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근지맥2구간(새덕이재-×475.9m-▲437.5m-뱀머리재-상덕봉(×546m)-×498.7m-화천교)
♧ 산행일시 : 2022.11.11.금,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산정,향산,후상
♧ 산 행 지 :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 산행구간 : 새덕이재 - ×475.9m - ▲437.5m - 뱀머리재 - 상덕봉(×546m) - ×498.7m - 화천교
♧ 산행거리 : 8.73km
♧ 산행시간 : 3시간30분(09:33 ~ 13:03)
♧ 적근지맥2구간(새덕이재-▲437.5m-뱀머리재-상덕봉(×546m)-화천교)산행기록
♧ 적근지맥2구간(새덕이재-▲437.5m-뱀머리재-상덕봉(×546m)-화천교)산행트랙
♧ 적근지맥2구간(새덕이재-▲437.5m-뱀머리재-상덕봉(×546m)-화천교)등산지도
산행메모
11월9일 새덕이재에서 수리봉으로 오르는 적근지맥1구간 산행을 하다가
군인들의 훈련중인 솔골고개에서 산행을 중단해야 했던 아쉬운 마음을 달래고
이어서 적근지맥 2구간인 새덕이재에서 화천교까지 산행을 나섰다
오늘은 화천에 도착하는 교통편을 용산역에서 06:56에 출발하는 ITX열차를 타고
춘천역에 08:15에 내려서 춘천역앞을 08:30에 경유하는 화천행 버스를 이용했다
동서울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것보다 1시간 늦게 집을 나설수 있었다.
지난1구간에 참석했던 뻐시님이 가정사로 참석을 못하고 3명이 택시를 이용하여
새덕이 고개(택시비14,000원)에 도착하여 적근지맥2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
새덕이고개 풍경
새덕이(새덕, 신덕)재는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신읍리 신촌(새말)마을과
풍산리를 이어주는 6번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는 고갯마루로서
신촌에서 풍산리로 가는 고개로 올라가다 좌측에 있는 새덕이(새덕, 신덕)
마을에서 그 이름이 유래된 듯 보이는 고개이다.
신촌(새말)은 동재와 율대 사이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원이 이곳으로 옮겨 와
새로이 생긴 마을이라고 해서 붙여진 명칭으로 지금은 신읍1리 2반을 말한다.
새덕이 고개의 고갯마루 풍산리쪽에서
철망울타리가 절개지를 따라 산쪽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오르면서 적근지맥 2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절개지를 오르면 산줄기는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09:49 교통호인듯한 고랑같이 패인 곳을 따라 오르면 무명봉에 닿고
적근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가야 한다.(독도주의)
우측으로 휘어졌던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른다
겨울 채비를 하며 떨군 낙엽을 밟으며 나목들이 사열을 하듯 서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오르막 등로 끝의 봉우리정상 직전에 군벙커를 만나고
벙커를 지나면 나무에 적근지맥 478.6m 준.희님 산패가 보이고
이곳에서 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우측으로는 화천에서 새덕이재로 올라올때 지났던 도로가 보이네요
478.6m봉에서 미끌거리는 낙엽길을 따라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다시 경사의 등로를 오릅니다.
10:28 지도상 고도 표시되어 있는 475.9m봉에 오르고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약3분후에
군용인듯한 말뚝형 삼각점이 있는 봉에 닿고
이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말뚝형 삼각점이 있는 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면서 지맥마루금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0:41 435m봉에 닿는데...이곳에도 군벙커가 보이네요
적근지맥은 벙커를 지나며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0:48 벙커를 지나 좌측으로 가면 군부대 철망울타리를 만나게 되는데...
지난 1구간때처럼 군인들을 만날까 걱정을 하고, 숨을 죽여가며
조용조용한 걸음으로 철망울타리를 지납니다.
다행히 군부대 철망울타리는 짧게 지났고 좌측의 우회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인듯한 우회로에서 다시 산길에 오르고
10:53 무명봉 473m봉에 닿고,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경사의 등로에 떨어진 낙엽이 미끌거려
넘어지지 않으려 다리와 스틱을 잡은 손에 잔뜩 힘이 들어가고
조심 조심 등로를 내려갑니다.
낙엽쌓인 급경사의 등로를 내려가는 모습이
겨울에 눈쌓인 등로를 내려가는 것과 똑 같은 자세가 되네요
11:07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니 잡초가 무성한 헬기장에 닿고.
헬기장 아래로는 산수화터널이 지나고 있는 곳입니다.
11:09 헬기장을 지나 약2분쯤 오르면 437.5m삼각점봉에 닿게 됩니다.
437.5m봉의 삼각점은 뽑혀진채 누워 있네요
누가 훼손한것인지....아님 교체를 하려고 하는것인지..?
11:13 누어있는 437.5m 삼각점봉에서 약3분쯤 내려오면
뱀머리재 안부에 닿습니다.
고개 안부의 나무에 뱀머리재 표지판이 붙어 있네요
배머리(뱀머리)재는 중리 북쪽에 있는 배머리(사적동)마을 뒷쪽에 있는 고개로서
배머리(사적동)마을은 옛날 소금배가 이곳까지 와서 댓다고 배머리라 부르기도 하고
풍수지리상 뱀의 머리에 해당된다 하여 뱀머리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 중리의 배머리(사적동)에서 풍산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뱀머리재라고 한다.
뱀머리재를 지나면 상덕봉(545m)까지 긴 오르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상덕봉으로 오르는 등로
등로 좌측의 나무사이로 흐릿하게 보이는 해산 풍경
계속해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급경사를 오른후에 정상부직전에는 완만하게 진행하고
11:41 오늘 산행의 최고봉인 상덕봉(546m)에 닿고.
산패와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는 상덕봉에서 휴식을 갖습니다.
상덕봉이라 부르게 되었는지에 관한 자료는 찾을수 없었고
정상부에는 나무들이 많아 조망은 할수 없었다.
지맥능선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헬기장 방향입니다.
성덕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급경사를 내려가게 되는데
화천교까지는 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낮추어 가겠죠.
12:05 큰소나무에 적근지맥 498.8m 산패가 붙어 있는 봉을 지납니다.
등로에서 약5m정도 우측으로 벗어난곳에 산패가 있네요
헬기장(절산위)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498.7m봉을 지나고 우측으로 휘어져
다시 고도를 낮추며 10여분을 내려갑니다.
12:15 425m의 무명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가야 합니다.
42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가고
12:19 군벙커의 굴뚝이 보이는 427.4m봉에 닿습니다.
427.4m봉의 준.희님 산패가 있는 곳에서
적근지맥 마루금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이정목과 쉼터등이 설치되어 있는 이곳 등로는
화천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등산로인듯 합니다.
절산 입구가 1.8km 남아 있네요
12:29 잘 관리되고 있는 넓은 헬기장에 도착합니다.
헬기장 끝에는 화천 절산 해발 535m지점 표지판이 있네요
헬기장을 지나면 나무계단길을 내려가고
야자매트가 깔려 있고 등산로 입구 1,560m 이정표를 지납니다.
걷기좋게 야자매트가 깔려 있는 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낮춥니다.
12:35 나무의자 쉼터가 있는 곳도 지나고..
계속해서 걷기 좋은 산책로를 따라 등산로 입구 방향으로 갑니다.
우측 소나무숲 사이로는 화천시내가 언듯 언듯 보이기 시작합니다.
체육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곳을 지나고
12:42 팔각정자 '냉천루' 앞을 지납니다.
내리막 등로 좌측으로는 북한강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잘 정비되어 있는 산책로를 따라 화천교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우측으로는 화천시내가 보이네요
안전목책의 로프가 설치되어있는 등로를 내려가고
단풍들었던 나무잎이 땅으로 떨어지며 뒤섞여 있지만
아름다운 그림을 그린듯이 예쁜 풍경을 연출하네요
산림욕장이 있는 곳을 지나 내려가고
다른 단풍나무들은 잎을 다 떨구었는데...혼자 독야청청 아름다움을 뽐내네요
12:50 이정목과 사각정자가 있는 곳에 닿고
지맥 마루금은 직진(정자있는곳)으로 내려가지만 능선 끝에는
인공폭포가 설치되어 있고 낭떠러지라 갈수가 없습니다.
이정표가 안내하는 절산입구(우측)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우측의 화천천이 북한강에 합수도는 지점의 화천교와
북한강의 화천대교가 나무사이로 보이네요
화천시내와 화천천이 나무사이로 보이고
나무계단을 따라서 금용사 로 내려갑니다.
나무사이로 보이는 금용사
계단을 내려가면 금용사의 삼성각을 만나고
종각
삼성각 아래에 있는 금용사 대웅전
금용사 대웅전 풍경
금용사에서 급경사의 넓은 도로를 내려가면 화천천에 닿습니다.
화천천 풍경
화천천은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마현리에서 발원하여 남동방향으로 흘러
북한강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이다. 한강수계의 지방하천으로
북한강의 제1지류이며 하천 수계는 본류와
2개의 소하천인 파포천과 신읍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천연장은 29.2 ㎞이며 유로연장은 31.89㎞이고 유역면적 265.43㎢로서
유역 인근의 토지 대부분은 임야로 이용되고 있다.
하천의 재료는 모래와 자갈 및 호박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천의 경사도는 중상류부가 1/145, 중하류부는 1/191를 이루고 있다.
하천을 따라 중류지역까지 5번 국도가 있으며
북한강 합류지역 인근에는 461번 지방도로가 있다.
도로를 따라 화천교 방향으로 갑니다.
화천교 풍경
화천교에서 바라본 합수점 풍경
우측의 화천천이 좌측의 북한강과 합류하여
화천대교 밑을 지나고 있습니다.
북한강은 북한의 금강산 부근에서 발원한 금강천이 남쪽으로 흘러
강원도 철원군에서 금성천을 합친 후 화천군 화천읍 휴전선부근에서
북한강 국가하천 구간이 시작되며 이후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하여
한강(국가하천)으로 흘러 든다.
북한강은 한강 권역의 한강 수계에 속하며 한강의 제1지류로서
유로연장이 291.3㎞이고 하천연장이 155.86㎞이며
유역면적은 북한지역을 포함할 경우 11,343.24㎢에
남한지역만은 7,787.95㎢이다.
화천교에서 바라본 적근지맥끝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인공폭포
화천교에서 파로호로 가는 방향에 있는
파로호 산소100리길 안내판
화천교와 화천읍 풍경
적근지맥 산행을 하며 3번을 오고 갔던 화천읍..그리고
또 한번은 더 와야할 화천읍은 강원도 화천군의 동북부에 위치하며
신읍리와 풍산리, 동촌리 및 대이리 등 8개 법정리를 관할하며
화천군청과 평화의 댐 및 붕어섬 등이 있고 군의 행정과 교통의 중심지이다.
여지도서에는 현내면 지역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대이리와 신읍리, 거차탄리,
수동리, 일상리 및 이하리 등 6개 리의 위치와 호구가 기록되어 있다.
호구총수에 현내면은 대이리와 신읍리, 거탄리, 수상리, 수하리, 상리 및 하리의
7개 리로 편성되어 있었고 해동지도에도 화천읍은 현내면으로 기록하고 있다.
현내면 주변에는 아와 창, 객 및 향교와 마을의 주산인 생산이 표기되어 있고
1872년지방지도에는 읍치 주변에 해동지도와는 달리 관아와 객사, 창고 및
향교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생산과 봉대의 지명만을 찾을 수 있다.
1895년(고종 32) 군내면으로 개칭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간동면의 방천리 일부를 편입하였으며 1945년 북한 지역에 예속되었다가
1954년 대한민국 정부로 이양되어 화천면이 되었다.
1979년 화천읍으로 승격되었다.
13:03 화천교 아래에서 화천천과 북한강이 합수되는 풍경을 보며
적근지맥 산행을 종료 합니다.
보행자 전용 화천교를 건넙니다.
화천교 풍경
적근지맥 산행을 마치며 화천교에서
적근지맥 산행을 마치며 화천교에서
화천대교 앞에 있는 산천어축제 조형물인듯...
'한북정맥상 지맥 > 적근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근지맥1구간(새덕이재-▲424.9m-×550m-임도-×720m-×880m화생방종-솔골고개) (0) | 2022.11.13 |
---|---|
적근지맥1구간(늘아우버스종점-전망바위-수리봉갈림길-늘아우버스종점) (0) | 2022.11.13 |
적근지맥(赤根枝脈)이란? (0)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