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둘레길4코스→3코스 트레킹 메모
♤ 산행일시 : 2025년6월22일.일. 날씨 : 맑음
♤ 산행구간 : 북한산 둘레길 4코스→3코스
* 북한산보국문역-정릉중앙하이츠아파트-솔샘마당-화계사-국립통일교육원
♤ 산행참석 : 반달,돌다리,백구,파초,산정(5명)
♤ 산행거리 및 시간 : 6.67km/3시간27분(09:38~13:06)
♤ 북한산둘레길3코스~4코스 오록스맵트랙
♤ 북한산 둘레길 3코스 지도
♤ 북한산 둘레길 4코스 지도
산행메모
산&우정 카페 6월 산행으로 북한산 둘레길 4코스와 3코스를 걷기로 했다.
산행은 4코스의 정릉탐방지원센타앞을 출발하여 북한산생태숲을 지나
북한산둘레길3코스로 들어서 구름전망대를 지나 이준열사묘지가 있는 곳까지
걸을 예정으로 만나는 장소는 우이선 경전철의 북한산보국문역 1번출구에서
09:30에 공지가 되었고 오늘 산행에 참석하는 인원은 5명이다.
어제 DMZ평화의길21코스를 걷고와 조금 피로감이 남아 있었지만
북한산 보국문역에 시간에 맞춰 도착하기 위해 07:35분경 부천 중동역을
출발해 신설동에서 우이선경전철을 환승하여 북한산보국문역의
1번 출구에 나오니 만나기로한 시간보다 30분이나 일찍 도착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의 4코스를 걷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110번 버스를 타고
종점에 내려 북한산국립공원정릉탐방지원센타에서 출발하여야 하나
걷는 구간을 변경하여 정릉탐방지원센타에서 정릉대우아파트앞쪽의
CU편의점까지는 생략하고, 북한산보국문역에서 도보로 정릉천의 산책로를
따라 정릉대우아파트앞의 CU편의점까지 이동하여 북한산둘레길4코스에
접속한후 본격적인 둘레길 걷기를 하기로 합니다.
북한산둘레길 4코스의 총거리는 2.1km이고 소요시간은 1시간 정도 걸린다.
교통편은 지하철 길음역 3번출구에서 버스 143, 110B번을 타거나
우이선 경전철 북한산보국문역1번출구에서 110A, 110B를 타면 된다.
♥
09:38 북한산보국문역1번출구의 버스정류장앞을 출발해
북한산 둘레길4코스에 접속하기 위해 정릉대우아파트로 향합니다.
오늘 북한산 둘레길을 함께 걷기로 한
산&우정 카페 회원 반달님, 백구님, 파초님이
도착하지 못한 돌다리님을 기다립니다.
북한산둘레길4코스는 솔샘길이라고 하는데
옛부터 소나무가 무성하고 , 맑은 샘이 있어 솔샘이라 불리운 곳으로
이구간을 지나가는 동안에 거쳐가는 북한산생태숲은 성북구의 대표적인
도시공원으로 작은 꽃길을 따라 야생화단지가 잘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북한산 보국문역1번출구에서 '보국문로' 횡단보도를 건너
정릉천변으로 만들어진 산책로를 따라 경국사 방향으로 갑니다.
정릉천변에 만들어진 산책로에는 휴일을 맞아 산책 나온 주민들이 많이 보이네요
09:48 정릉천변 산책로를 따라 가면 삼각산 경국사 일주문앞에 닿습니다.
삼각산 경국사 일주문앞에서 정릉천을 건너
정릉천을 좌측에 두고 산책로를 따라 걷습니다.
계속해서 정릉천변을 따라 걷고
09:50 파리바게트가 있는 왕복2차선의 보국문로에 닿습니다.
북한산둘레길 4코스에 접속되는 지점입니다.
CU편의점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주택가의 도로를 올라갑니다.
주택을 지나 조금 오르면 중앙하이츠아파트 앞에 닿게 되고
중앙하이츠아파트 우측편에
북한산 둘레길 솔샘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 닿고
산으로 오르게 됩니다.
북한산 자락으로 들어서면 오르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나무계단길이 시작되고
계단길을 따라 고도를 높이며 올라갑니다.
숨을 헐떡이며 계단길을 올라서면 솔샘마당 표지석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솔샘마당 표지석 좌측편에는 넓은 공터에 운동시설과 쉼터가 조성되어 있네요
북한산 둘레길은 운동시설이 있는 곳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솔샘마당 표지석옆에 있는 북한산 둘레길 현위치 지도
그리고 이정표
좌측으로 휘어져 빨래골 공원지킴터 방향으로 갑니다.
솔샘마당의 운동시설...
북한산 둘레길 4코스는
이곳을 지나서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운동시설이 있는 곳을 지나면 이정표가 있고,
우측에 정릉초등학교가 보입니다. 북한산 둘레길은
좌측으로 휘어져 화계사 일주문 방향으로 갑니다.
솔샘마당 운동시설을 지나며 걷게 되는 둘레길 풍경
앞쪽으로 '북한산생태체험관'이 있는 곳을 향해 오릅니다.
북한산생태체험관 풍경
북한산 생태체험관을 지나면 만나는 공원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공원우측 끝에 있는 솔샘길구간 이정표
좌측으로 휘어져 화계사 일주문 방향으로 갑니다.
북한둘레길 지도에는 이곳 부터 북한산둘레길3코스에
해당되는 것으로 표시 되는데...실제는 4코스네요
사색의 숲을 지납니다.
사색의 숲을 지나 내리막 등로에 작은 연못이 조성되어 있는 곳을 지납니다.
연못을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가고
유아숲체험원을 지나며 평탄한 둘레길을 걷습니다.
산길 오르막등로에 북한산 둘레길3구간(흰구름길) 아취문과
서울둘레길 스템프함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흰구름길은 북한산생태숲공원에서 이준열사묘역까지 약4.1km인데
구간내에는 12m높이의 구름 전망대가 있다. 원형계단을 통해 전망대에
오르면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용마산, 아차산등 서울 도심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 멋진 경관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빨래골 계곡을 지나기도 하는데 물이 맑고 수량이 풍부해 대궐의
궁중 무수리들이 발래터와 휴식처로 이용하면서 빨래골이란 명칭이
유래되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곳도 지나게 됩니다.
북한산둘레길3구간(흰구름길)에서
북한산둘레길3구간(흰구름길)에서
흰구름길 아취문을 통과하면 등로는 계단길을 오릅니다.
등로 바닥에 돌을 깔아놓은 곳도 오르고
빨래골 공원지킴터가 700m거리에 있다는 이정표를 지납니다.
등로에 돌을 깔아 놓은 곳을 완만하게 지납니다.
나무계단을 내려서면
빨래골 공원지킴터가 500m거리에 있다는 이정표를 만나고
우측으로는 삼양체육과학공원으로 갈 수 있으며
북한산 둘레길은 직진방향의 산길을 오릅니다.
산길을 올라서면 목책이 설치되어 있는 완만한 등로를 지나고
나무계단을 따라 다시 등로를 내려갑니다.
등로 우측으로 경천사가 보이는 곳을 지납니다.
경천사 뒤쪽으로 멀리 수락산과 불암산도 보이네요
경천사뒤를 돌아서 계단길을 내려갑니다.
10:36 빨래골공원지킴터가 있는 곳에 닿습니다.
빨래골은 강북구 수유제1동 486번지 일대에 있던 마을로서
삼각산 동쪽 골짜기에 수량이 풍부하고 물이 맑아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되고
인근 주민의 쉼터와 빨래터로 이용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대궐의 궁중 무수리들도 빨래터와 휴식처로 이용하였다는 일화도 있으며
지금도 다리 등의 이름으로 널리 통용되는 지명이라고 합니다.
빨래골은 북한산이 시내 쪽으로 쭉 뻗쳐 내려온 칼바위능선 골짜기에
해당하는 곳으로 골짜기 안쪽에 삼성암이라는 암자가 있고 왼편 산자락에는
아주 특이한 모습의 묘비가 세워져 있는 공초 임상순 선생의 무덤이
자리 잡고 있다. 북한산 둘레길은 빨래골공원지킴터를 지나 계단을 오른다.
10:41 계단을 올라 산자락을 휘돌아 오르내리며 가면
장수천(長壽泉) 쉼터를 만나네요
샘은 없는 장수샘 쉼터에서 한참을 쉬었다가 갑니다.
장수샘에서 쉬었다가 능선을 오르면 '구름전망대'를 만납니다.
높이12m의 독특한 모양의 원형계단을 통해 구름전망대에 오르면
서울시내의 북동 방향의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용마산
아차산과 서울 도심의 아름다운 경관을 볼수 있습니다.
오늘은 구름전망대를 오르지 않고 그냥 지나갑니다.
후기를 쓰면서 예전에 전망대에 올랐던 사진으로 대신해 봅니다.
도봉산 오봉과 도봉 주능선 그리고 자운봉,만장봉,선인봉쪽 풍경
북한산과 영봉...오봉쪽 풍경
구름전망대에서 본 수락산(좌)과 불암산(우) 쪽의 도심풍경
수락산쪽 풍경
멀리 천마산과 백봉산...그리고 우측으로 검단산까지 조망됩니다.
구름전망대 조망
구름전망대 조망
구름전망대에서
오봉과 도봉산 주능선 중앙의 양주 불곡산, 우측으로 수락산과 불암산 풍경
구름전망대를 지나 북한산 둘레길을 이어갑니다.
화계산 일주문쪽으로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화계사가 보이네요.. 절 안으로는 가지 않았습니다.
이곳 화계사는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에 있는 조계종 사찰로 1522년(중종17)
신월 스님이 북한산 부허동에 있던 보덕암(普德庵)이라는 암자를 현재의 위치로
옮겨 창건하였다. 1618년(광해군 10) 화재로 전소된 것을 1619년 중건
1866년(고종 3) 용선(龍船)과 범운(梵雲)선사가 중수하여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 명부전, 관음전, 삼성각, 천불오백성전, 범종각, 보화루, 요사채가
조성되어 있으며 명부전 현판과 주련의 글씨는 흥선대원군의 친필로 알려져 있다.
조선 23대 왕 익종의 왕비인 조대비가 1877년 화계사에 안치했다고 알려진
명부전의 지장보살과 시왕은 고려 말 나옹스님이 깎은 조각 작품들로
보물 제1822호로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우측으로 화계사 일주문이 보이는 곳에 닿습니다.
북한산 둘레길의 흰구름길은 화계사와
화계사 일주문 사이에서 좌측 계단을 오릅니다.
나무계단을 지나면 돌계단을 가파르게 오르고
또 다시 나무계단을 오릅니다.
길게 오르막등로가 이어지는 구간에서
우측으로 보이는 등로로 갔으면 좋으련만
사유지라 통행이 불가하여 직진으로 계속 오릅니다.
또 다시 돌계단을 오르고
12:07 긴 오르막 등로의 정점에 닿네요
오르막의 정점을 지나고 나면 편안한 등로를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좌측편의 나무사이로
북한산의 주능선과 오봉쪽 풍경이 보이네요
조금더 내려가면 이번에는 삼각산이(백운대,인수봉,만경대)보이네요
계속해서 계단길을 내려갑니다.
12:20 냉골공원지킴터 입구를 지납니다.
길을 건너 등로 우측편으로 운동시설물들이 있는 옆을 지나 다시 산길로 들어섭니다.
나즈막한 산능선을 넘어 내려갑니다.
등로를 내려서는 좌측편으로 보이는 삼각산 풍경
산능선을 내려서면 '가오천' 위에 놓인 작은 다리를 건너서
우측으로 휘어져 도로를 따라 '화계운수'를 지납니다.
북한산둘레길은 화계운수를 지나 직진의 도로를 따라 잠시 내려갑니다.
한국전력강북지점 앞쪽에서 도로 좌측의 돌계단을 오릅니다.
우측에 철망울타리가 쳐져 있는 등로를 따라 가파르게 오릅니다.
나무계단길도 오르고...
12:41~12:52 오르막 정점에 닿으면 넓은 공터의 쉼터가 조성되어 있어
잠시 쉬었다가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흰구름길 구간 아취문을 만나고
아취문옆에 있는 현위치 안내도를 보고
통일교육원 정문쪽으로 향합니다.
통일교육원 앞쪽에 있는 이정표
통일교육원 풍경
이곳에서 북한산둘레길3코스를 마칩니다.
통일교육원앞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근현대사 기념관 앞을 지나고
선일교통 버스종점을 지납니다.
♥
선일버스종점을 지나면 시립강북청소년쎈타를 만나게 되는데
그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 '산마루쉼터'음식점에서 산행뒷풀이후
우이선경전철 4.19묘지역에서 전철로 귀가길에 올랐습니다.
'코리아 둘레길 > 북한산둘레길(2015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둘레길7코스(자하문호텔-탕춘대성암문-북한산자락길전망대-장미공원) (4) | 2025.05.30 |
---|---|
북한산둘레길8코스(구름정원길:북한산생태공원~진관생태다리) (2) | 2024.10.10 |
북한산 둘레길5~6구간 트래킹 (1) | 2024.07.14 |
북한산 둘레길 18코스~20코스 (0) | 2024.02.20 |
북한산 둘레길 제18구간(도봉옛길) 산행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