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노래재-×564.6m-솔치재)산행
♧ 산행일시 : 2022.01.02. 일,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 산 행 지 : 경북 청송군 부남면, 안덕면
♧ 산행구간 : 경북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안평마을) →▲592.2m →×647.6m →삼자현 →×586.4m
×450.3m →노래재 →×561.2m →×564.6m →솔치재(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 산행거리 : 16.22km
♧ 산행시간 : 4시간06분(10:43~14:49)
♧ 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솔치재)산행기록



♧ 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솔치재)산행트랙
♧ 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솔치재)주요지점 이동시간
※ 10:43 경북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 안평마을 산행시작
11:04 구암지맥능선접속
11:17 ▲592.2m
11:35 ×647.6m
11:49 ×584.1m
12:08 ×593.3m
12:16 삼자현(2차선도로)
12:48 ×586.4m
13:27 ×450.3m
13:39 노래재(930번2차선도로)
13:55 ×552.5m
14:05 ×561.2m
14:25 임도
14:35 ×564.6m(우틀)
14:46 솔치재(31번도로)
14:49 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산1-1 산행종료
♧ 구암지맥2구간(하속리/안평-▲592.2m-삼자현-×586.4m-솔치재)산행지도


산행메모
다사다난했던 2021년을 잘 보내고 2022년(壬寅)년 새해를 맞이 했다.
올해에는 코로나19가 종식되어 모든 사람들이 일상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어지고
많은 제약으로 못했던 각자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살아갈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
새해들어 첫 산행으로 잡은 구암지맥의 두번째 구간은 들머리인
경북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안평마을)를 출발하여 ▲592.2m, 삼자현, ×586.4m,
노래재, ×564.6m, 솔치재 까지 무명봉의 능선을 오르내리며 약 16km의 산행입니다.
♥
10:43 경북 청송군 부남면 하속리 안평마을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하속리는 부남면의 중부에 있는 지역으로 이지역 세 고을의 물이
마을앞에 와서 합류하는 곳을 속수(涑水)라고 하는데,
속수의 하부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하속(下涑)이라 하였다
행정리로는 하속1리와 하속2리가 있고 자연마을로는 하속, 안평(갈마),
촌마가 있는데..안평은 살기가 좋고 피난처로 안전하다 하여
안평(安平)이라 불렸다고 합니다.

안평마을 마지막 민가를 지난후 포장 임도를 오르다가
좌측으로 갈래를 치는 비포장 임도를 따라 산으로 올라 직선으로 오릅니다.

다시 포장임도를 만나고...포장임도를 따라 지맥 능선에 접속될때까지 오릅니다.

11:04 지난구간때 끝지점이였던 구암지맥 능선에 접속하고
임도 따라 직진으로 진행합니다.

11:08 임도를 따라 약4분쯤 진행한후에
임도를 버리고, 우측 산길로 올라갑니다.

11:11 임도에서 올라서면 무명봉 약565m봉에 오르고

565m봉에서 살짝 내려갔다가 삼각점이 있는 592.2m봉을 오르게 됩니다.

11:17 삼각점이 있는 592.2m봉의 산패

592.2m봉의 삼각점....많이 훼손되어 있어 글씨는 알아볼 수 없습니다.

592.2m봉을 지나면 능선은 완만하게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능선을 오르내리니 몸은 후끈 거리는데..
찬바람이 많이 불어 얼굴 부위와 귀가 시려오네요

낙엽이 상당히 미끌거립니다.
자꾸만 뒤로 밀려 내려오는 발걸음에 미끄러지지 않으려
다리와 스틱을 잡은 손에 힘이 더해지네요

무명봉을 오르고 나면 완만한 참나무 우거진 능선을 지나고...

앞쪽으로 보이는 647.6m봉을 향해 고도를 높이며 오릅니다.

묘지가 있는 산 중턱을 지나 오르고...

묘지를 지나 오르면 무명봉 능선에 닿고...

11:35 산패가 붙어 있는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647.6m봉에 오릅니다.

647.6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11:38 내리막 등로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지점에 닿습니다.(독도주의)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는 많은 낙엽이 쌓여 있어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낙엽이 많은 등로를 내려와 안부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584.1m봉 오르는 등로 풍경

11:49 산패가 붙어 있는 584.1m봉에 닿습니다.

584.1m봉에서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는
올라야할 615m의 봉우리가 보이고

615m봉 오르는 등로에서 만나는 묘지..그리고 가파른 등로

11:58 해발 615m봉에 닿고
지맥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615m봉을 지나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올라야할 621m봉 풍경

12:01 안내문이 있는 621m봉에 닿습니다.

621m봉 정상 표지판과 이정목
621m봉에서 구암지맥은 삼자현재1.2km 방향인 급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621m봉에서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에는
로프와 계단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621m봉에서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593.3m봉 풍경

621m봉과 593.3m봉 사이의 안부에 있는 이정목

12:08 지도상 해발 고도 표시된 593.3m봉에 오르고...
안내문이 서있고...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593.3m봉에 붙어 있는 산패

593.3m봉의 이정표...삼자현 휴게소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593.3m봉에서 내려가는 급경사 등로 풍경

593.3m봉에서 내려가면 만나는 오솔길 표지판

오솔길 표지판을 지나면 좌측으로 휘어지며 완만하게 오르내래며
삼자현으로 향합니다...철망울타리가 쳐져 있는 묘지를 지나고...

삼자현 휴게소의 건물들과 2차선 도로가 지나는 곳으로 내려갑니다.

12:16 31번도로 '청송로' 2차선 도로가 지나는 삼자현에 도착합니다.
옛날 고려시대 천벌이(現:현동면) 관문에서 청송으로 가려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고개가 이곳 '삼자현(三者峴)이다.
이 고개는 높고 길이 험한데다 나무가 울창하여 산짐승이나
도둑들을 만날까 봐 혼자서 넘기에는 매우 무서웠다.
그리하여 세 사람 이상 모여서 서로 의지하며 넘었다하여
처음에는 '서넘재' 또는 '서넘터'라고 불리었으며
6.25 전쟁 때에는 이곳에 북한군들이 숨어들기도 하였다.
그 뒤, 차쯤 길을 넓히고 길가의 나무를 베어내어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으며, 지금은 옛 이름을 바탕으로 '세 사람 고개' 라는
뜻을 지닌 '삼자현(三者峴)'으로 불리고 있다.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와 현동면 도평리를 연결하는 고개인
삼자현에서 우측(대전리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약1분쯤 거리에 보이는
좌측임도로 구암지맥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임도로 들어서 계속해서 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우측에 마루금을 두고 임도로 진행하고

12:31 임도로 마루금을 이어가는 도중에 임도 우측으로 산불감시 초소와
무인산불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지나고

산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임도로 지맥마루금을 이어갑니다.
앞쪽으로 멀리 가늘지만 높이 올라가 있는 586.4m봉의 철탑도 보이고...

12:36 삼자현에서 부터 임도를 따라 오다가
이곳 삼거리에서 좌측의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릅니다.

약580m의 무명봉을 향해 오르고...

12:44 580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12:48 580m봉에서 완만하게 약4분쯤 진행하면
빨간 철탑이 높이 서 있는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되어 있는
586.4m봉에 닿습니다. 철탑을 지나 우측으로 휘어졌다가
등로가 희미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586.4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잡목이 많은 등로

12:55 묘지가 있는 약560m의 무명봉을 지나고..

560m무명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오르고...

12:57 무명봉 562m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완만하게 진행을 하고..

13:06 임도가 지나는 곳으로 내려서고...
임도를 건너 계속해서 산길을 내려갑니다.

임도를 건너 내려가던 등로는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묘지가 연달아 이어지는 능선을 오르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완만하게 오르내리기도 하고...

13:20 비포장 임도에 내려섭니다.
여름이면 풀이 많이 무성했을것 같은 비포장 임도에 내려서면
우측으로 약 20m이동후에 좌측 절개지를 올라야 합니다.

임도에서 가파른 절개지를 올라 능선에 닿고

능선에 닿으면 앞쪽으로 올라야할 450.3m 봉이 보입니다.

450.3m봉 오르는 급오르막 등로에는 간벌목들이 널부러져 있네요

13:27 구암지맥 450.3m 산패가 붙어 있는 곳에 닿고

450.3m봉에서 약간 우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갑니다.
등로 앞쪽으로는 노래재 건너편으로 오르게 될 552.5m봉도 보이네요

완만하게 오르내리며 진행하던 등로가 급경사를 오르고..

13:34 봉우리 정상부가 움푹 파여 있는 460m 무명봉에 닿습니다.
460m봉 뒤로 힘들게 올라야할 552.5m봉도 보이고...

웅덩이처럼 파여 있는 460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며 노래재로 갑니다.

노래재 건너편의 절개지와 552.5m봉을 보며 노래재로 내려갑니다.

13:39 930번 2차선(백석탄로)이 지나는 노래재에 닿습니다.
노래재는 좌측이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와 우측의 부남면 대전리의 경계이고
구암지맥은 도로 옹벽을 건너 좌측 절개지 사면을 오릅니다.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방향의 노래재 풍경

옹벽을 올라서 좌측으로 휘어져 절개지 사면을 오르고..

급경사 비탈의 잡목이 우거진 등로를 힘들게 오릅니다.

노래재에서 고도를 약150m정도 올리며 약16분을 오르면
구암지맥 552.5m봉에 닿고, 급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552.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다가 다시 좌측으로 휘어져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진행하게 됩니다.

잡목지대를 벗어나면 좋은 등로를 만나 완만하게 오르내리며 진행하고..

완만하게 고도를 올리며 진행하고

14:05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561.2m봉에 닿고,
구암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561.5m봉 좌측의 나무 사이로 흐릿하게 보이는
다음구간에 오르게 될 노래산(794.2m) 풍경

561.2m봉에서 내려가는 잡목많은 등로..

낙엽이 많이 쌓인 등로를 내려가 안부에 닿습니다.

안부를 지나 잠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잠시 능선을 오르던 등로가 소나무 숲길을 내려가고...
안부에 닿을무렵에 오록스앱이 오류를 일으켜
다시 재작동 시키고...

벌목하여 키작은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벌목능선을 오르며 ..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이지만
주왕산이 보이는 낙동정맥 마루금 풍경이네요

벌목능선을 오르면 묘지가 있는 곳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무명능선을 지나고...

무명능선봉에서 내려오면 넓은 임도를 만나 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14:25 임도 사거리에서 직진으로 오르고..

임도를 따라 계속해서 오르면 무명봉에 닿게 됩니다.

14:28 해발 560m의 고사목이 있는 봉에 닿습니다.
우측으로 약1km쯤 거리에 514.4m삼각점봉이 있고,
구암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고사목이 있는 560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 풍경

14:31 560m봉에서 내려가면 넓은 임도를 만나고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솔치재에 닿게 되는데...
임도 좌측의 구암지맥 564.6m봉을 오릅니다.

564.6m봉으로 오르는 등로에서 만나는 묘지

묘지를 지나 올른후 능선 좌측으로 가면 산패가 붙어 있는
지도상 고도표시된 564.6m봉에 닿습니다.

564m봉에서 능선을 잠시 되돌아서 약30m쯤 내려가다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 많은 능선을 내려갑니다.

철망울타리를 만나서 내려가다가 철망 울타리가 쓰러져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철망을 넘은후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4:41 임도 삼거리에 내려서고...
직진의 포장 임도를 따라 솔치재로 내려갑니다

14:46 고산농장 간판이 서있고
2차선 차도와 임도가 만나는 솔치재에 도착합니다.
솔치재는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와 파천면 신흥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17번 군도(안파로)가 지나고 있다.
「조선지지자료」에 부서면 주점동 송현(松峴)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말 명칭인 솔틔재도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자료의 현북면 기록에는
정현(鼎峴)으로 우리말 명칭인 '솟틔'라고 적혀 있다고 한다.
다음 구간은 군도인 7번 도로를 건너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노래산(794.2m)으로 향하게 되며...
구암지맥 두번째구간 마루금 산행은 이곳에서 종료합니다.

14:49 솔치재에서 2차선 차도인 '안파로'를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산1-1 도로변 공터에 주차해 있는
산악회 버스앞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

'보현지맥상 지맥 > 구암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암지맥4구간(양곡재-▲395.8m-▲551m-약산봉-▲387.7m-합수점)산행 (0) | 2022.02.07 |
---|---|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구두재-▲542.7m-양곡재)산행 (0) | 2022.01.18 |
구암지맥1구간(중기리-분기점-구암산-▲561.3m-안평임도-하속리/안평)산행 (0) | 2021.12.20 |
구암지맥(九岩枝脈) 이란 ? (0) |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