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현지맥상 지맥/구암지맥(2022완)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구두재-▲542.7m-양곡재)산행

by 山頂 2022. 1. 18.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구두재-▲542.7m-양곡재)산행

 

♧ 산행일시 : 2022.01.16. 일,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 산  행 지 : 경북 청송군 파천면, 안덕면/경북 안동시 길안면

                       * 솔치재 :  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 산행구간 : 솔치재→▲660.8m→노래호→×693.3m→구두재→×672m▲540.2m 

                    ▲511.5m→계명산생태숲→×453.5m→×372.3m→양곡재(914번도로)

♧ 산행거리 : 19.08km

♧ 산행시간 : 4시간52분(10:09~15:01)

♧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양곡재)산행기록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양곡재)산행트랙

구암지맥3(솔치재-양곡재)산정.gpx
0.33MB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양곡재)주요지점 이동시간

     ※ 10:09 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 솔치재 산행시작 

         10:30 ×539.8m

         11:06 ▲660.8m

         11:31 노래호공원

         11:43 ▲693.3m(무인산불감시카메라)

         11:48 ×692.8m(노래산갈림봉/지맥급우틀)

         12:02 구두재 임도

         12:21 ×672m

         12:50 ▲540.2m(길안432/급우틀)

         13:23 ▲511.5m(뽑혀있는 삼각점) 

         13:29 계명산생태숲

         13:40 ×453.5m(산패)

         14:04 ×430.3m(50m왕복)

         14:28 ×368.5m(좌틀)

         14:44 ×372.3m(급좌틀) 

         15:01 양곡재(914번도로.천지쉼터/안동시 길안면 천지리5-1)산행종료

구암지맥3구간(솔치재-▲657.2m-노래호-▲693m-양곡재)산행지도

구암3-1
구암3-2

 

산행메모

 

구암지맥 3번째구간의 산행은 경북 청송군 안덕면과 파천면의 경계인 솔치재를 출발하여

고산농장을 지나 지맥 마루금에 닿게 되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660.8m, 상부댐이

있는 노래호공원, ▲693.3m(무인산불감시카메라), 구두재 임도, ▲540.2m,  ▲511.5m

계명산생태숲을 지난후 임도를 따라 진행하다가 ×430.3m, ×368.5m, ×372.3m을 오르내리고 

       914번도로가 지나는 양곡재(안동시 길안면 천지리5-1)까지 약19km를 산행 하였다.

산행중에 노래호 상부댐을 지난후 지맥에서 왕복 약1.5km 떨어져 있는 노래산(▲794.2m)과

산행 끝무렵에 있는 봉알산(373.2m)을 다녀오는 산우들도 있었지만, 오늘 산행거리만도 길고

또 지맥에 포함되지 않는 산자락이고, 체력이 따라주지 않아 지맥능선 산행에만 충실했다.

청송지역의 날씨는 맑지만 미세먼지로 시야는 뿌옇다. 강풍의 찬바람이 매섭게 불고,

영하의 기온이라 산길에서 느긋하게 쉴 여건이 안되다 보니 평균 산행속도가 3.9km를 넘었다.

 ♥

10:09  고산농장 간판이 있는 솔치재에서 고산 농장으로 오르는

도로를 따라 구암지맥3번째 산행을 시작합니다.

솔치재는 경북 청송군 안덕면 노래리와 파천면 신흥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사가 매우 가파르며 북쪽 사면에서 신흥천이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가고

현재는 17번 군도가 통과하고 있다. 「조선지지자료」에 부서면 주점동(지금의 솔치재)

송현(松峴)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말 명칭 솔틔재도 함께 기록되어 있고,

같은 자료의 현북면(지금 안덕면) 기록에는 하노래리 정현(鼎峴)으로

우리말 명칭은 솟틔라고 적혀 있다.

고산 농장건물이 밀집해 있는 도로를 지납니다.

농장끝의 머리만 보이는 능선이 마루금인데...과수원이 조성되어 있네요 

농장을 지나서도 계속 이어지는 포장도로를 따라 과수원 끝으로 오릅니다.

포장도로를 따라 오르면 과수원 끝에서 철문을 만나게 되고

철문에 만들어진 작은 문을 열고 산으로 오릅니다.

철문을 지나 오르면 그물망을 만나고 우측으로 휘어져 그물망 따라 진행합니다.

두번째 철문을 통과하고....

두번째 철문을 통과한후 좌측으로 휘어져 넓은 임도를 따라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10:30    넓은 임도에서 잠시 오르면 539.8m 산패가 붙어 있는 봉에 닿고,

솔치재를 출발한지 20분 걸리네요...

539.8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가면 앞쪽으로 올라야할

630m봉이 보입니다...영하의 날씨인데...강풍이 불어 더추운듯 합니다.

10:45   정상부는 펑퍼짐한 능선처럼 보이는 약630m봉에 닿고

구암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던 등로가 완만하게 좌측으로 휘어져 무명봉을 지나고...

10:54   무명봉 605m에 닿고....

구암지맥은 이봉에서 또 급 좌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낙엽이 많이 쌓여 있어 미끌거리는 등로를 오르고...

11:01   해발 650m봉에 닿고.

구암지맥은 이봉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삼각점이 있는 660.8m봉을 향해 오릅니다.

삼각점이 있는 660.8m봉 풍경

11:06   삼각점이 있는 660.8m봉에 오릅니다.

660.8m삼각점

660.8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급우측으로 휘어져

청송 상부댐인 노래호가 있는 곳으로 내려갑니다.

삼각점이 있는 660.8m봉에서 보이는 노래호와 좌측의 오뚝한 노래산(▲794.2m)

지맥은 노래호 우측의 오뚝한 692.8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가게 됩니다.

노래산(老萊山/▲795.7m)은 청송군 안덕면에 위치하며 천주교와 관련이 깊다.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충청도와 전라도의 천주교인들은 지형이 험해 관아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경상도 동북부 산악지대로 도망쳤다. 그 대표적인 장소들이

청송현의 노래산을 비롯해 진보현의 머루산, 안동의 우련밭, 영양현의 곧은정 등지였고

천주교인들은 이곳에서 모여 살기 시작했으며 청송현의 노래산에도 교우촌이 형성 되었다.

노래산에 정착한 신자들은 안전한 생활을 영위했으나 1815년 2월 한 걸인의 밀고로

모조리 체포되어 대구 감영에서 옥살이 하다가 순교했다. 이른바 을해박해로 노래산의

교우촌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노래산의 이름은 산의 형세가 4명의 신선이

걸어가는 발모양 같이 생겨 늙은 신선들이 오는 곳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노래산은 구암지맥에서 벗어나 있다.

삼각점이 있는 660.8m봉에서 상부댐으로 내려가는 급경사의 등로

삼각점이 있는 660.8m 봉에서 상부댐으로 내려가다가

약610m의 무명봉을 하나 올랐다가 내려갑니다.

11:12      610m봉을 지나고...

610m봉을 지나며 바라본 노래산과 노래호 상부댐

잡목이 많은 급경사 등로를 따라 노래호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11:20    노래호 상부댐과 연결되는 도로에 내려섭니다.

좌측으로 가면 국궁장이 있는 곳에 닿게 되고,

지맥은 우측의 도로를 따라 상부댐이 있는 노래호 공원방향으로 오릅니다.

포장도로를 따라 잠시 오르면 삼거리에 닿고, 좌측으로 오릅니다.

도로를 따라 상부댐으로 오릅니다.

청송 양수 상부댐은 청송군 안덕면 노래산 아래 해발600m에 만들어진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CFRD)으로 길이 400m에 높이 90m의 댐과 저수용량 750만톤의

인공호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2001년11월 착공 하여 2006년 완공된 댐이다.

이곳 상부댐은 국내 최초로 커브엘리먼트 라는 신공법과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댐 다짐관리기법을 도입해 공사비와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주목을 받았다.

노래호 옆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맑은날이면 영양의 일월산은 물론 동해 바다도

한눈에 들어오고 오른편으로는 영양 맹동산 풍력발전단지도 보인다고 한다.

상부댐으로 오르는 좌측으로 보이는 국궁장..

상부댐 아래에 국궁장을 만들어 놓았네요

좌측으로 상부댐이 있는 '노래호 공원'에 닿고...

지맥은 직진방향으로 보이는 산능선을 오르게 됩니다.

상부댐 표지석

상부댐 축조공법과 현황을 적은 안내판도 설치되어 있네요

상부댐 노래호뒤로 보이는 조금전에 지나온 660.8m삼각점봉쪽 구암지맥 마루금 풍경

상부댐이 조성되어 있는곳에 마련된 공원의 노래호 표지석

노래호 표지석에서

노래호 전망대

전망대에서 조망되는 지점을 거리로 표시해 놓았네요

전망대 앞쪽으로 보이는 풍경... 

좌측 45km지점에 일월산이, 중앙에 동해바다36km, 우측으로 태행산13km,

주왕산14km, 거리라고 하는데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입니다.

상부댐이 있는 곳을 지나 포장도로를 따라 산길을 오르면

좌측에 정자가 보이고, 산위로 오르는 계단이 설치된 곳에 닿고

지맥은 우측의 침목 계단을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침목계단을 다 올라가면 우측에 팔각정자가 보이고..

11:35   계단 직진 방향으로 보이는 철망 울타리에 

철사줄을 제거해 놓은 곳을 통해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철울타리를 통과하면 좌측으로 보이는 등로를 따라 구암지맥이 이어집니다.

좁은 등로가 넓은 임도로 변하고...

임도 우측으로 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봉우리가 보입니다.

넓은 임도를 따라 무인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693.3m봉으로 향합니다.

무인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693.3m봉 풍경

11:43  무인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693.3m봉에 닿습니다.

철망 안쪽에 산패가 붙어 있고, 주변에는 나무의자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무인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693.3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넓은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는 좌측으로 계속가는데, 쉼터 의자가 있는 곳에서  구암지맥은 692.8m봉을 향해 오르고,

좌측으로 계속가는 임도를 따르면 노래산 방향으로 가게 됩니다.

11:48   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산패가 붙어 있는 692.8m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임도를 만나 노래산으로 가게 되고

구암지맥은 692.8m봉의 산패가 있는 곳에서 약20m진행후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노래산과 구암지맥 갈림길 지점입니다.

노래산은 좌측으로, 구암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가고...

내리막 등로 앞쪽의 나무 사이로는 오르게 될 672m봉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12:02    노래산 갈림봉에서 내려가면 만나는 '구두재' 임도..

구두재는 경북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에 있는 고개로 지명과 관련된

자료는 찾지 못하였으나, 고와리의 자연마을인 구두뭇골 마을에서 따온듯하다.

구두재 임도에 내려서 임도 따라 진행을 합니다.

임도 좌측으로 672m봉이 보이는 곳을 지나고....

12:06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곳에서 좌측 산으로 오릅니다.

산길에 들어서 조금 오르면 등로는 산정상부로 오르지 않고

좌측 사면으로 많은 산꾼들이 다녔던듯한 흔적의 등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무명봉 사면을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되어 있는 672m봉으로 향합니다.

12:21    힘들게 672m봉에 오르지만 산패하나 없고

산꾼들도 잘 안온듯...시그널도 금곡님것만 보이네요

다시 되돌아서 내려갑니다.

12:24    해발 665m봉에 복귀합니다.

보통은 이곳으로 올라 좌측의 672m봉은 가지 않고

우측으로 지맥능선을 이어가나 봅니다.

665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12:29    완만한 등로를 걷다가 좌측으로 큰 소나무가 한그루 서 있는 곳에서

구암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사이로 내려가야 합니다.(길주의)

급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급경사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계명산쪽 풍경이 보입니다.

12:37   내려가던 등로가 다시 올라 무명묘지가 있는 535m봉을 지나고

12:43  무명묘지가 있는 곳에서 약6분쯤 진행하면 구암지맥 540.1m봉 산패가 붙어 있는 곳에 닿고

이봉에도 무명묘지가 있네요...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540.1m봉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갔다가 소나무 숲길을 오르고..

12:50   삼각점이 있는 540.2m봉에 닿습니다.

산너머님의 산패와 시그널이 몇개 붙어 있는 나무 아래쪽에

삼각점이 있습니다.

540.2m봉의 삼각점(길안432/2004재설)

540.2m삼각점봉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묘지를 이장한 흔적이 있는 곳을 지나고..

소나무가 울창한 숲길을 오릅니다.

12:57   고사목이 있는 540m봉을 지나고...

우측 나무사이로 사일산(644.2m)이 보이는 능선을 지납니다.

소나무와 참나무가 혼재해 있는 능선을 오르고...

13:04    소나무가 쓰러져 있는 540m봉에 오르고...

쓰러진 나무를 지난후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540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약1분쯤 내려가면 넓은 임도를 만나고

이후 임도 따라 계속 진행하게 됩니다.

임도 옆에 커다란 동굴을 만납니다.

지도에도 '계명산동굴'로 표시 되어 있는데..

어떤 연유로 생겼는지는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계속해서 임도 따라 내려가다가 그물망을 넘어 좌측의 과수원 안쪽으로 들어갑니다.

과수원 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연못을 만나고...

연못옆의 임도를 따라 과수원 옆을 지나며 구암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임도를 따라 가다보면 우측으로 '사일산(644.2m)이 선명하게 보이네요

경북 청송군 파천면 병부리와 지경리에 걸쳐 있는 산일산은 산의 남쪽에

동남쪽으로 당진-영덕고속도로가 지나고 , 사일산 터널이 개통되어 있습니다.

산에 솟아 있는 두개의 봉우리가 새의 날개처럼 보인다고 하여 '새알산'이라고도

불리며, 사일산이란 명칭은 새알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주 등산로는 사일산의 서쪽 능선을 따라 와룡산(488m)으로 이어지는

약 10km의 코스로 4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계속해서 넓은 임도를 따라 구암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사과 과수원이 좌측으로 있고, 멋진 소나무들이 있는 임도도 지나고..

임도 삼거리에서 임도를 버리고 직진의 산길을 올라 511.5m삼각점봉으로 오릅니다.

삼각점봉 오르는 삼거리에 있는 이정표

계명산(鷄鳴山:531m)은 경북 안동시의 길안면 고란리에 있는 산으로 산 서쪽 사면 아래에

길안천이 흐르고 그 강변에는 묵계서원이 있으며, 또 동쪽 사면에는 계명산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산의 이름은 닭이 울면 동방이 밝아지고 즉 서광이 비추어 온다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과 닭이 많아 닭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13:23    임도에서 약3분쯤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513.7m봉에 닿습니다.

땅에 박혀 있어야 할 삼각점은 뽑혀져 낙엽 위에 누워있네요

511.5m삼각점봉 풍경

511.5m삼각점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면 과수원 그물망 울타리를 만나고

울타리의 그물망을 들고, 밑으로 과수원 안쪽으로 들어갑니다.

그물망 울타리 안쪽에는 전기선 울타리가 또 설치되어 있네요

전기선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지 말고, 전기선을 따라 도로쪽으로 갑니다.

13:27   과수원의 전기선 울타리를 나오면 세멘트 포장도로를 만나고

이후 계속해서 넓은 임도를 따라 계명산 생태숲 방향으로 갑니다.

임도를 계속 따라가면 계명산 생태숲 건물이 보입니다.

13:29  계명산 생태숲 건물

계명산 자연휴양림은 경북 안동시 길안면 고란리에 있는 자연휴양림으로

산림을 찾는 시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연의 파괴와 무질서한 개발이 이루어지자

안동시에서 임업 경영의 본래 목적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을 보호하는 한편

시민의 복지 후생 증진을 꾀하고자 2001년 개장하였다.

휴양림의 규모는 2백50만㎡의 대지에 산책로 2km, 등산로 5.7km를 갖추고 있으며

숙박시설로 산막7동, 황토방1동, 숲속의 집2동, 야영데크15개소, 산림휴양관2동이 있다.

편의 시설로는 물놀이장1곳, 캠프파이어장1곳, 놀이시설2곳, 잔디광장1곳, 족구장1곳

정자1곳, 공동 취사장 1곳, 공동 샤워장 및 화장실이 각 2곳이 있다.

계명산 생태숲 안내판

계명산 생태숲의 정자와 쉼터 데크

계명산 생태숲 건물을 지나면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 숲길 산책로 로 진행합니다.

산책로 우측으로 보이는 계명산 생태숲 정자와 산책로

넓은 산책로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며 구암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13:34   계명산 생태숲 이정표를 만나고...

구암지맥은 배방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구암지맥은 능선위의 임도를 따라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임도를 따르다가 임도 우측으로 있는 453.5m봉으로 오릅니다.

13:40   453.5m봉에 오르면 '산너머'님의 산패가 있습니다.

453.5m봉에서 1분쯤 내려오면 다시 임도를 만나고 계속해서 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13:43    임도를 버리고 좌측 굵은 참나무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길주의)

임도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낙엽이 푹푹 빠지는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낙엽이 쌓여 미끌거리는 등로를 오릅니다.

13:49   고사목이 있는 422m봉에 오르고... 급 좌측으로 휘어져 진행합니다. 

고사목이 쓰러져 있는 곳을 지나 내려가고...

낙엽쌓인 미끄러운 오르막 등로를 올라 무명봉을 지납니다.

무명봉을 올랐다가 내려가고...

무명봉의 능선을 또 오르고...

13:57   용도를 알수 없는 삼각점(NO134)을 지나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좌측으로 당진-영덕 고속도로가 나무사이로 보이는 능선을 지나고..

등로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 430.3m봉을 향해 오릅니다.

14:04   등로에서 약50m정도 벗어나 있는 430.2m봉에 오릅니다.

산패는 없고, 시그널이 몇개 붙어 있네요...

지맥 꾼들도 잘 오지 않는 곳이가 봅니다.

430.2m봉에서 약50m정도를 되돌아 내려간후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고..

안부 좌측으로 당진-영덕간 고속도로가 보이네요

길안3터널위를 지나고 있는듯 합니다.

길안3터널위를 지나면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4:12   해발 390m의 무명봉에 오르고.

급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진행하고....

낙엽이 미끄러운 등로를 완만하게 또 오르고...

14:16    준.희님의 격려판이 붙어 있는 395m봉에 오릅니다.

격려판이 붙어 있는 봉우리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가다가

서서히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成均進士 卧溪金公 묘지가 있는 곳을 지나고

고도를 낮춘후 완만하게 능선을 걷습니다.

낙엽이 쌓여 미끌거리는 등로를 또 오르고..

14:28    368.5m봉에 오르고...

굵은 참나무에 산너머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봉에서

구암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368.5m봉에서 완만하게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올라야할 357m봉이 보입니다.

낙엽이 쌓여 미끌거리는 357m봉을 오르며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완만하게 무명봉들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능선 좌측으로는 멀리 기룡산, 갈라산쪽 풍경이 나무 사이로 보이고

또 다시 완만하게 능선을 올라간다.

무명봉에 오르니 이곳에도 무명 묘지가 봉우리 정상부를 차지하고 있다.

무명묘지가 있는 봉을 지난후에 또 다시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고...

14:44   준.희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372.3m에 닿고

이곳에도 산패 뒤쪽으로 무명묘지가 보이네요

구암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372.3m봉에서 좌측으뢰 휘어져 또 무명봉을 오릅니다.

14:49     무명묘지가 있는 370m봉을 지나고..

370m의 무명봉을 지나 내려가는 앞쪽으로는 약산(582m)쪽 풍경이 보이고..

14:57      331m의 무명봉이 앞쪽으로 보입니다.

봉우리를 오르지 않고, 우측 사면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양곡재에 닿게 됩니다.

331m무명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좌측으로 양곡재와

천지쉼터 공터에 대기하고 있는 버스도 보입니다.

양곡재는 914번 '길안청송로'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며 좌측으로 안동시 길안면

천지리와 우측 길안면 구수리를 이어주는 고갯마루로 양쪽에 골짜기를 두고 

고개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고개가 상당히 길고 높으며 이고개를 통하면

청송으로 갈 수 있는 길이기도 합니다.

잡목을 헤치고 내려가면 넓은 임도를 만나고.

임도 따라 내려가면 914번 도로에 닿습니다.

914번 도로에 내려선후 좌측으로 약50m 지점의

양곡재 고갯마루에는 폐 주유소와 운영하지 않는 천지쉼터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구암지맥3번째 산행을 종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