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지맥4구간(양곡재-▲395.8m-▲551m-약산봉-▲387.7m-합수점)산행
♧ 산행일시 : 2022.02.07. 일,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32,000원
♧ 산 행 지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임하면
♧ 산행구간 : 약곡재(천지쉼터)→▲395.8m→×443.9m→▲392.5m→▲551m→약산(×582.5m)
×447m→▲387.7m→×397.8m→×382m→▲267.6m→합수점(길안천/반변천)
♧ 산행거리 : 17.1km
♧ 산행시간 : 4시간52분(10:04~14:57)
♧ 구암지맥4구간(양곡재-▲551m-약산-▲387.7m-합수점)산행기록
♧ 구암지맥4구간(양곡재-▲551m-약산-▲387.7m-합수점)산행트랙
♧ 구암지맥4구간(양곡재-▲551m-약산-▲387.7m-합수점)주요지점 이동시간
※ 10:04 양곡재(914번도로.천지쉼터/안동시 길안면 천지리5-1)산행시작
10:10 ×330.3m
10:32 ▲395.8m
11:40 용계은행나무길(포장도로)
10:53 ×443.9m(묘지/활공장/급우틀)
11:08 ▲392.5m(삼각점 길안418)
11:24 ×359m/급우틀
11:36 배씨묘(이정표:홍은사←0.9km)
12:00 ▲551m
12:10 약산(×582.5m정상석)
12:30 ×447m
12:36 ▲387.7m(길안403/임하호조망)
13:04 ×397.8m(산너머 산패)
13:13 산불감시초소(×382m/좌틀급경사)
13:22 임하임도 갈림길(좌틀)
13:38 ×287m(급우틀/길주의)
13:57 ×267.6m(훼손된 삼각점/준.희 산패)
14:12 ×265.6m(준.희 산패)
14:21 ×255m(급우틀/길주의)
14:42 ×155m →14:52 신덕제방(길안천/반변천 합수점)
14:57 임하리 추월(임하중교/폐교)산행종료
♧ 구암지맥4구간(양곡재-▲551m-약산-▲387.7m-합수점)산행지도
산행메모
엊그제 봄의 절기인 입춘을 맞았는데 아직도 추위는 절정을 달리는 듯 하다.
낮기온도 영상으로 가지 못하는데다가 초속6m의 바람이 안면에 닿고, 품속을 파고 든다.
추운 날씨에도 지맥 산꾼들은 네번에 나누어 실시했던 구암지맥 종주의 마지막 구간 산행을
경북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5-1의 천지쉼터가 있고, 914번 도로가 지나는 양곡재를
출발하여 ▲397.2m, ×443.9m, ▲392.5m, ▲551m, 약산(×582.5m)까지 고도를 높이고,
이후 고도를 낮추며 ×447m, ▲387.7m, ×397.8m, ×382m(산불감시초소), ▲267.6m를 내려가
길안천과 반변천이 만나는 신덕제방이 있는 합수점까지 약17km의 산행을 하였다.
약산까지는 오르내림이 많기는 하지만 약산을 지난후에는 고도를 낮추며 낮으막한 산들을
오르내리며, 우측으로 임하호와, 좌측의 길안면쪽 풍경을 보면서 진행하게 되어 힘도 덜들고
지루하지도 않았던 것 같다. 다만 길이 급하게 휘어지는 곳이 몇군데 있어 독도에 신경을
써야 할곳이 있었고, 바람이 세차게 몰아치는 추운날씨에도 길안천과 반변천이 만나는
합수점을 바라보며 신덕제방 위에서 무사히 구암지맥 종주를 마칠수 있어 좋았다.
♥
10:04 양곡재(914번도로.천지쉼터/안동시 길안면 천지리5-1)에서
운영되지 않는 천지쉼터의 주유소앞을 지나는 914번 도로를 건너며
구암지맥 4번째 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천지쉼터에서 양곡재의 914번 도로를 건너 철망울타리의 열려 있는
철문을 통과하여 좌측의 산으로 오릅니다.
가파른 등로에 낙엽이 쌓여 있어 무척 미끄럽습니다.
뒤로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스틱을 잡은 팔에 힘을 더하며 오릅니다.
10:10 산길에 들어서 약5분을 올라서면 준.희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구암지맥 330.3m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0:13 330.3m봉에서 약3분쯤 내려가면 포장임도 삼거리에 닿고...
좌측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포장 임도를 약1분쯤 진행하다가 좌측의 산길로 오릅니다.
무명봉을 지나면 넓은 임도를 만나고...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져 가는 곳에서 좌측 산길로 올라갑니다.
참나무 낙엽이 쌓여 있어 미끌거리는 가파른 등로를 오르고
10:25 무명봉 342m봉을 지나고..좌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소나무 우거진 숲길을 오르고..
10:32 구암지맥 395.8m 준.희님 산패와 삼각점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삼각점의 글씨는 흙과 풀이 덮고 있어 잘보이지 않네요
구암지맥 마루금은 ▲398.5m삼각점봉에서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멀리 뾰족하게 보이는 약산(×582.5m)
10:37 ▲398.5m봉에서 내려오면 임도가 지나는 안부에 닿습니다.
임도에서 급우측으로 휘어져 ×421.6m봉을 올랐다가 좌측으롸 휘어져
포장도로가 지나는 '용계은행나무길'로 내려와야 합니다.
임도에서 우측의 421.6m봉을 오르지 않고
임도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임도 안부에서 약3분쯤 진행하면 포장도로인 "용계은행나무길"에 닿고
약 2분쯤 도로를 따라 오릅니다.
10:42 용계은행나무길의 정점에서 좌측의 넓은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임도따라 구불 구불 고도를 높이며 올라갑니다.
10:53 임도 오르막 끝에서 커다란 묘지가 있는 443.9m봉에 닿고..
구암지맥은 이 묘지봉(443.9m)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잠시 내려가게 됩니다.
묘지봉 좌측 약20m 아래쪽에 활공장이 보이네요
443.9m 활공장의 이정표
443.9m봉에 있는 활공장과 아래로 보이는 길안천과 오대리풍경
우측으로 보이는 능선은 약산을 지난후에 걷게될 구암지맥 능선입니다.
길안천 뒤쪽 멀리 낙동정맥 마루금 풍경
443.9m의 묘지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443.9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면 안부에 닿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고도를 높이며 392.5m 삼각점봉으로 향합니다.
11:08 구암지맥 ▲392.5m 준.희 산패가 있는 삼각점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중간에 오르지 않고 우회했던 421.6m봉에 다녀온 선두팀을 만납니다.
392.5m삼각점(길암418/2004재설)
삼각점이 있는 곳에서 약1분쯤 오르면 약403m봉에 닿고,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403m봉에서 약2분쯤 진행하여 같은 높이의 무명봉을 하나 오르고..
약402m봉에서 낙엽이 많이 쌓여 있는 미끄러운 등로를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오늘의 최고봉 약산(582.5m)봉이
나무가지 사이로 뾰족하게 솟아 있는 풍경이 보이네요
11:16 잡목이 많은 안부에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게 됩니다.
안부의 좌측은 임하면 오대리, 우측은 길안면 용계리입니다.
무명안부에서 낙엽이 쌓여 미끌거리는 등로를 오르고...
400.2m봉 이정목이 서있는 곳에 닿습니다.
구암지맥은 이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배씨묘를 지나는등
약산은 2.6km를 더가야 합니다.
11:24 잠시 고도를 낮추었던 등로는 다시 소나무 숲길을 올라
359m봉에 닿고, 마루금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는 등로 좌측의 나무사이로
우측의 551m의 삼각점봉과 좌측의 뾰족한 약산(582.5m)이 보여
마루금은 우측으로 갔다가 좌측으로 가게 됩니다.
우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소나무 숲길을 오르고....
11:27 약 370m 무명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고도를 낮추어 가네요
잠시 고도를 낮추었던 마루금은 안부를 지나며 서서히 고도를 올립니다.
11:36 '배씨묘' 이정표가 서 있는 곳에 닿습니다.
직진으로 약산 1.3km(40분), 좌측으로는 홍은사 0.9km네요
배씨묘를 지나면서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약산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통나무계단길에 로프가 깔려 있는 등로를 오르고..
급경사를 오르면 완만한 능선을 잠시 지나고..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난후에 만난 완만한 능선 우측으로
올라야할 551m삼각점봉이 무척 급경사네요
다시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등로를 오르고...
551m삼각점봉은 직진으로 올라야 되는데, 직진의 등로는 보이지 않고...
쇠기둥에 로프를 매어놓은 좌측방향의 산사면 등로로 올라가네요
11:54 551m봉을 오르지 못하고 로프가 매어져 있는 산사면을 올라서면
522.5m이정목이 서있는 곳에 닿고, 약산이 좌측으로 0.2km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곳에서 약산으로 가지 않고, 우측의 능선을 따라 551m삼각점봉으로 향합니다.
522.5m 이정목 뒤로는 임하호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12:00 522.5m 이정목에서 우측으로 능선을 따라
약6분쯤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551m봉에 닿습니다.
551m삼각점(403재설/78.9건설부)
551m삼각점봉을 다녀오면서 바라본 약산(×582.5m)풍경
551m삼각점봉에서 522.5m이정목이 있는 곳을 지나면
약산 오르는 급경사의 등로를 만나고...
정상석 만나기 20m전에 약산정상 이정표를 지나고...
12:10 약산봉(582.5m)에 오릅니다.
약산(582.5m)은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와 임하면 오대리의 경계에 있으며
산 동쪽으로는 용계천이, 서쪽으로는 길안천이 흐른다.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이어서 정상에 오르면 임하호와 주위의 여러산을 내려다 볼수 있다.
「여지도서」(안동)에"약사는 임하현 동남쪽 10리에 있고, 봉수대가 있다.
약산의 봉수대는 매우 오래된 것으로 세종실록지리지 에도 그 기록이 나온다고 한다.
약산의 명칭 유래는 천지가 개벽할때 온 세상이 물바다로 변했으나
한약 한첩 크기의 면적만큼은 남아 있었다고 하여 약산(藥山)이라고 하였고
약산 정상인 약산봉은 문필봉이라고도 한다.
또 산에 만병통치의 귀한 한약재가 많이 나고 풍을 고칠 수 있는 약수가 있어서
약산영봉이라고도 한 것에서 명칭이 유래 하였다고도 한다.
약산 정상에 있는 안내판
약산봉 우측의 나무사이로 보이는 임하호 풍경
약산 정상에 있는 이정표
약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야할 구암지맥 마루금 풍경
좌측으로 길안천이 흐르는 임하면 오대리, 금소리, 신덕리이고
우측으로는 임하호와 반변천이 보입니다.
약산봉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경사의 등로를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좌측으로 보이는 임하면 오대리쪽 풍경
12:21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다가 잠시 올라 480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480m봉에서 내려가면 거리표시 없는 이정표를 만나고
금소 방향으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조금 있는 능선을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다시 고도를 올리며 올라갑니다.
12:30 지도상 고도 표시된 447m봉에 닿고,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447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
등로 우측의 나무사이로 임하호를 조망하며 내려갑니다.
능선 사면을 지나 내려가고
우측으로는 계속해서 임하호가 보이네요
12:37 능선 안부를 지나고..다시 조금씩 고도를 올리며 갑니다.
좌측으로 임하면 오대리 방향이 조망되고...
뒤쪽 멀리 안동시 길안면의 황학산(799.9m)도 보이네요
우측의 임하호가 잘 보이는 안부를 지납니다.
12:40 돌광산 이정목이 있는 377m무명봉에 오르고...
377m무명봉 우측으로 임하호와 그뒤로 아기산(589.3m), 고산(528.5m)
칡넝쿨이 우거진 능선을 올라 387.7m 삼각점봉으로 향합니다.
387.7m봉으로 오르면서 뒤돌아본 약산(582.5m)
387.7m 삼각점봉 오르는 등로
12:46 삼각점이 있는 387.7m봉에 오릅니다.
주변에 나무가 없어 임하호 방향의 조망이 아주 좋네요
387.7m의 삼각점
387.7m봉에서 바라본 임하호 풍경
경북 안동시 임하면과 임동면에 걸쳐 있는 임하호는 총저수량이 595백만톤으로
유효저수량은 424백만톤이나 만수위저수량은 548백만톤에 이른다.
임하호는 생활 및 공업,농업 용수의 공급과 전력생산,홍수조절을 위한 목적으로
1992년 5월 임하면 임하리와 임동면 망천리 사이의 반변천 협곡에 높이 73m,
길이 515m의 임하댐을 건설함으로써 등장된 다목적 인공호로, 호수면의 수위는
만수위때 해발 163m이고, 저수위 137m이다.
387.7m삼각점봉에서 바라본 임하호 풍경
임하호 댐 건설로 수몰된 마을의 고건물들은 이전하여 지례예술촌을
형성하였고, 수상 레저와 낚시 장소로 애용되고 있으며,
임하호는 주변에 백운정, 동암정, 봉황사 등의 명승지와 고찰이 있어
인접한 안동호와 함께 국민 위락지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387.7m 삼각점봉에서 바라본 가야할 구암지맥 능선의
앞쪽의 뾰족한봉(397.8m)과 그 뒤의 산불감시초소(382m)봉
387.7m삼각점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의 임하면 금소리쪽 풍경
387.7m봉에서 내려간 안부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는데.
소나무가 있는 봉을 오르지 않고, 좌측 사면으로 진행합니다.
무명봉 좌측 사면을 지나는 앞쪽으로 397.8m봉이 보이네요
397.8m봉 오르는 등로가 가파르게 이어집니다.
움막을 지었던 철파이프가 여러개 있는 무명봉을 오르고...
파이프가 있는 곳에서 바라본 397.8m봉 풍경
397.8m봉 오르는 등로 우측으로 임하호가 계속 조망됩니다.
임하면 고곡리쪽 풍경
397.8m봉 오르는 등로는 계속해서 능선 사면을 지나고...
397.8m봉 오르는 급경사 등로를 만나고.
397.8m봉 직전에 급경사 등로를 오릅니다.
13:04 참나무에 높이 달려 있는 산너머님의 산패가 있는 397.8m봉에 오릅니다.
397.8m봉에서 뒤돌아본 약산 풍경
397.8m봉 우측으로 보이는 임하호 풍경
397.8m봉 좌측 아래로 보이는 길안천
397.8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382m봉으로 향합니다.
382m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으로 향하는
능선 좌측으로 곰소리쪽 풍경이 보입니다.
나무가지 사이로 보이는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382m봉 풍경
산불감시초소봉으로 오르는 등로의 갈림길 삼거리
좌측으로 진행하면 산불감시초소봉을 들렸다 내려오는 등로와 만나고
직진으로 올라야 산불감시초소봉에 오릅니다.
382m봉에 있는 산불감시초소
13:13 사방으로 조망이 좋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382m봉에 닿습니다.
철구조물 위에 높이 서 있는 산불감시초소 아래에는 간이침대가 매달려 있네요
산불감시초소봉에서 뒤돌아보니
지나온 397.8m봉뒤로 구암지맥능선이 약산까지 한눈에 보이네요
산불감시초소봉 우측으로는 임하호가 보이고
산불감시초소봉에서 진행하게 될 방향의 구암지맥 능선
산불감시초소봉을 지나 걷게될 지맥능선 우측편으로 보이는 반변천
산불감시초소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마사토의 비탈을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임하면 금소리의 길안천과 금소교가 보이네요
급경사 비탈 사면을 내려가면 산불감시초소봉을 오르지 않고
우회하는 등로를 만나고, 능선 사면을 진행합니다.
능선을 따라 오르고
13:22 임하임도 갈림길에 닿고, 좌측 능선으로 진행합니다.
임하임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송전탑이 보이는 봉을 지납니다.
13:25 임하임도 갈림길에서 약3분후에 송전탑이 있는 봉에 닿고...
송전탑봉 앞쪽으로 보이는 약310m으로 향합니다.
310m봉에서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리고,
우측으로 보이는 능선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310m봉에서 '금소' 이정표를 만나고
금소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휘어지며 내려갑니다.
310m봉에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안부에서 이정표를 만나고, 좌측은 금소리로 가고,
지맥은 직진의 '추월' 방향으로 갑니다.
안부를 지나면 무명봉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13:33 280m봉의 좌측 사면을 지나고...
무명봉 능선을 지납니다.
13:39 287m의 무명봉을 지나며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완만하게 소나무 우거진 능선을 지나고
13:43 약262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262m봉을 지나는 우측 나무사이로 반변천위에 놓인 임하대교와 임하교가 보이고
안부에 내려섭니다.
안부에서 재선충방제작업을한 잔해물이 있는 능선을 오르고..
소나무 우거진 능선을 오릅니다.
13:57 구암지맥 267.6m 삼각점봉에 닿습니다.
준.희님의 산패가 있는 나무아래에는 삼각점이 흙속에 묻혀 있네요
흙에 덮혀 누워 있는 267.6m 삼각점
267.6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소나무 우거진 능선을 따라
좌,우로 휘어지기를 반복하며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골이 파여져 있는 무명봉을 오르고...
고사목인지, 간벌목인지 알수 없는 나무들이 널부러져 있는 곳을 내려가고
14:06 약250m의 무명봉에 오르고...
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가게 됩니다.(독도주의)
250m무명봉 우측으로는 반변천이 보입니다.
좌측으로 휘어져 내리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4:12 참나무에 구암지맥 265.6m 준.희 산패가 붙어 있는 봉에 오릅니다.
26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약1분쯤 내려가면
재선충방제작업을 해놓은 초록색비닐로 덮어 놓은 사각의 더미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독도주의)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래는 등로는 희미하여 놓치기 쉽네요
이곳을 지나쳐 잠시 알바(약30m)했다가 길을 찾았네요
묘지가 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곳을 지나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나즈막한 능선봉을 지나고...
조금씩 좌측으로 휘어지며 희미한 임도를 따라 내려갑니다.
내리막 능선 좌측으로 임하리의 폐교된 임하중학교 건물과 산악회 버스가 보이네요
14:48 차도가 지나는 '임하길'에 내려섭니다.
반사경이 있는 곳의 농로를 따라 '신덕제방' 으로 향합니다.
임하길 차도에서 '신덕제방'으로 가는 농로 풍경
14:52 신덕제방에서 반변천과 길안천이 합수 하는 풍경을 보며
그간 4번에 나누어 산행했던 57km의 구암지맥 종주를 마칩니다.
당겨서 본 길안천과 반변천의 합수점 풍경
반변천이 길안천과 만나는 신덕제방위에서 구암지맥 종주 산행을 마치며
반변천이 길안천과 만나는 신덕제방위에서 구암지맥 종주 산행을 마치며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추월 버스정류장
14:57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폐 "임하중학교" 앞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
'보현지맥상 지맥 > 구암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구두재-▲542.7m-양곡재)산행 (0) | 2022.01.18 |
---|---|
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노래재-×564.6m-솔치재)산행 (0) | 2022.01.03 |
구암지맥1구간(중기리-분기점-구암산-▲561.3m-안평임도-하속리/안평)산행 (0) | 2021.12.20 |
구암지맥(九岩枝脈) 이란 ? (0) |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