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지맥6구간(화동고개-279.6m-고봉산-봉화산-세포삼거리-백야대교)산행
♧ 산행일시 : 2020.06.18.목, 날씨:폭우(제주,남해일원 폭우주의보 발령)
♧ 산행참여 : 새마포 여수지맥팀44명
♧ 산행구간 : 화동고개-226.7m-279.6m-고봉산-봉화산-디오션CC-세포삼거리-백야대교-백야삼거리
♧ 산행거리 : 14.39km
♧ 산행시간 : 4시간44분(10:55~15:40)
♧ 산행트랙 :
♧ 산행기록 및 고도표
♧ 주요지점 이동시간
* 10:55 화동(화양)고개출발
11:12 삼각점..묘지
11:41 226.7m(226.7m봉 정상부에 나무의자와 시그널이 있음)
12:17 279.6m(전망바위등을 지나 오르고 정상부는 나무가 우거져 조망없음)
12:34 이목안포로 2차선도로(도로직전에 팔각정자)
13:04 고봉산(363.7m 정상표지판2개, 삼각점, 팔각정자,조망좋음)
13:28 봉화산(372m, 봉수대, 백야곶 봉수대 안내판, 운동시설물, 지맥은 급우틀)
13:47 임도 삼거리(좌측 디오션CC 주차장, 직진 디오션CC 그린 카트길)
14:35 77번도로와22번도로 교차로(77번도로 따라 백야대교 방향 진행)
14:44 세포3교차로
15:13 백야대교
15:35 백야삼거리(백야체험센터)산행종료
♧ 산행지도 : 여수지맥6구간(화동고개-백야대교)지도
산행메모
수없이 많은 산행을 해왔지만...언제나 산행의 복병은 자연(自然)이 만들어 놓는
조화에 따라 생기는듯 하다. 여름이면 뜨거운 태양볕의 폭염, 겨울이면 폭설
그리고 폭풍우등이 산행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다 보니 이제는 일기 불순한 날이면
산행을 떠나기가 꺼려지고...또 포기하기 까지 하게 된다.
수도권의 날씨는 흐린날이지만...
제주와 남해안 일대는 폭우가 쏟아 진다는 기상청의 예보가 있는 날
여수지맥의 마지막 구간 화동고개-백야대교까지 걷는 산행을 떠나야 하니
마음 심란해진다. 그래도 어쩌랴...이미 마음은 산행지 여수로 가고 있으니...
우중 산행 준비를 철저히 해본다. 당초 계획은 화동고개-백야대교
여수지맥산행을 마친후 백야대교를 건너 백야도에 있는
백호산을 거쳐 백야삼거리의 백야체험센타까지 였는데, 백호산을 오르는
추가산행을 할지는 현지 사정에 따라야 할것 같다.
전남지역에 들어서니 비가 주룩주룩 내리고...남해안이 가까워 질수록
빗줄기는 점점 굵어지는듯..... 전남 여수시 화양면 화동고개에서 열혈산꾼들
20여명은 쏟아지는 빗줄기속을 뚫고 산으로 오르기 시작 한다.
*
10:55 지난번 여수지맥5번째 구간의 날머리였던 화양고교 가기 직전에
화동마을 표지석이 있는곳에 산악회 버스가 멈추고 B코스 산행인원은
차안에 남겨두고 지맥산꾼들 20여명이 내린다.
비가 조금 내려서 다행이기는 하지만...비옷을 입어도 이미 젖어 버린 숲길을
조금만 걸으면 온몸이 젖겠지... 마을 이름을 따 고개이름을 지은듯
한 화동고개의 마을 표지석에서 좌측 세멘트길을 따라 오릅니다.↓
화동마을 표지석이 있는 곳에서 바라본 화양고등학교쪽 풍경↓
화양마을 표지석이 있는 곳에서 좌측의 이동통신탑이 높이 솟아 있는 방향으로 오릅니다.↓
이동통신탑을 지나면 칡넝쿨과 풀이 우거진 곳을 지나 산길에 들어서고↓
11:12 묘지가 여러기 있는 초입에 삼각점을 만납니다.
글씨는 마모가 되어 알아 볼수 없어 사진만 찍고...↓
삼각점을 확인하고, 묘지를 지나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묘지를 내려서면 앞쪽으로 올라야할 226.7m봉이 높아 보입니다.
안부에서 임도를 만나 임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가파른 등로를 따라 226.7m에 오르게 됩니다. ↓
안부의 임도...좌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후 우측 능선으로 올라갑니다.
227.6m봉 오르는 길은 잡목도 많고, 너덜길을 오르는등 급경사 등로입니다.↓
11:41 안부에서 급경사 등로를 약25분가량 오르면 226.7m봉에 닿습니다.
쏟아지는 빗방울은 점점 굵어지고, 등로는 미끌거리고, 너덜지대를 오르기도 합니다.
봉우리 정상에는 나무의자 하나가 비를 맞고 있네요...↓
227.6m봉에는 표지판은 없고, 이곳을 지나간 산꾼들의 시그널이 여러개 붙어 있습니다.
227.6m봉에서 여수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지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비는 쏟아지고, 구름인지,안개인지 잔뜩 끼어있어 길을 찾는데 애를 먹고, 잠깐 알바도 합니다.↓
12:05 227.6m봉에서 안부로 떨어졌던 마루금이 다시 능선을 약15분정도 올라서면 밋밋한 무명봉을 하나 지나고...↓
12:17 바위가 많은 지대를 지나서 조금더 잡목을 헤치고 오르면 279.6m봉에 닿습니다.
바위지대를 지나며 조망을 즐길수 있을것 같았는데...오늘은 비와 구름으로 조망을 할수 없네요
279.6m봉 정상은 나무가 우거져 있어서 조망을 할수 없습니다.↓
12:34 279.6m봉에서 잡목사이를 내려오면 넓은 임도를 지나고 다시 또 확실한 등로를 만납니다.
잘 되어 있는 등로를 따라 내려오면 팔각정자가 보이고 그 뒤쪽으로 자동차 도로가 보입니다.
육각정자에서 잠시 쉬며, 고봉산 오를 생각을 해봅니다. 고봉산을 오르려면
앞쪽으로 보이는 도로(이목안포로)를 건너 임도 따라 오르다가 임도에서 산비탈을 올라야 합니다.↓
도로를 건너 고봉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잠시 오릅니다.
구불거리며 오르다가 임도에서 산길로 들어서 간벌목이 방치되어 있는
산비탈길을 올라 고봉산으로 향합니다.↓
13:04 2층의 팔각정자가 여수앞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는 고봉산(363.7m)정상에 닿습니다.
정자2층에 오르면 맑은 날이면 조망이 좋았을텐데....오늘은 쏟아지는 빗줄기와 뿌연 안개가 시야를 가리네요↓
고봉산(363.7m) 정상의 표지판↓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고봉산(363.7m)표지판↓
여수와 고흥앞바다에 있는 섬들을 모두 다리를 놓을 계획인가 봅니다.
고봉산 정상에 있는 남해안 연륙.연도교 개발 계획도가 보이네요↓
고봉산(363.7m)의 삼각점(여수306/2002년 복구)↓
13:12 고봉산 정상의 삼각점을 확인한후 팔각정 방향으로 되돌아서 산길을 내려갑니다.
잠시후 산길은 고봉산을 휘돌아가는 세멘트 임도를 만나고 임도 따라 우측으로 내려가면
봉화산←0.9km/장등1.3km↑/고봉산 전망대→ 이정목이 있는 안부에 닿습니다.
봉화산 방향의 넓은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잠시후 임도에서 우측 산길로 들어서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봉화산을 오르게 됩니다.↓
봉화산으로 가는 능선에서 이렇게 생긴 암봉을 지납니다...
맑은 날씨 였으면...저곳에 올라 여수앞 바다를 조망했겠죠...아쉬움이 많이 남는 순간입니다.↓
13:25 암봉을 지나 조금더 진행하면 구조구급함과 이정목이 있는 장등 갈림길을 지납니다.↓
13:28 마지막에 급경사의 계단길을 올라서면 운동시설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는 정상부에 닿고
운동시설 뒤쪽으로 돌을 둥그렇게 쌓아 올린 커다란 봉수대가 있는 봉화산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여수지맥은 봉수대 우측으로 꺽어져 산길을 내려가야 합니다.(독도주의)↓
여수 봉화산(372m) 정상 풍경...백야곶 봉수대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이곳 봉수대는 조선시대 봉수로 중 제5기의 두번째 봉수대인 백야곶 봉수대로
동으로는 시기봉인 돌산의 방답진봉수대와 응하고, 서로는 고흥 팔영산 봉수대와
응했으며, 장흥 천관산, 진도 여귀산등을 거쳐 서울 목멱산으로 전달했던 직봉으로
전술상 요충지였다. 이곳에는 봉수군 10명과 오장2명이 거주 했으며
바닷가의 수마석(水磨石)을 항상 200개이상 비치했다고 합니다.↓
여수 봉화산(372m)정상에서..
일회용 비옷이 나무에 걸려서 걸레같이 너덜너덜하네요↓
봉화산 정상부에 있는 여수-고흥 연륙 연도교 조감도↓
13:46 봉화산 봉수대에서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서면 확실한 등로의 산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봉화산에서 산길을 따라 약15분 가량 내려가면 세멘트 임도를 만나고...임도 따라 내려갑니다.↓
13:47 세멘트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다시 또 임도 삼거리를 만납니다.
지맥마루금은 직진방향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좌측으로 잘못내려가 골프장에 닿습니다.
약15분정도의 시간을 보낸듯....다시 이곳으로 되돌아와 직진의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14:15 비포장 임도를 따라 약5분쯤 진행하면 골프장 카트 도로를 만나게 됩니다.
이곳에서 사진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카트를 타고 나타난 골프장 직원에게 한참 훈계를 듣고
카트에 실려서 골프장끝 지맥마루금과 연결되는 지점에 내려주어 쉽게 길을 찾았습니다.
훈계를 듣기는 했지만...골프장을 무사히 통과하게 실어다 주어 감사했습니다.↓
14:31 디오션CC 웨스트3번홀까지 카트를 타고 이동한후 골프장 우측 산길로 내려서니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마을과 77번도로와 22번도로가 교차하는 곳이 내려다 보이네요↓
77번도로가 백야도로 향하고, 그 뒤로 백야도의 백호산이 산위에 구름을 이고 있는 모습이 몹시 높아 보입니다...↓
22번도로와 77번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위의 도로를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77번도로를 따라 백야도로 향합니다.
세포3교차로 좌측으로 보이는 삼각점이 있는 79.3m봉을 올라 산줄기를 따라 가야하지만
비와 바람이 많아 그냥 도로 따라 진행을 합니다.↓
14:45 세포3교차로에 도착하고 백야도 방향의 77번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세포교차로를 지나면 우측으로 남해수산연구소가 보이고↓
남해수산연구소를 지나면 도로 아래로 작은 닭머리항과 바다 건너편으로 백호산이 보입니다.↓
여수지맥의 끝 백야대교가 시야에 들어오고...건너편 백야도의 구름에 덮여 있는 백호산도 보입니다.↓
백야대교↓
세포3교차로 좌측의 삼각점이 있는 79.3m봉을 뒤돌아본 풍경...
지도에는 요지막산 이라 표기가 되어 있네요↓
14:54 돌산개교차로를 지나고↓
삼섬마을앞 교차로에서 좌측으로 여수지맥 마지막 산줄기이지만...
비가 와서 그런지...그곳으로 진행하는 사람은 없네요...그냥 도로 따라 백야대교로 향합니다.↓
15:13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와 화정면 백야리를 연결하는 백야대교 앞에 도착을 합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백두산에서 부터 가장 길게 뻗어온 여수지맥 산행을 종료 합니다.↓
백야대교 좌측으로 힛도 마을로 가는 도로가 있고↓
백야대교앞에서 여수지맥 산행을 마치며 ....↓
여수지맥 종착점인 백야대교앞에서↓
백야대교를 건너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로 들어갑니다.
다리위에서 맞는 해풍의 비바람이 엄청 거세네요↓
백야대교 위에서 뒤돌아본 힛도 풍경↓
백야대교를 다 건너면 화백삼거리를 만나고...백호산 오르는 길은 직진으로 조금더 가면 됩니다 ↓
15:25 백야도의 백호산 등산로 입구에 닿습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백호산을 올라야 하지만, 비바람이 세차고, 시간도 많이 흘러
백호산 등산을 포기하고, 여수지맥 종주한것에 만족하며 백야삼거리로 향합니다.
날씨만 좋았다면 백호산에 올라 멋진 풍경을 마음껏 조망했을텐데...아쉬움도 있습니다.↓
15:33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삼거리에 닿습니다.
산악회 운영진에서 우측에 백야리체험센터 건물앞의 공간을 사용할수 있도록 이장님과 협의가 있었다네요↓
15:35 여수시 화정면 백야 체험센타 건물이 있는 곳에서 오늘 산행을 모두 종료 합니다.↓
♥
오늘 우중산행을 대비하느라 많은 준비를 했음에도 핸드폰 관리에 신경을 덜썼던것 같았다.
산행 처음 시작할때 오록스맵을 켰는데... 산행을 하면서 장소 저장을 하려고 보니
핸드폰의 화면이 열리지 않는다. 지문을 이용해 핸드폰을 열어야 하는데...
빗물 때문인지...핸드폰에서 지문 인식이 안되어 핸드폰이 열리지 않는다.
핸드폰이 열리지 않아 산행트랙을 못봐 다른사람들 뒷꽁무니만 따라다니는 형색이 되었다.
그리고 너무 많은 비로 카메라로 찍은 사진도 몇장 밖에 없어고, 백야도의 백호봉도 못오르는등
많이 아쉽기도 했던 산행이였지만 무사히 산행을 끝내고 여수지맥 졸업을 하니 기쁘네요
어려운 여건속에서 함께 산행을 이어온 산우들과 여수지맥 졸업을 자축해봅니다.
모처럼 산행에 참석하시여 날씨 고루지도 못한데, 돼지고기 수육을 만들어서
맛있게 먹을수 있도록 수고하신 고성순 총무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또 오늘 162지맥을 완료하신 양병호 산우님도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선물로 산우들에게 나누어 주신 떡 맛있게 잘먹었습니다....
날씨 무더워지고, 장마비가 곧 닥치는 계절앞에서 다음주 부터는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남해도에서 남해지맥 산줄기를 이어가게 되는데 남해지맥 산행을 함께 하는 산우들과
서로힘이 되어 하절기 폭염을 잘 이겨내며 남해지맥 산행도 완주할수 있기를 바램해 봅니다.
'호남정맥상 지맥 > 여수지맥(2020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수지맥3구간(17번도-곡고산-앵무산-국사봉-수암산-여수천주교공원묘지) (1) | 2024.01.10 |
---|---|
여수지맥2구간(구상치-봉화산-웅방산-옥녀봉-피봉산-17번도로) (2) | 2024.01.08 |
여수지맥5구간(여천교회-안심산-사방산-비봉산-안양산-화동고개)산행 (0) | 2020.06.13 |
여수지맥4구간(천주교묘지-도원로/여천교회)산행 (0) | 2020.06.07 |
여수지맥 1구간(심원교차로-분기점-계족산-용계산-542.6m-구상치)산행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