 앞에서 좌측으로 꺽어집니다
동서식당에서 좌측으로 꺽어지면 도로가 좁아지고 내리막입니다. 동아인쇄 간판이 있는 쪽입니다
가파른 내리막 도로 앞쪽으로 국제아파트 단지가 보입니다
12:15 삼환2차 102동 옆을 지나 차도로 내려섭니다.
차도에 내려서면 우측으로 갑니다
삼환2차 아파트 버스 정류장앞을 지나 도로를 따라 다대고개로 향합니다
다솜 초등학교 진입도로를 지나고
12:22 다대고개가 지나는 넓은 차도를 건너기 위해 도원정형외과 소아과 건물 옆의 육교를 오릅니다.
다대육교 모습, 육교를 건너 신다대APT 105동 앞에서 우측 산으로 오릅니다
신다대 APT 105동 앞에서 우측의 한전건물 옆의 서림사 방향 돌계단을 올라 갑니다
서림사로 오르는 길은 직진이고 우측으로 아미산 등산안내도가 있고 등로도 보입니다.
서림사 입구에 있는 아미산 등산 안내도
서림사 입구에서
12:26 등산 안내도의 등로가 아닌 서림사 진입로 좌측의 연등이 달려 있는 급경사 등로를 따라 오릅니다
너덜지대의 지그재그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산중턱에 있는 판넬로 지은 대웅전 건물 앞을 지나고
능선에 오르면 마루금은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돌무더기가 있는 곳에서 좌측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막바지 아미산 오르막 등로를 올라 좌측편으로 갑니다
12:58 아미산 응봉봉수대에 도착합니다.
봉수대 주변으로 둘러쳐져 있는 쇠 울타리에 아미산(234m) 표지판이 매달려 있습니다.
아미산에서 조망되는 부산 앞바다 쪽 풍경입니다
아미산 정상에서
아미산 응봉봉수대에서
응봉 봉수대가 있는 아미산에서 진행방향쪽으로 보이는 봉우리..
봉우리 정상에는 헬기장이 있습니다.
낙동마루금은 봉우리 오르기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응봉봉수대에서 소나무 숲길의 넓은 등로를 따라 홍티고개로 내려갑니다
13:21 홍티고개에 도착합니다.
홍티고개를 지나는 임도에도 에어펌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홍티고개에서 직진 하여 롯데캐슬 아파트 정문으로 들어가 도로를 따라 갑니다.
낙동정맥 마루금은 롯데캐슬 아파트 단지의 부지가 되어 버린곳입니다
도로에서 롯데캐슬아파트218동쪽으로 가서 218동과 219동 사이로 내려가
다시 도로를 만납니다.(218동으로 오지 않고 계속도로 따라가도 됨)
다시 도로를 만나고 도로를 따라 앞쪽으로 보이는 106동 앞을 지나 내려갑니다.
이곳을 지날때 산마루님이 알바를 하는 동안 기다려줘 고맙다는 답례로
설레임(아이스크림)을 사줘서 맛있게 먹었습니다
도로를 내려가면 응봉초등학교 정문앞을 지나고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으로 가다가 담장끝에서 좌측으로 갑니다.
중현초등학교 앞을 지나고
13:50 다대1동 우체국앞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편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다대1동 우체국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 도로...앞쪽으로 몰운대 앞바다가 보입니다
넓은 해변도로를 만나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 방향이 몰운대 낙조분수 공원입니다...
넓은 도로는 지금 지하철 공사가 한창입니다
넓은 해안도로를 건너 좌측방향으로 지하철 공사중인 철판의 인도를 따라 몰운대 방향으로 갑니다
몰운대 교통표지판이 보입니다..우측 방향입니다
우측편으로 다대포 꿈의 낙조 분수공원이 있습니다
다대포 낙조 분수대 공원을 끼고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면 몰운대로 가는 길입니다.
도로변으로는 횟집이 늘어서 있습니다.
산호장 횟집을 지납니다.
14:00 몰운대 표지석이 화단 가운데 서 있는 곳에 도착 합니다.
부산 몰운대는 부산에서 알아주는 비경중의 하나입니다.
1863년 일본 통신사 조엄이 해상일기에 해운대와 몰운대를 구경한 뒤 비교하여 이르기를
조그마한 섬으로 고요하고 조용한 가운데 아름다워 아리따운 여자가
꽃속에서 치장을 한 것 같다고 했다네요.
부산 최남단 끝의 낙동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삼각주를 이룬 곳으로 원래는 섬이였습니다.
몰운대의 총면적은 506천㎡로 1972년 6월 26일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다대포 해수욕장을 지나 외딴섬인 몰운대는 부산의 3대(臺)(태종대,해운대,몰운대)중의 하나입니다.
부산의 3대는 먼저 울창한 숲이 있고, 기암괴석이 있으며, 하늘과 바다를 만리까지 볼수 있었다고 합니다.
몰운대 표석에서
몰운대 표지석 뒤편에는 몰운대 유원지 안내도와
부산광역시 지정기념물 27호 몰운대에 대한 안내문이 있습니다
몰운대 표석이 있는 곳에서 포장된 숲길을 따라 약 800m정도를 더 가야 정맥길이 바다로 가라 앉습니다
몰운대 시비를 지나고
몰운대
동래부사 李春元의 시(詩)
浩蕩風濤千萬里(호탕풍도천만리) 호탕한 바람과 파도가 천만리 이어지는데,
白雲天半沒孤臺(백운천반몰고대) 하늘가 몰운대는 흰구름에 묻혔네.
扶桑曉日車輪赤(부상효일차륜적) 새벽바다 돋는 해는 붉은 수레바퀴 이니
常見仙人賀鶴來(상견선인하학래) 언제나 신선이 학을 타고 오는구나.
객사는 조선시대 지방 관아건물의 하나로 각 지방의 행정중심지에 있었으며,
수령이 부임할 때 의식을 치르고 또 임금의 상징인 전패(殿牌)를 안치하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하여 망배(望拜, 임금이 있는 대궐을 향해 절하는 것)를 드리던 곳 이며,
사신의 숙소로 이용되기도 하였던 곳입니다.
현재 다대포 몰운대 내에 있는 객사는 조선후기 다대포 일원의 방어를 담당하던
다대첨절제사영(多大僉節制使營)의 건물 중 하나였으며,
일제시대에 폐허가 된것을 1970년에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엿따고 합니다
14:13 다대포 객사(회원관)앞을 지납니다
다대포 객사를 지나 자갈 마당 방향으로 갑니다
전망대 방향으로 갑니다
전망대는 계단을 내려갔다가 앞쪽으로 다시 올라야 합니다
우측으로 다대포 바다가 보이고 바다에 떠있는 아름다운 쥐섬도 보입니다
이제 저 계단만 오르면 낙동정맥 마루금은 맥을 다하게 되겠죠
다대포 낙동정맥의 끝입니다...폐 군용 벙커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낙동정맥 끝자락 다대포의 폐 벙커 모습
벙커가 있는 낙동정맥 마루금 끝에서 쥐섬을 바라보며...
지난해 2012년 8월에 매봉산 천의봉에서 출발하여 산행회수 26회를 하며
11개월이란 긴 여정애 천리길을 달려온 마루금 끝...더 갈데도 없습니다.
망망대해 바다를 바라보며 마음속에 응어리진 나쁜 상념들이 담겨있는 무거운 짐을
저 깊은 바다속에 던져 버리고 홀가분한 맘으로 낙동정맥 종주 산행을 마칩니다.
쥐섬 좌측 옆의 경도
등대와 쥐섬
다대포 등대
다대포 앞바다로 빠져드는 낙동정맥의 끝 암릉...
다대포에서 낙동정맥 종주를 마치며
몰운대 곰장어집에서 산행을 마치고 자축하는 자리를 갖었습니다
11개월동안 27회에 걸쳐 비와 바람,눈,추위와 더위 그리고 어려움을 함께 하며
1000리 산길을 고생하며 걸었던 산우들과의 산행은 아름다운 추억으로
내 마음속 깊이 오래 오래 기억하게 될것입니다.
그간 즐거웠습니다. 그리고 낙동정맥 완주 하신것도 축하드립니다.
- 산정 -
'9정맥 산행(2007~2014) > 낙동정맥(2013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동정맥26구간(지경고개-금정산-원효봉-만덕고개-불웅령-백양산-개금고개)산행 (0) | 2020.06.10 |
---|---|
낙동정맥25구간(원효암-582m-운봉산-남락고개-지경고개)산행 (0) | 2020.06.10 |
낙동정맥24구간(지경고개-정족산-천성산2봉-천성산-원효암)산행 (0) | 2020.06.10 |
낙동정맥23구간(배내고개-배내봉-간월산-신불산-영축산-지경고개)산행 (0) | 2020.06.10 |
낙동정맥22구간(와항재-문복산갈림길-상운산-가지산-능동산-배내고개)산행 (0) | 202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