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상 지맥/백하지맥(2023완)

백하지맥3구간(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산행

by 山頂 2021. 3. 10.

백하지맥3구간(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산행

 

♧ 산행일시 : 2021.03.09. 화, 날씨 : 맑음

산행참여 : 4명(산정,입산,상현,와룡)

♧ 교 통 편

        - 갈때 : 06:45 전철로 망포역1번출구, 와룡님 승용차로 진삼령 향해 출발

                    09:40 입산,와룡 진삼령하차→

                    09:58 압재도착(산정,와룡) 차량 파킹후 산행

       - 올때 : 16:00 압재 차량회수(입산,와룡)→

                    16:45 백하지맥끝/금강 주차장 산행종료

                    17:40 금강변 음식점출발→19:50 망포역 도착→전철로 오리역하차

                    20:30 오리역 8106버스승차→21:20 부천 송내역 하차 귀가

산행구간 : 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

산행거리 : 17.05km

산행시간 : 6시간43분(10:03~16:46)

♧ 백하지맥3구간(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산행기록

고도표

♧ 백하지맥3구간(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산행트랙

백하3(압재-성주산-갈기산-금강)산정.gpx
0.33MB

 

♧ 백하지맥3구간 (압재-칠봉산-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주요지점 이동시간

    ※ 10:03 압재 출발

          * 전북 무주군 무주읍 무주읍 방축동/충북 영동군 학산면 봉소리의 경계

        10:25 ×507.9m(우측으로휘어짐)

        10:33 칠봉산(▲520.9m/이원313.1980재설)

        10:41 ×415m

        10:57 안압재(포장도로삼거리,전북 무주군 무주읍 표지판)

        11:04 과수원 농막(파란물통,가건물)

        11:18 ×361.4m(준.희표지판)

        11:32 ×395m

        11:56 삼도봉(약560m/충남, 충북, 전북)

        12:24 ×606.8m(준.희/인삼대장표지판)

        12:44 ×611m봉(무선중계기,큰소나무)

        12:53 성주산(▲624m,慕鄕碑/이원313)

        13:04 ×568m봉(약간의 우묵한 공터)

        13:15 ×495m무명봉

        13:41 ×446.4m(준.희 표지판)

        14:04 ×395.5m(준.희표지판)

        14:16 기웃재(백하지맥 여기가 기웃재입니다.표지판)

        14:28 ×405m(우틀/독도주의)

        14:32 ×415.9m봉(맨발 표지판)

        14:46 자사봉(×457.2m,월영산 갈림봉)

        15:06 ×545m(성인봉624m 표지석:산 높이 오류 / 좌틀)

        15:15 차갑고개(이정목:갈기산↑1.30km, 주차장←2.7km, 월영봉↓2.1km)

        15:27 ×555m봉(좌틀)

        15:38 ×558m(월유봉/암릉진행)

        15:54 갈기산 직전 안부

        16:03 갈기산(×595m/정상석/조망좋음)

        16:17 육각정자

        16:30 헬기장(×335m)

        16:46 금강주차장(68번2차선 도로/백하 지맥끝)산행종료

♧ 백하지맥3구간(압재-칠봉산-안압재-삼도봉-성주산-성인봉-갈기산-금강)산행지도

백하지맥3-1
백하지맥3-2

 

 

산행메모

 

뉴마포산악회에서 산행을 함께 하는 상현님이 홀로 백하지맥 산행을 하고 있는데...

함께 가자는 카톡이 들어온다. 마침 백하지맥을 가고 싶어 했던 나와, 백하지맥 두번째 구간을

빠트렸던 입산님과, 차량지원을 해주겠다는 입산님이 합류하여 백하지맥 산행을 하게 되었다.

백하지맥(白霞枝脈)은 백두대간 삼도봉(1178m.충북. 전북. 경북)에서 분기한

각호지맥이 석기산(1242m), 민주지산(1242m), 각호산(1202m), 도마령을 건너

천만산(960.1m)에서 각호지맥은 북쪽 삼봉산(930.4m), 백마산(534.4m)으로 올라가
영동군 심천면 용당리에서 금강과 초강을 만나며 끝나고,
천만산(960.1m)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또 하나의 산줄기는 천마령(925.2m),

백하산(633.1m), 칠봉산(519.9m), 성주산(622.5m), 갈기산(585m)을 지나

금강에 드는데 길이 37.2km되는 이산줄기를 백하지맥(白霞枝脈)이라 칭한다.

이 산줄기는 신산경표 개정증보판이 나오기 전에는 길이 30km이상되고

강유역 면적이 200㎢이상되는 147개 지맥에서 빠져 있었는데 그후 측정 ,

기타 오류 수정으로 200㎢ 이상으로 분류되고,

산줄기 길이가 30km이상으로 분류돼서 개정증보판이 나오면서

4개(백하. 사금. 무성. 칠보)의 산줄기가 지맥반열에 합류했는데
백하지맥도 그중의 하나로 지맥의 끝을 무주 남대천에서 성주산을 거쳐

금강에 이르는 산줄기로 수정됐다.

4명이 함께 하는 백하지맥은 입산님과 와룡님은 2구간(진삼령-안압재)을 하고

나와 상현님은 마지막구간(압재-금강)을 산행 하기로 했다.

승용차는 진삼령에 두사람을 내려두고 나와 상현님이 승용차를 갖고 압재로 이동후

압재에 파킹을 하고 산행을 하였으며, 차량 회수는 입산과 와룡님이 안압재까지 산행후

차량을 회수하여 백하지맥 종착점인 금강 주차장에서 만나기로 한다.

10:03  진삼령에서 입산과 와룡님을 내려주고 약10여분을 이동하여 압재에 도착합니다.

압재에는 주차장이 있어 어렵지 않게 차량을 파킹하고, 고갯마루 우측 절개지옹벽 옆의

백하지맥3구간 들머리로 들어서며 산행을 시작합니다.

압재는 전북 무주군 무주읍 방축동에서 충북 영동군 학산면 봉소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현재는 19번 국도가 개설되면서 압치터널이 뚫려 있고, 이곳은 구도로 고갯마루다.

고개가 마치 오리의 머리 같이 생겼다고 하여 압치(鴨峙)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해발 309m의 압치를 출발하면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르게 된다.↓

급경사의 비탈면을 올라서 능선에 닿으면 우측으로 휘어져 다시 오른다.↓

10:25   압재에서 고도를 약200m올리며 오르면 507.9m봉에 닿는다.

백하지맥은 이봉우리를 지나며 우측으로 휘어져 칠봉산으로 향하게 된다.↓

507.9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보이는 칠봉산 풍경↓

507.9m봉에서 칠봉산 까지는 약8분정도의 거리로

칠봉산 정상부는 돌들이 많이 널려 있다.↓ 

10:33   칠봉산 정상부에 있는 준.희님 표지판과 시그널들

칠봉산은 전북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와 충북 영동군 학산면 봉소리의

경계에 있는 해발 519.9m의 산이다.↓

칠봉산 삼각점(이원313/1980재설)

칠봉산을 지나면 등로는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칠봉산을 지나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면 임도를 만나서 진행하고...↓

백하지맥 마루금이 풀이 우거진 묵은밭을 지나고....

앞쪽으로 뾰족하게 솟아 있는 삼도봉으로 올라야 한다.↓

밭둑과 풀이 무성한 비산비야의 능선을 내려서면 넓은 임도를 따라

앞에 보이는 포장도로를 내려서서 좌측 고갯마루쪽으로 향한다.↓

10:57   안압재 삼거리에 닿는다.

백하지맥은 표지판이 있는 절개지를 올라간다.↓

과수원의 밭둑을 지나고...앞쪽으로 보이는 세멘트 마을길을 따라 가게 된다.↓

좌측으로 보이는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방축안 마을 풍경↓

11:04   세멘트 포장의 마을길(농로)를 따르면 과수원 농막이 있는 곳을 지나고...↓

과수원 농막이 있는곳을 지나 계속 농로를 따라 오르면 삼거리에 닿고,

차량이 서 있는 농로를 건너서 산길에 들어서 삼도봉을 향해 오르게 됩니다.↓

산길에 들어서면 소나무 우거진 숲길을 완만하게 올라가고...↓

11:18   361.4m봉에 오릅니다.↓

361.4m봉에서 잠시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 안부를 지나고...↓

안부를 지나면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르게 된다.↓

11:32   395m의 무명봉을 지나고...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오르기 시작합니다.↓

급경사의 등로가 시작되고...↓

커다란 바위가 있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가파른 등로를 오르고...↓

삼도봉으로 오르는 급경사 등로 오른쪽으로 가야할 성주봉쪽으로 이어지는

백하지맥 마루금이 날카로운 톱날처럼 보입니다.↓

11:56   삼도봉이라 불리는 해발560m봉에 닿습니다.

충남 금산군, 전북 무주군, 충북 영동군의 경계를 이루는 봉으로,

백하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성주산으로 향하게 됩니다.↓

삼도봉에서 안부로 내려갔다가 안부를 지난후 급경사의 등로를 오릅니다.↓

12:24  백하지맥 606.8m봉에 도착합니다.↓

606m봉에서 보이는 충북 영동군 학산면 황산리쪽 풍경...↓

606m봉에서 바라본 성주산(623.9m)풍경

606m봉을 지나며 잠시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영동군 학산면 학산리쪽 풍경↓

안부를 지나 오르막 등로 우측으로는 가야할

무선중계기가 있는 611m봉과 성주산(623.9m)이 보입니다.↓

무선 중계기가 있는 611m봉으로 오르는 등로에서 만나는 바위

바위등으로 오를수 있을것 같네요...오르면 조망이 좋을듯...

갈길이 멀어...그냥 지나쳐 오릅니다.↓

611m봉으로 오르는 암릉지대↓

암릉지대를 올라서면 작은 돌탑이 있는 봉을 만나고...↓

12:44  작은돌탑봉을 지나서 잠시 오르면 무선중계기가 있는 611m봉에 닿고,

우측에 큰 소나무가 한그루 서 있습니다.↓

611m봉에서 바라본 성주산 정상부쪽 풍경...

611m봉을 내려갔다가 올라야 합니다.↓

안부를 지나서 급경사를 올라가면 옛 성터인듯한,

성을 쌓았던 돌들이 많은 곳을 지나고...↓

12:53   성주산악회창립기념비(慕鄕碑)가 있는 성주산(624m)에 도착합니다.

충북 영동군 학산면 학산리, 지내리, 봉산리와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기슭에 영험한 바위가 있어 사람들이 치성을 드리는 산이라

성주산(聖主山) 이라 부르고, 신라시대 축조된것으로 알려진 산성이 있다. ↓

성주산(624m) 삼각점(이원313)↓

성주산에서 바라본 가야할 성인봉과 갈기산쪽 풍경...

백하지맥 마루금은 좌측으로 갔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저곳에 닿게 됩니다.↓

성주산 좌측편 나무가지 사이로 보이는 "금강" 줄기↓

성을 쌓았던 돌들인듯...성주산에서 돌위에 낙엽이 쌓여있는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서 무명봉을 오르고...↓

고도를 낮추며 무명봉들으로 오르내리며 갑니다.↓

13:04  해발568m의 무명봉을 지나고...↓

제법 잡목이 많아 발길을 더디게하는 능선을 내려갑니다.↓

성주산 오를때 만났던 바위와 비슷하게 생긴 바위를 만나고...↓

암릉지대를 만나 좌측으로 우회하여 내려갑니다.↓

13:20  안부에 닿습니다. 앞쪽으로 보이는 450m봉을 올라야 하는데..

안부 좌측으로 우회하는 등로를 따라 갑니다.↓

450m봉을 우회하고....↓

다시 능선에 접속하여 우회하여 올랐던 봉우리와 높이가 같은 또 다른 450m봉을 오릅니다.↓

13:27    무명봉의 450m봉 풍경

백하지맥 마지막 구간은 빨래판 구간이네요..

많은 봉우리들이 있고, 오뚝오뚝 솟아 있어 오르내리이 심합니다.↓

무명봉을 지나 우측으로 휘어지면 올라야할 봉우리가 또 보입니다.↓

13:41  해발 446.4m 준.희 표지판이 붙어 있는 봉을 지납니다.↓

444.6m봉을 지난후 완만한 능선을 걷다가

돌을 인위적으로 쌓아놓은봉 직전에 좌측으로 휘어져 가야 합니다.

독도주의 구간인데...착오로 이곳을 지나 올랐다가 되돌아 내려옵니다.↓

잠시 알바후 지맥능선에 접속하고...

 우측으로(알바를 안했을때는 윗사진 닿기전 좌측)진행하여 내려갑니다.↓

13:59   옛 고갯길인듯한 안부에 내려섭니다.↓

14:04   안부에서 약5분쯤 등로를 올라가면 395.5m봉에 닿고↓

395.5m봉을 지난후에는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4:16   기웃재 안부에 내려서게 됩니다.↓

기웃재를 지나면 완만하게 오르막등로를 올라갑니다.↓

14:28  무명봉인 405m봉에 오릅니다.

405m봉에서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게 됩니다.(독도주의)↓

14:32   백하지맥 415.9m표지판이 붙어 있는 봉에 오르고...

415.9m봉에서 백하지맥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415m봉을 지나면 좌측으로 "월영봉"이 보이는 능선을 오르고...

월영봉은 금산군 제원면과 영동군 양산면 경계에 있는 529m의 산이다.

달을 맞이한다는 뜻의 월영봉은 월향산이라고도 부르며 서봉을 월영산,

상봉을 안자봉이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정월대보름에 산위로 떠오르는 달을

맞이하며 풍년을 비는 달맞이행사를 했는데. 성인봉쪽으로 달이 뜨며

가뭄이 들고, 월영산 중턱에 구름이 걸치면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았다.

또는 월용산 달 그림자가 금강에 맑게 비치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월영산을 가보고는 싶었지만, 일행은 산행을 끝내고 지맥끝지점으로 이동중이라

시간도 없고, 지맥에서 왕복1시간을 소요되는 거리여서 다음을 기약해본다.↓

능선 우측으로 보이는 545m(성인봉) 풍경↓

좌측에 월영봉, 우측에 성인봉을 보며 능선을 가파르게 오릅니다.↓

계속해서 가파른 오르막 등로를 올라갑니다.↓

14:46   해발 457.2m봉에 오릅니다.

자사봉이란 코팅지의 표지판이 땅에 떨어져 있고,

좌측으로는 월영봉, 우측으로는 백하지맥의 성인봉 갈림봉입니다.↓

457.2m봉에서 급경사를 내려가 안부에 닿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경사의 등로를 올라 성인봉으로 향합니다.↓

안부를 지나 가파르게 약5분정도 오르면 암릉지대를 만나고...↓

성인봉으로 오르는 능선 좌측편으로 백하지맥의 마루금이 보입니다.

백하지맥은 지금 오르는 성인봉(545m)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맨우측의530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암릉을 올라 월유봉(558m)을 지나고

그리고 맨 좌측의 갈기산(595m)으로 가게 됩니다.↓

성인봉의 정상부로 오르는 등로 좌우측은 암릉지역이지만

소나무가 우거져 있는 등로를 따라 편안하게 오릅니다.↓

15:06   해발 545m(성인봉)에 도착합니다.

고도 표시가 잘못되어 있는 성인봉(624m) 표지석이 보이네요↓

성인봉에서↓

성인봉에서↓

성인봉에서 급경사를 약10여분 내려가면 "차갑고개" 안부에 도착합니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금강변의 주차장에 닿고,

백화지맥은 갈기산방향으로 급경사를 올라갑니다.↓

차갑고개에서 555m봉 오르는 등로는 국가지점번호를 지나 급경사 입니다.↓

소나무가 많은 급경사의 돌길을 올라갑니다.↓

15:27  해발555m의 봉에 닿고, 백하지맥 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55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독도님의 격려문을 써놓은 코팅지를 만나고..↓

555m봉을 지나며 바라본 가야할 백하지맥 마루금 풍경

맨 우측이 월유봉(558m)이고, 맨 좌측이 갈기산(595m)입니다.↓

555m봉을 지나며 앞쪽으로 보이는 충북의 설악산이라 불리는 천태산(714.3m)↓

암릉을 지나 558m의 월유봉으로 오릅니다.↓

15:38  558m(월유봉)정상에는 이정목이 있네요

갈기산까지 0.64km 남아 있습니다.↓

558m(월유봉)을 지나면 암릉위에 설치된 철계단을 만납니다.↓

철계단을 지나고 나면 칼날같은 날등의 암릉을 지나야 합니다.

이곳도 철계단을 만들어야 할듯한데...위험한 암릉을 조심스럽게 지나고...↓

암릉구간을 지나며↓

날등의 암릉을 지나고 나면 조금은 완만해진 암릉을 다시 오르고..↓

갈기산으로 가면서 뒤돌아본 558m(월유봉)과 그뒤로 555m봉 풍경↓

말갈기 ↓같은 오르막 능선 좌측으로 보이는 갈기산 풍경..↓

갈기산 직전봉(약590m)은 등로가 없는 위험구간으로

등로를 좌측으로 우회하여 지나게 하였네요.↓

우회한 590m봉과 갈기산의 중간지점인 안부에 닿고,

사진으로 보이는 암릉 뒷편을 올라 갈기산에 오르게 됩니다.↓

갈기산으로 오르려면 두번의 암릉봉을 올라야 하며,

밧줄이 매어져 있는 암릉을 올라서 조금더 진행하면 첫암봉에 닿습니다.↓

암릉을 오르며 뒤돌아본 영동군 양산면 호탄리와 수두리쪽의 금강 풍경↓

갈기산으로 가는 첫번째 암봉을 오릅니다.↓

첫번째 암봉 우측아래로 보이는 금강 풍경↓

밧줄이 길게 늘어져 있는 직벽의 암릉을 오릅니다.↓

갈기산 정상부의 암봉을 오르며↓

밧줄을 타고 올라 두번째 암봉에서 바라본 백하지맥 끝지점의 금강풍경↓

두번째 암봉에 올라 뒤돌아본 금강풍경

좌측의 영동군 양산면 호탄리와 금강위의 호탄교

그리고 우측의 양산면 가곡리와 수두리쪽 풍경↓

두번째 암봉에 오르면 앞쪽으로 갈기산 정상부의 암봉이 보입니다.

갈기산 정상으로 오르려면 역시 밧줄을 잡고 올라야 하네요↓

갈기산(595m)으로 오르는 암릉과 밧줄↓

16:03   백하지맥의 마지막 산인 갈기산(585m)정상에 오릅니다.

충북 영동군 양산면 호탄리 위치하며, 산의 형세가 말갈기와 비슷하다고 해서

갈기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바위가 많아 암벽 등반을 하기에 제격인 산이다.

능선은 반원형으로 가운데가 깊숙한 골로 이루고 있고, 양산팔경 지역에 속해 있다.

산위에 오르면 금강 줄기와 어우려지는 아름다운 경관을 볼수 있으며

북서쪽으로 천태산과 마주하고, 동북쪽으로 백화산과 포성봉이 가깝게 보인다.↓

갈기산 정상에서...↓

갈기산 정상에서↓

갈기산에서 바라본 지나온 백하지맥 마루금

맨앞쪽의 558m(월유봉), 555m봉, 두봉 사이에 뒤쪽의

뾰족한 성주산(623.9m)으로 이어지는 마루금들↓

갈기산 정상에서 밧줄을 잡고 내려오면 만나는 이정목...

백하지맥은 헬기장 방향으로 하산을 합니다.↓

백하지맥의 끝지점부근의 금강과  주차장..금강뒤로 멀리 천태산↓

급경사를 내려가면 멋지게 쌓아올린듯한 바위를 지나고↓

금강이 조망되는 곳을 지나 내려갑니다.↓

16:17    육각정이 있는 곳을 지나고..↓

우리가 내려가야할 금강쪽 풍경이 보이는 능선을 지납니다.↓

16:30   넓은 헬기장(약335m)이 있는 곳을 지납니다.↓

헬기장을 지나면 금강변 주차장이 있는 곳까지 약26분정도를 내려가게 되는데...

조금 지루한 느낌이 드는 내리막 등로입니다.↓

16:45    금강변 주차장이 있는 갈기산 등산로 입구에 내려섭니다..

갈기산 등산안내도와 해충자동기피제가 설치되어 있네요.↓

주차장앞의 68번 2차선 도로에서 바라본 금강

금강으로 내려가지 않고 이곳에서 백하지맥 산행을 마칩니다.↓

16:46   백하지맥 종착점인 금강을 바라보고,

먼저와서 기다리고 있는 차량에 오르며 산행을 종료 합니다.↓

산행종료후 금산쪽으로 이동하여 식사를 했던 음식점

금강변에서만 맛볼수 있는 특별음식 어죽을 먹고,

금산IC에서 고속도로에 들어서고 하루의 일정을 접으며 귀가 길에 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