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남.호남정맥상지맥/성수지맥(2022완)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지초봉-원통산-원치)

by 山頂 2022. 8. 19.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배재-지초봉-원통산-원치)

 

♧ 산행일시 : 2022.08.17. 목,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뉴마포산악회원 14명/ 회비 37,000원

♧ 산  행 지 : 전북 임실군 임실읍, 삼계면

♧ 산행구간 : 번화치 - ▲490.4m - 무제봉 - 배재 - 지초봉(×570m) - 원통산(×603.5m) - 원치

♧ 산행거리 : 14.22km

♧ 산행시간 : 05시간53분(09:44~15:38)

♧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배재-지초봉-원통산-원치)산행기록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배재-지초봉-원통산-원치)산행트랙

성수4구간(번화치-원고개)산정.gpx
0.08MB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배재-지초봉-원통산-원치)동시간

    ※ 09:44  전북 임실군 임실읍 이인리 산 66-1 산행시작

        09:58  ×513m/잡목지대통과 

        10:09 ▲490.4m삼각점봉/녹슨철망울타리

        10:13 임도/독산고개까지 임도 진행

        11:20 독산고개/우측산길진입

        10:33 작은묘목심어놓은 벌목봉(×445m)상단/좌틀 산길진입

        10:45 ×516m/좌틀

        10:51 무제봉(×558m)/두만산 우측, 성수지맥좌측

        11:23 ×476.9m 

        11:37 벌목지 

        12:03 ×385m 

        12:14 ×475m/좌측 진행 

        12:24 ×485m 

        12:30~12:40 간식및 휴식 

        12:50 배재

        13:17 ×535.1m 

        13:27 ×485m/우틀 13:43 지초봉(×569.9m) 

        13:49 지초봉삼거리/좌틀

        13:59 새목재 

        14:09 ×541m고지/좌틀

        14:32 원통산(▲603.9m/산불감시카메라탑)

        14:48 학정리 하산 갈림길/지맥우측 

        14:53 ×475m 

        15:00 ×444.5m/준.희산패 

        15:29 원치(세학로 2차선차도) 

        15:38 학정리 학정(전북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 515-3)산행종료

성수지맥4구간(번화치-▲490.4m-무제봉-배재-지초봉-원통산-원치)산행지도

성수4-1
성수4-2

 

산행메모

 

지난주에 걸었던 성수지맥3구간은 비를 맞으며 잡목지대를 통과하느라

많은 고생을 했었는데...오늘 걷게될 성수지맥4구간도 잡목이 많은 구간이였다.

성수지맥4구간은 745번도로가 지나는 번화재에서 시작하여 삼각점이 있는

▲490.4m봉, 독산고개, 무제봉(×558m), 배재, 지초봉(×569.9m), 새목재,

원통산(▲603.9m), ×444.5m봉을 내려와 2차선차도가 지나는 원치까지 약14km이나

오늘은 8월 중순의 무더위와 벌목지에 자란 잡목과 풀숲을 헤치며 걸어야 했기에

산행거리는 비교적 짧았으나 조금은 버거운 산행이였다.

09:44   번화재는 전북 임실군 임실읍 이인리에 속해 있는 고개로

임실읍과 삼계면을 연결하는 745번 2차선 차도가 지나며

도로명은 '임삼로'로 불린다. 번화재 고갯마루에서 절개지 옹벽을 올라서며

성수지맥4번째 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09:58    산길에 들어서 경사의 등로를 약15분정도 오르면 벌목지에 닿는다.

벌목지 아래로 묘지가 보이는 방향이 지맥 능선인데...

잡목과 풀이 우거져 등로는 보이지 않는다

선두에서 잡목과 풀이 우거진 곳을 헤치며 묘지 방향으로 내려가는데...

잡목에 할퀴고, 젖은 풀로 등산화와 바지가 금방 젖어 버린다.

묘지를 지나면 컨테이너가 있는 곳에 닿고,

컨테이너 옆을 지나 잡목을 헤치며 490.4m삼각점봉으로 가는데

삼각점봉 닿기전까지 잡목과 풀이 우거져 어렵게 진행한다.

10:09  녹슨철망울타리가 있는 곳을 넘어서면 풀숲에 숨어 있는

490.4m의 삼각점을 확인한다.

10:13    삼각점봉을 지나면 등로는 조금 편안해 진다.

내리막 등로를 따라 약3분쯤 내려가다가 철망울타리를 넘어

세멘트포장도로에 내려선다.

포장도로를 따라 독산고개로 내려가는 앞쪽으로

간벌지역 뒤로 성수지맥 마루금이 보이네요

성수지맥은 독산고개에서 우측의 간벌을 하고 묘목을 심어 놓은 곳으로 올랐다가

좌측으로 휘어져 앞쪽에 보이는 간벌지 뒤의 능선을 지나게 됩니다.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임도삼거리를 만나고...

지맥은 직진으로 능선을 올랐다가 독산고개로 내려오게 되는데..

잡목의 능선을 오르지 않고, 우측의 임도를 따라 독산고개로 향합니다.

10:20    임실읍 이인리 독산마을의 임도가 지나는 독산고개에 닿고

임도 우측의 산길을 올라 성수지맥 마루금에 접속합니다.

이인리는 노령산맥의 자락에 위치하여 비교적 고도가 높고 산지가 많은 곳으로

남쪽에는 봉화산, 노산봉 등의 산지가 이어져 있고 하천의 시작점이 여럿 있다.

자연마을로는 망정마을이 있으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이 곳으로 피난했던

마을 사람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달래고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독산고개에서 산으로 들어서면 잠시후에 편백나무를 심어 놓은 곳에 닿고

좌측 숲과 편백나무 묘목지 사이로 잡목을 헤치며 올라갑니다.

편백나무 묘목지를 벗어나면 벌목을 하고 묘목을 심어 놓은 민둥산에 닿고

좌측으로는 조금전 임도를 내려오면서 보았던 벌목지가 보이네요

직진으로 민둥산을 올라갑니다.

10:33   벌목지에 작은 묘목을 심어 놓은 민둥산 최상단부에 닿고....

좌측편으로 휘어져 숲이 우거진 산길을 오릅니다.

묘목을 심어 놓은 벌목지에서 좌측 숲길로 들어서 능선을 오르고...

10:45   능선에 닿으면 다시 좌측으로 휘어져 올라가 약516m봉에 닿고,

이곳에서 또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릅니다.

10:51    성수지맥 무제봉(×558m)에 닿습니다.

지맥에서 우측으로 약600m 떨어져 있는 두만산(×524.5m)이 있지만

무더운 날씨와 남아있는 잡목지대를 걸을 생각에 포기를 합니다.

두만산에 오른다해도 잡목으로 조망도 막혀있고...산패도 없다고 하네요

좌측으로 휘어져 성수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무제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갑니다.

무명봉을 오르고...

완만하게 능선을 걷다 고도를 올리며 다시 오르고..

11:27    굵은 소나무의 곁가지에 산너머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성수지맥 476.9m봉에 닿습니다.

476.9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고도를 약60m정도 낮추며 내려가

안부에 닿고, 안부에서 다시 고도를 높이며 오르게 됩니다.

11:37  안부에서 잠시 오르면 앞쪽으로 벌목지가 펼쳐져 보이는곳에 닿습니다.

벌목지 앞쪽의 좌측으로 보이는 뾰족한 원통산과 그 우측의 지초봉,

그리고 그 우측으로 오늘 걸어야 할 성수지맥 마루금이 보이네요

8월의 뜨거운 태양을 고스란이 온몸으로 받아들이며

 풀이 무성하게 자라있는 벌목지를 지납니다.

계속해서 벌목지를 지나다가 앞에 보이는 벌목지 상단에서

우측의 숲길로 들어서야 합니다.

좌측으로 휘어져 벌목지를 계속가지 않도록 독도주의

벌목지 우측 능선으로 등로가 보이고...

등로를 따라 완만하게 능선을 내려갑니다.

12:03   안부에 내려섭니다.

우측의 임실군 청웅면 청계리와 좌측의 임실읍 이인리의

경계가 되는 고개안부이며, 이곳을 지나면서 부터

다시 급경사의 오르막 등로를 오르게 됩니다.

고개를 지나 급경사의 잡목많은 등로를 오르고...

12:14   약475m의 무명봉에 오릅니다.

마루금은 이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오르고...

12:24   굵은 참나무가 서있는 약485m봉을 지납니다.

485m봉에서 조금더 진행하여 펑퍼짐한 능선을 만나고

그곳에서 약10여분의 휴식을 취하며 간식으로 점심을 대신합니다.

485m봉을 지나면 잡목과 풀이 무성한 등로를 따라 고도를 낮추며 배재로 내려갑니다.

배재로 내려가는 잡목과 풀이 무성한 등로를 지나고..

좌우로 통로가 없는 완만한 능선 안부인 배재에 닿게 된다.

배재는 좌측의 임실읍 이인리와 우측의 청웅면 옥석리를 이어주는 고갯마루로서

양쪽 마을에 이곳 배재와 관련된 내용조차도 보이지 않는다.

배재를 지나면 535.1m봉을 향한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535.1m봉으로 고도를 높이며 오르는 등로 풍경

535.1m봉으로 고도를 올리며 오릅니다.

535.1m봉 막바지에 급경사의 비탈을 오르고...

13:17    산너머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535.1m봉에 닿습니다.

535.1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는데,

내리막 등로의 잡목과 풀이 또 발걸음을 더디게 한다.

고도를 낮추었던 등로는 다시 또 고도를 올리며 잡목의 숲을 오르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지초봉을 향해 등로를 오릅니다.

13:37   새롭게 만들어지는 임도를 만나게 되며

오르막 등로가 갑자기 끊깁니다.

절개지를 올라서 지초봉으로 향해야 하는데...

맨질거리는 경사의 절개지 오르는게 쉽지 않네요

어렵게 절개지를 올라서고 다시 숲길의 등로를 따라 지초봉으로 향합니다.

13:43   지초봉(569.9m) 정상에 도착합니다.

지초봉은 전북 임실군 삼계면 죽계리에 속해 있는 산으로

정상부에는 정상표지판과 이정목이 있으나 숲이 우거져 조망은 없다.

산아래에는 세심자연휴양림이 있다.

지초봉 정상부 풍경....새목재로 내려갑니다.

지초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면 이정목이 있는 지초봉 삼거리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새목재로 내려갑니다.

새목재로 내려가는 등로는 제초작업을 한듯...편안하게 내려갑니다.

국가지점번호를 지나고...

편안한 등로를 따라 새목재로 내려갑니다.

이정목이 서 있는 임도가 보이는 곳에서 임도로 내려갑니다.

임도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면 새목재 입니다.

새목재로 내려가는 임도에서 보이는 원통산(603.9m)풍경

앞쪽으로 이정표가 서 있는 새목재가 보이고.

새목재에서 임도를 버리고 산길로 들어가야 합니다.

13:59   새목재의 이정표

임도를 버리고 원통산 방향으로 오르는 숲길을 따라 오릅니다.

새목재에서 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는 산길을 오르고..

 뜨거운 태양볕이 내려쪼이고 그늘이 없는 넓은 임도 수준의 등로를 오릅니다.

14:09     높은 안테나가 서 있고, 이정표에 541고지 표시가 되어 있는 봉에 닿습니다.

541m봉 우측으로 보이는 전북 강진의 백련산(▲754m)풍경

백련산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과 청웅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영취산(靈鷲山)이라고도 한다. 산 아래 강진면 백련리 신기마을에서 산을 보면

봉우리가 연꽃 몽우리처럼 보여 백련산이라고 부른다.

 팔공산(1,157m)에서 남서쪽으로 뻗어나간 능선이 706고지를 지나

이 산까지 연결된다. 산 아래 방현리에서 오르면 높이 10m의 용소폭포가 있다.

정상에는 부처바위가 넓게 자리잡고 있고, 이외에도 쌍선대라는

두 개의 큰 바위가 솟아 있으며, 모악산(793m)·만덕산(763m)

회문산(830m)이 한눈에 들어온다.

541m고지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좌측끝으로 보이는 원통산으로 향합니다.

541m고지의 하늘을 찌를듯이 솟아 있는 안테나

원통산으로 오르면서 뒤돌아본 강진의 백련산 풍경

원통산으로 오르는 등로는 완만하게 오릅니다.

원통산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산불감시카메라탑이 있는 곳에 닿고

산불감시카메라탑 옆으로 원통산 정상안내판이 있고

훼손된 원통산정상표지판과 이정목, 국가지점번호가 있습니다.

산불감시카메라탑이 있는 정상표지판에서

산불감시카메라탑이 있는 정상표지판에서

산불감시카메라탑이 있는 곳을 지나면 원통산등산로 이정목을 만나고

이정목 뒤쪽으로 오르면 원통산 삼각점과 정상표지가 있는 곳에 닿습니다.

원통산 삼각점

원통산(603.5m) 정상표지판

원통산(603.5m, 갈담317 삼각점)은 전라북도 임실군의 덕치면 사곡리와

두지리 및 가곡리 그리고 삼계면 학정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해발고도는 603m이고

남쪽으로 시루봉과 북쪽으로 지초봉과 연결된 산줄기를 이룬다.

서쪽 사면에서 평지천이 발원해 섬진강으로 흘러 들고

동쪽 사면에서 후곡천이 발원해 오수천에 합류한다.

「여지도서」(임실)에 원통산(元通山)은 두만산에서 뻗어 나오고 관아의

서쪽 35리에 있다고 하였으며,

이후 「여지고」에 원통산(元通山) 혹은 원통산(圓通山)이라고 하였고

서남쪽 40리에 있으며 남원(南原)의 경계이다 라고 하였다.

「광여도」에 읍치 남서쪽 덕치면 지역이며 발산(鉢山)과 이어진 산줄기로

원통산(元通山)이 묘사되어 있고 그 밖에 「해동지도」와 「1872년지방지도」 등의

주요 군현지도에 산이 읍치 남서쪽으로 묘사되어 있다.

산 지명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설이 있는데 김해 양씨가 멀리서 산세가 좋다는 말을 듣고

이곳에 와서 조상들을 모실 명당자리를 찾았으나 헛수고를 하고 순창에 명당자리를 잡았다.

그 뒤부터 먼 곳에서 찾아왔다가 헛걸음하고 마음을 아파하며 돌아갔다고 해서

멀 원(遠)과 아파할 통(痛)을 써서 원통산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네이버지식백과 한국지명유래집글 인용)

원통산 정상에서

원통산 정상에서

원통산 정상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원통산 좌측으로 보이는 팔공산 풍경

원통산에서 내려오면서 좌측으로 보이는 천황산, 개동산쪽 풍경

원통산에서 내려오면 넓은 헬기장을 만나고

헬기장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국가지점번호가 설치되어 있고, 등산로가 잘 되어 있는 등로를 내려갑니다.

14:48     지맥능선에서 학정리로 하산할수 있는 삼거리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지맥은 444.5m봉을 지나 원치에 닿고, 원치에서 도로 따라 내려가면 학정리가

오늘 산행 종착점으로, 이곳에서 원치를 거치지 않고 빠르게 학정리에 닿을수 있는 갈림길이다.

몇몇 산우는 학정리로 하산을 하고...나머지 일행은 444.5m봉으로 향합니다.

철쭉나무 우거진 능선을 오르고...

14:53   약475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47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15:00   굵은 소나무에 준.희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444.5m봉에 닿고

오늘 성수지맥 산행중에 마지막 봉우리로

좌측으로 내려가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 원치에 닿게 됩니다.

444.5m봉을 지나면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가게 되고...

잡목을 헤치고 내리막 능선을 내려가 원치로 향합니다.

15:29   원치 고갯마루직전의 돌로 쌓아 놓은 축대를 내려서 도로에 닿습니다.

원치고개(2차선 포장도로)는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에 있는 고개로

 북쪽에는 깃대봉, 남동쪽은 풍악산이 있으며 동쪽에는 오수천이 흐른다.

성수지맥 4번째 구간 산행은 이곳 원치고개에서 마치고

좌측의 학정리 마을회관쪽에 버스가 있어 그리로 향합니다.

원치에서 학정리로 내려가는 '세학로' 2차선 차도

원치에서 학정리 까지는 약900m정도 된다고 합니다.

학정리로 내려가는 도로변에 있는 '추원문'(追遠門)

추원문 안쪽의 건물에는 양효재(養孝齋)써 있네요

학정리에 도착합니다.

학정리 북쪽에는 깃대봉이 있고 남동쪽은 풍악산이 있다.

동쪽에는 오수천이 흐른다.

산간지역 내의 좁은 평야지역에 자리한 마을이다.

13번 국도가 지나가고 있어 교통은 비교적 편한 편이다.

자연마을에는 학정마을이 있다.

이는 사람들이 마을 뒷산 학이 놀던 곳에 정자를 짓고

학정이라고 이름 붙인 데서 연유한 것이다.

학정(鶴亭)과 산악회 버스가 보이네요

학정리 사촌마을 표석이 있고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의 학정(鶴亭)앞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