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지맥1구간(저수령-지맥분기점-용두산-매봉-성황당고개)산행
♧ 산행일시 : 2017.11.9.목, 날씨:맑음(기온1도,바람 4 m/s)
♧ 산행참여 : 새마포 국사지맥팀44명
♧ 산행구간 : 저수령-국사지맥분기점-용두산-매봉-용문산-사부령-621m-성황당고개(928도로)
♧ 산행거리 : 15.81km
♧ 산행시간 : 04:47(09:25~14:13)
♧ 주요지점 이동시간
* 09:25 저수령(927번도로/충북 단양군 과 경북 예천군 경계)
09:34 백두대간/국사지맥분기점(좌측)
09:46 용두산(976.8m/정상석)
09:57 934.7m봉(좌측)
10:09 874.9m봉
10:24 777.2m봉
10:38 901도로(동물이동통로)
10:52 삼각점봉(667.6m)
10:56 임도(우측)
11:08 헬기장(734m/우측)
11:15 암봉 우회
11:19 783m봉
11:39 매봉(865m삼각점/묘)
11:48 능선분기점(급우틀/독도주의)
11:58 768.5m봉
12:12 784.6m봉
12:27 813.7m봉
12:32 794.2m봉
12:47 용문산(770.6m)
12:53 754m봉(좌틀)
13:07 656.7m봉
13:17 사부령
13:28 603m봉
13:39 625.4m봉
13:41 Y갈림길(좌측/독도주의)
13:52 519.9m봉(우회)
14:00 502m봉
14:04 임도(임도우측진행)
14:13 성황당고개(928번도로)
♧ 산행트랙 : 국사지맥1구간(저수령-성황당고개)GPX트랙
♧ 산행기록 및 고도표
♧ 산행지도(국사지맥1구간 : 저수령~성황당고개)
산행메모
아직은 가을의 끝자락 같은데...기온의 변화는 초겨울 처럼 차겁게 느껴진다.
지난주 백덕지맥 마지막 산행때 카메라를 분실하여 그날 산행하면서 찍었던
사진을 잃어버린게 아쉬웠다. 나중에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어서 블로그에 몇장
올린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오늘 국사지맥 첫 출정하는 날에는 카메라를
새로 구입하여 가지고 가려고 G마켙에 신청하였는데..물품 입고가 안되어서
늦어진다는 연락이 오고...결국은 산행날 카메라는 가져갈수 없게 되었다.
새마포 산악회에서 오늘 국사지맥 출정을 하는데 신청자가 45인승 버스를 가득 메운다.
참여를 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빈 좌석이 없어서 신청자를 받을수 없다고 하는데
산악회가 좋아서인지...산 이 좋아서인지 알수는 없지만...
국사지맥이란 산줄기에 대한 궁굼증이 많아진다.
국사 지맥이란
백두대간의 묘적봉과 934m봉(충북 단양군 대강면, 경북 문경시 동로면, 예천군 상리면 경계)에서
남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40km의
산줄기로,국사지맥의 산줄기를 따라가면 용두산(976m), 매봉(865.3m), 용문봉(771m),
국사봉(727.6m)등을 만날 수가 있고, 이 산줄기의 서쪽에는 수진천, 금천, 기천 등이
내성천으로 흐르며, 이 산줄기의 동쪽에는 한천, 금곡천, 중평천 등이 내성천으로 흘러간다.
합정역앞에서 06:00에 출발한 버스가 양재역앞에서 그리고 경부고속도로 죽전 버스 정류장에서
회원들을 태우고 영동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중앙고속도로 괴산 휴게소에 잠시 머물렀다가
충청북도와 단양군의과 경상북도 예천군의 경계에 있는 저수령에 09시20분경에 도착을 합니다.
저수령에 있는 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 표지판
충북 단양군에서 세운 조형물
해발 850m의 저수령(低首嶺)은 경북 예천군 상리면 용두리에서 충북 단양군 대강면 율산리로
넘어가는 고개인데...몹시 높고 길어서 머리가 저절로 숙여진다 고 전해지던 고개였습니다.
현재는 927번 지방도가 지나는 고갯마루에는 예천군과 단양군에서 세운 조형물들이 있습니다.
저수재에 있는 쉼터
경상북도 저수재 표지석
새마포 산악회 "국사지맥" 출정식 기념 사진을 찍습니다...
저수령 고갯마루에서 경북 예천군 효자면 방향으로 가다가 우측 산길로 들어서
산비탈 길을 올라가면서 국사지맥 산행을 시작합니다.
산길을 올라서면 잠시후 "해맞이제단"석이 있는 곳을 지나고
나무잎을 다 떨구고 월동준비를 하고 있는 키큰 낙엽송 사이의 급경사길을 올라갑니다.
능선 못미쳐서 이정목(용두산/백두대간)을 만납니다...
능선에 오르면...우측으로는 백두대간 능선이고, 국사지맥은 좌측으로 분기하게 됩니다.
09:34 백두대간에서 국사지맥이 분기 하는 능선에 붙어 있는 국사지맥 분기점 표지판
국사지맥 분기점을 지나서 약1분쯤 진행하면 작은 헬기장을 지납니다.
헬기장 옆에는 용두산이 700m 거리에 있다는 이정목이 있습니다.
나무잎은 떨어져 등로는 낙엽이 쌓이고..바람이 참 많이 부는 날입니다.
완만하던 능선앞에 갑자기 커다란 바위산이 나타납니다.
바위를 우회하지 않고 올라서면 용두산 정상석을 만나게 됩니다.
09:47 용두산(980m)정상에 도착을 합니다.
용두산 정상에서
용두산 정상에서
용두산 정상을 지나면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낙엽이 등로를 덮고 있어 많이 미끌거립니다.
09:57 국사지맥 934.7m봉을 지납니다. 맨발님이 표지판을 달아놨네요
10:09 934.7m봉에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면 바위들이 있는 874.9m봉을 지납니다.
또 급경사를 내려갑니다...낙엽이 쌓여 있어서 미끄럽기도 하고...조심 조심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의 양지바른 곳에 묘1기가 있고...앞쪽으로 천주봉(*39m)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커다란 바위가 나무와 키재기 하듯 서있는 곳을 지나고...
10:18 우측으로 임도가 보이는 안부까지 내려간다.
안부를 지나면 급경사 봉우리를 약간 우측 사면으로 진행하다가...
다시 좌측으로 꺽어서 급경사를 올라갑니다.
10:24 급경사 능선을 올라서면 펑퍼짐한 봉우리 정상에 닿는데 777.2m봉입니다.
777.2m봉에서 직진으로 넘어가면 국사지맥인데...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가서 묘지 에서 좌측으로 갑니다.
낙엽이 발목까지 덮히는 곳도 있습니다...경사진 등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등로를 내려가서는 좌측으로 보이는 901번 도로로 내려서지 말고...직진의 동물이동통로를 따라야합니다.
좌측 아래로 901번 도로가 보입니다....
10:38 901번 도로 위를 지나는 동물 이동통로
대부분 동물 이동통로 위를 통과 했는데...앞서서 내려간 몇분을 따라 도로로 떨어졌다가
도로를 건너서 임도를 따라 진행을 합니다.
임도에서 삼각점이 있는 667.6m봉에 닿기전 우측으로 보이는 마루금을 향해 급경사를 치고 올라 갑니다.
10:52 삼각점이 있는 667.6m봉에 닿습니다.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에 준.희 님이 국사지맥 667.6m 표지판을 달아 놓았습니다.
10:56 삼각점봉에서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가면 임도를 만납니다...임도 따라 우측으로 진행을 합니다.
10:58 임도 따라 약2분쯤 올라가면 임도 삼거리에 닿게 됩니다.
임도가 갈라지는 중앙에 이정목이 있고..이정목 뒤쪽 산으로 올라가 국사지맥을 이어갑니다.
임도 삼거리의 이정목(좌측:예천용문산/우측은 석항1리)
임도 삼거리에서 산길로 들어서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11:07 734m 폐 헬기장인듯..풀이 무성하게 자랐던 곳에 도착을 합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갑니다.
잠시 내려갔던 등로는 우측으로 녹슨 철망이 쳐져 있는 급경사 능선을 올라갑니다...
11:15 무명봉 723m봉을 지납니다. 좌측으로 꺽어져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나무 사이로 매봉쪽의 풍경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잠시 내려갔던 등로는 783m봉을 지나고
11:21 암릉지대를 만나서 우회를 합니다.
암름지대를 지나서 뒤돌아본 풍경
계속해서 암릉지대가 이어집니다.커다란 바위가 서 있는 곳을 지나고...
암릉지대를 지나과 나면 완만한 능선을 우측으로 휘어지며 올라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매봉을 향해 급경사 오르막으로 변합니다...낙엽이 쌓이 능선을 오릅니다.
11:39 매봉(865m)정상에 도착을 합니다.
나무로 만들어 놓은 정상 표지목과 삼각점 그리고 커다란 묘가 남쪽을 향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매봉 정상 표지목(865m) 지도에는 866.6m로 표기 되어 있는데 어느 높이가 맞는지..?
매봉 삼각점
매봉에서
매봉 정상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11:45 매봉 내리막 등로를 지나 조금 진행하면 우측으로 내려가는 용문사 주차장 갈림길을 지나고
약 1분정도 진행한 후에 능선 우측으로 희미한 등로가 꺽어져 내리는 곳으로 진행을 해야 합니다.
내려가면서 무명봉 산허리를 돌아갑니다.
11:58 768.5m봉을 오릅니다.
12:01 768m봉에서 약 4분쯤 내려가면 좌측으롷 꺽어져 내려가고
무명봉을 오르지 않고 우측으로 우회하며 산허리를 돌아 갑니다.
12:12 784.6m봉에 닿습니다.
784.6m봉에서 급경사 내리막을 잠시 내려갑니다..잡목의 가지 들이 얼굴을 할퀴네요
앞쪽으로 암봉이 나무 사이로 보입니다.
안부에서 암봉 사면 우측편으로 우회하여 지납니다.
암봉을 지나면서 멀리 우측편으로 보이는 대미산쪽 풍경
암릉지대를 지납니다.
좌측 능선이 암봉이라서 우측 사면으로 진행을 합니다.
미끈한 다리를 소유하고 있는 아름다운 자태의 여인 같은 소나무를 지나고...
12:27 813.7m의 암봉을 좌측에 두고 우회하여 지나갑니다.
813.7m봉을 지나서 잠시 완만하게 약3분쯤 진행을 합니다.
12:31 또 암릉을 만나고...우회하지 않고 암릉을 올라 갑니다.
12:32 794.2m봉을 지납니다.
794.2m봉을 지나면 경사진 등로를 내려갑니다.
12:37 커다란 바위가 있는 곳을 지나고...
우측으로 하얀 비닐끈에 출입금지 리본이 매달려 있는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비닐끈 우측 넘어에는 약초가 심어져 있는게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완만한 능선을 잠시 지나고..고만 고만한 봉우리 오르내리며 갑니다.
12:44 봉우리가 높아서 용문산인줄 알고 올랐는데...무명봉입니다.
12:47 용문산(770.6m) 정상부 풍경입니다. 이곳도 가느다란 비닐끈이 막고 있습니다.
정상부에는 용문산인지...무명봉인지...아무런 표식도 없습니다.
용문산을 지나면 낙엽쌓인 등로를 따라 조금씩 고도를 낮추며 갑니다. 우측에는 비닐끈이 여전히 매어져 있고..
12:53 754m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국사지맥은 좌측으로 꺽어져 내려갑니다.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13:07 커다란 소나무 2그루가 봉우리를 지키고 있는 656.7m봉을 지납니다.
좌측으로 꺽어지며 내리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사부령을 향해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13:17 예전에 민초들이 넘나 들었던 사부령을 지납니다.
사부령을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가 이어지고..
고도를 높이며 사부령에서 약10여분을 올라갑니다.
13:28 무명봉 603m봉을 지납니다.
커다란 바위가 있는 능선을 오르고...
완만하게 낙엽쌓인 능선을 올라갑니다.
13:39 625.4m봉에 도착합니다.
625.4m봉에서 약2분쯤 내려오면 Y 갈림길을 만납니다..좌측으로 진행해야 합니다.(독도주의)
나무사이로 산행 초반에 보았던 천주봉이 앞쪽으로 보입니다.
소나무가 많은 능선을 내려갑니다.
14:00 502.9m봉을 지납니다.
다시 또 소나무가 우거진 능선을 내려갑니다.
14:04 넓은 임도를 만납니다...임도 따라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계속해서 임도 따라 진행하고...
14:10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곳에서 직진의 산길로 진입합니다.
산길로 들어가 1분쯤 가면 이동통신시설물이 있는 곳에 닿고
이동 통신 시설물 앞의 배수로를 따라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14:13 928번 2차선 도로가 지나는 성황당 고개에 도착하여 국사지맥1구간 산행을 종료 합니다.
928번도로 성황당 고개에 대기하고 있는 새마포 산악회 버스
*
'백두대간상 지맥 > 국사지맥(2017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사지맥3구간(율치-34번도로-고종산-금천/내성천 합수점)산행 (0) | 2020.06.03 |
---|---|
국사지맥2구간(성황당고개-국사봉-508.3m-율치)산행 (0) | 2020.06.03 |
국사지맥이란 (0) | 2017.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