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지맥이란
국사지맥(國師枝脈)은 ? 국사지맥은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이 저수령을 지나 올라 백두대간과 묘적봉 사이의 934m봉(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올산리와 경북도 문경시 동로면 석항리 및 경북도 예천군 상리면 용두리의 경계점)에서 남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40km의 산줄기로,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달지리에서 그 맥을 내성천과 금천의 합수점에 넘겨주고 있다. 이 산줄기를 따라가면 용두산(976m), 매봉(865.3m), 용문봉(771m), 국사봉(727.6m)등을 만날 수가 있고, 이 산줄기의 서쪽에는 수진천, 금천, 기천 등이 내성천으로 흐르며, 이 산줄기의 동쪽에는 한천, 금곡천, 중평천 등이 내성천으로 흘러간다. 분기점(934m. 0.0/0.0..
2017. 11. 14.
백덕지맥(白德枝脈)이란?
백덕지맥(白德枝脈)이란 백덕지맥(白德枝脈)은 영월지맥의 태기산(1259m) 남서쪽 1.3km에서 분기하여 남쪽으로 뻗어 내려가며 양구두미재(980m), 청태산(1194m), 술이봉(897m), 오봉산(1126.2m), 문재, 사자산(1180m), 당재, 백덕산(1385m), 신선바위봉(1089m), 여림치, 다래산(746.5m)을 넘어 주천강이 평창강에 합류하는 합수점가지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55km되는 산줄기를 말한다. 최고봉인 백덕산(白德山.1350m)을 비롯하여 1000m이상되는 산들이 주류를 이루며 지맥이 끝나는 마지막구간은 지형이 한반도 지형을 빼 닮은곳이다. 최고봉인 백덕산(白德山.1350m)의 이름을 따 백덕지맥(白德枝脈)이라 부르며 주천강(95.4km)의 우측, 평창강(149.4km)의 ..
2017.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