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리아 둘레길/서해랑길(진)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

by 山頂 2025. 5. 29.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큰부수막들방조제-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

 

▣ 트래킹 일시 : 2025년05월18일. 23:50 사당역 출발

                                  05월19일. 월.  트레킹 실시, 날씨 : 맑음

▣ 트래킹 참여 : 좋은사람들 산악회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거리및 QR위치

    <주요지점및 거리> = 16.8km

     매당노인회관-6.7km-해제지도 연육교-2.3km-봉황산임도-7.7km-신안젓갈타운

    <QR위치>

     - 시점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창매리 45-1(매당노인회관옆)

     - 종점 :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350-7(송도교 동단 주차장)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통편

      좋은사람들 산악회 전용버스/50,000원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트래킹 기록

    - 두루누비따라가기 : 16.91km/ 03시간57분(07:22~11:19)

    - 오록스맵 기록 : 16.80km / 03시간58분(07:20~11:18)

    -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록스맵 트랙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지도읍복지센타)산정__20250519_0720.gpx
0.24MB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지도

 

서해랑길25코스(매당노인회관-해제지도연육교-봉황산임도-신안젓갈타운)메모

 

07:20   캄캄한 새벽 03:20에 무안군 현경면 봉오제버스정류장앞을 출발하여

약20.2km를 걸어 서해랑길24코스 종점인 매당노인회관앞에 07:15에 도착했다.

약5분간 휴식을 갖은후에 매당노인회관옆의 서해랑길 무안25코스 안내판앞을 출발하여 

서해랑길 신안26코스 안내판이 있는 곳 까지 약16.7km 걷기를 시작합니다.

서해랑길 무안25코스 안내판옆의 창매리의 매당노인회관앞을 지난다 

창매리의 매당마을은 마을이 이루어질 당시에는 "맹당"이라 하였으나

그 후 "맨댕이"로 불러왔다. 행정구역 개편시

매당(梅堂)이라 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매당노인회관앞을 지나자 마자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밭과 논이 있는 창매리 매당마을 벌판 중간으로 이어지는 농로를 따라 걷습니다.

농로 좌측으로는 매당마을앞의 무인도와

우측으로는 무안군 망운면의 탄도와

신안군 지도읍의 선도쪽 풍경이 보입니다.

농어촌마을을 운행하는 꼬마버스가 달리고 있는 풍경이 영화속 장면 같네요

창매리 매당마을 벌판을 지나면 창매리 매안마을로 들어섭니다.

매안마을도 원래는 매당에 속했다고 하며, 매당의 매(梅) 자와

마을 앞바다가 언덕처럼 생겼다 하여 언덕 안(岸) 자를 써서

매안(梅岸)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벽돌 양옥집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매안마을을 지납니다.

양옥집앞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가면 목장앞을 지나고

목장앞을 지난후에 언덕을 올라 창매로 닿기 직전 '매안마을회관'앞을 지나게 됩니다.

매안마을 회관을 지나면 '창매로(2차선도로)와 만나게 되는데..

서해랑길은 '창매로'의 좌측으로 뻗어가는 매안1길을 따라 마을 안으로 들어섭니다.

매안1길로 들어서는 곳에는 이정표가 서 있습니다.

매안1길로 들어서서 무안군 해제면 창매리의 매안마을을 지납니다.

창매리 매안마을의 끝자락에 있는 양파밭을 지나고

창매리 매안마을 끝의 해안가로 향합니다.

바다 건너편으로는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의 대월산(106.9m)보이네요

서해랑길은 앞쪽의 해안을 따라 빙돌아서 저곳을 지나게 됩니다.

창매리 매안마을 해안에 닿고, 우측으로 보이는 방파제를 따라 걷습니다.

창매리앞의 방조제를 따라 걷습니다.

우측편에는 창매리의 벌판이 펼쳐져 보이네요

방조제 좌측으로는 고깃배가 정박해 있는곳도 지납니다.

계속해서 방조제를 따라 걷습니다.

현위치...창매리 913을 지납니다.

무안한옥 리조트가 있는 곳을 지나고

계속해서 해안의 방파제길을 따라 걷습니다.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참새골길'을 걷습니다.

앞쪽으로  대월산이 보이고, 서해랑길은 그 아래쪽의

'해뜰목 황토펜션'이 있는 곳을 지나게 됩니다.

해안의 방파제를 따라 걷다가 이곳에서 우측 도로위로 향합니다.

해안방파제길에서 우측으로 올라서면 이정표가 있는 24번도로(해제지도로)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 따라 갑니다.

08:12   유가네한우소머리곰탕 음식점과 세븐일레븐편의점이 있는 곳을 지납니다.

세븐일레븐 편의점을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휘어져

해뜰목 황토펜션 뒤쪽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갑니다.

해뜰목 황토펜션을 지나면 대월산 아래의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의 해안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좌측편으로 보이는 신안군 지도읍 선도의 풍력발전기가 보이네요

서해랑길은 계속해서 양월리 해안 방조제위를 걷게 됩니다.

좌측으로 무인도가 보이는 곳을 지납니다.

물이 빠져나가면 아마도 걸어서 섬에 닿을 수 있는것 같습니다.

차량이나 경운기등이 다닐수 있는 세멘트포장길이 보이네요

계속이어지는 해안방파제길을 걷습니다.

앞쪽으로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의 민가들이 보이네요

마을앞의 농로를 따라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 명양마을로 들어섭니다.

양월리 앞쪽으로 내가 흐르고 들이 넓어 농사가 잘되는 곳이라고 합니다.

자연마을로는 명양, 신월마을이 있으며, 명양마을은 마을이 이루어질 당시부터

마을 옆을 가로막는 강물의 조수가 울면서 흐른다 하여 울띠라 불리던 것이

행정구역 개편시 명양(鳴洋)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의 명양마을을 지납니다.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의 명양마을을 지나면 해제지도로(2차선차도)를 만나고

해제지도로(2차선차도)를 따라서 '연육교'로 향합니다.

무안군 해제면과 신안군 지도읍을 연결하는 연육교로 가는

해제지도로(2차선차도)좌측편으로 보이는 양월리 율도와 서해 바다 풍경

해제지도로 앞쪽으로 보이는 연육교 풍경...

연육교를 건너면 무안군 해제면에서 신안군 지도읍으로 들어섭니다.

무안군 해제면 양월리에서 연육교를 건너 갑니다. 

연육교 건너편으로 보이는 신안군 지도읍 자동리 마을 풍경

연육교를 건너면 삼거리에서 서해랑길은 좌측의 동천길을 따라 갑니다.

연육교 건너면 삼거리 우측에 정자가 있으며

이곳에서 잠시 쉬며 간식을 먹고 갑니다.

정자에서 잠시 쉬었다가 좌측으로 휘어지는 2차선도로인 동천길을 따라 걷다가

차도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곳에서(보라색 적치물) 직진의 해안방파제길을 따라 걷습니다.

서해랑길이 이어지는 해안방파제 풍경

방파제를 약10분정도 걸으면 농로 삼거리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농로를 따라 갑니다.

농로를 따라 진행하여 신안군 지도읍 자동리 마을을 지납니다.

자동리마을을 지나면 2차선도로(동천길)을 만나고

'동천길'을 따라 약1분쯤 걷다가  우측에 보이는 임도로 들어섭니다.

서해랑길은 임도를 따라 봉황산(×165.5m)우측 산허리를 지나게 됩니다.

세멘트포장 임도를 따라 고도를 올리며 걷습니다.

세멘트포장의 오르막 도로가 내리막으로 변하고

매봉재를 지납니다.

매봉재를 지나는 좌측으로는 신안군 지도읍 태천리쪽의 풍력발전기가 보이네요

매봉재를 지난후도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 진행하여

선황산(×113.5m)우측의 산허리를 지나는 임도를 따라 걷습니다.

계속해서 선황산(×113.5m) 우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걷습니다.

선황산 우측의 산허리로 개설된 임도를 따라 나오니

서해랑길은 동천길(2차선도로)를 다시 만나게 되고

동천길(2차선도로)을 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걷습니다.

동천길(2차선도로)을 따라 약5분 정도 걷습니다.

서해랑길은 동천길(2차선차도)에서 좌측으로 오룡방조제가 보이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오룡방조제위의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오룡방조제위를 걷는 좌측으로는 물이 빠진 갯벌과

그 뒤쪽 멀리 오늘의 종착지인 신안군 지도읍과

신안젓갈타운이 보이네요

오룡방조제를 건너 좌측으로 휘어지면 우측에 신안군 지도읍 광정리가 보이고

서해랑길은 중산방조제 해변을 따라 신안젓갈타운으로 향합니다.

읍내방조제를 지납니다.

읍내방조제 좌측으로 보이는 거북섬과탐방로 

앞쪽으로 신안젓갈타운이 보이는 해안을 따라 걷습니다.

신안젓갈타운앞에서 거북섬탐방로가 좌측에 보이네요

거북섬탐방로입구에 있는 농게 조형물

거북섬탐방로입구에 있는 농게 조형물

지도갯벌 거북섬탐방로 준공 표지석

거북섬으로 연결되는 탐방로 풍경....보수중인듯 공사인부들이 보입니다.

신안 갯벌도립공원 탐방길 안내도

안산방조제의 신안젓갈타운앞 풍경

농게 조형물

신안젓갈타운 풍경

세계유산 신안갯벌 표지석앞에서

신안젓갈타운을 지나면 지도읍 보건지소와 지도읍복지센터앞에 닿게 됩니다.

신안군 지도읍복지센터앞에 있는 서해랑길 신안26코스 안내판앞에서

서해랑길24코스와 서해랑길25코스 걷기를 마칩니다.

서해랑길24코스와25코스 걷기를 마치며 

서해랑길24코스와25코스 걷기를 마치며 

신안젓갈타운옆에 화장실이 있어 간단히 세면을 할 수 있습니다.

예상했던것 보다 일찍 트레킹을 마쳤다. 진도에서 출발하는 귀경시간을

2시간이나 남아 있어 지도읍복지센타앞 음식점에서 전복된장국(10,000원)으로

점심을 먹고 조금은 한산한 신안젓갈타운을 구경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아주 오랬만의 무박 트레킹이였는데 부담스럽지 않고, 하절기로 가는 계절이라

알맞는 기온에 여명이 밝아오는 새벽을 열며 걷는게 정말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