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지맥3구간(21번도로-천잠산-승반산-두악산-니성산-국사봉-진봉산-봉화산-거전교)
♧ 산행일시 : 2021.02.27. 토,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뉴산악랜드 모악지맥팀 16명
♧ 산행구간 : 전북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21번도로→148.6m→천잠산→▲95.3m→
▲79.4m→승반산→두악산→니성산→국사봉→진봉산→
심포제방→봉화산→거전교(전북 김제시 진봉면 거전리)산행종료
♧ 산행거리 : 53.36km(도보23km+차량30km)
♧ 산행시간 : 7시간21분(10:03~17:24)
♧ 주요지점 통과 시간
※ 10:03 전북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1번국도변하차(역산행)
10:16 모악지맥접속
10:31 ×148.6m봉
11:05 천잠산(×159.3m)
11:35 ▲95.3m
11:54 ×183m
12:11 완산구 용복동21번도로 도착(버스승차)
12:35 713번도로(완주군 이서면 이성리)정방향 산행
12:49 ×115.3m
13:17 ▲79.4m
13:27 호남고속도로(이서휴게소)하부 통로 통과
13:35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두필지(해피펫)도착(버스승차)
14:06 김제스파힐스 CC앞 도로(아리랑로)하차 도보
14:13 ×60.2m
14:22 승반산(▲57.6m)
14:41 두악산(▲59.6m/지붕없는 팔각전망대 3층에 삼각점)
14:45 관망대 산장 입구(버스승차)
15:25 702번도로(전북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앞)도보
15:34 ×31.9m
15:40 니성산(▲61.9m)
15:52 국사봉(×61.3m)
16:08 ×35.5m
16:19 팔각정 전망대
16:23 진봉산(▲73.2m)
16:33 심포제방
16:50 심포보건진료소 입구(66.1m봉 공사중으로우회)
17:06 봉화산(▲84.9m)
17:24 전북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거전교(바람길종점)산행종료
♧ 산행트랙 : 모악지맥3구간(21번도로-천잠산-봉화산-거전교)산행
♧ 모악지맥3구간 산행기록
♧ 산행지도 : 모악지맥3구간(21번도로-천잠산-승반산-두악산-니성산-국사봉-진봉산-봉화산-거전교)지도
산행메모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으로 산행을 중단했던
뉴산악랜드에서 2월 마지막주 토요일에 모악지맥3구간 산행에 참석 했다.
모악지맥(母岳枝脈 )은 호남정맥의 묵방산(x538m)에서 북쪽으로 약1.3km,
옥정호 초당골에서 약 1km 떨어진 355m봉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국사봉(x541m), 모악산(△793.5m), 매봉(249.9m), 천잠산(x153m), 승반산(x58.5m),
두악산(x57m), 이성산(△60.9m), 국사봉(x61m), 진봉산(△72.2m)과 봉화산(△85m)
등을 일구고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서 새만금간척지에 발을 담그며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77km쯤 되는산줄기로 만경강과 동진강의 수계를 가른다.
모악지맥은 세구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마지막 구간이 김제시 일원을 지날때
낮아진 산줄기는 비산비야라서 일부 구간은 차량으로 이동하며 산을 오르고 다시 차로
이동을 하고 또 산행을 하는 방법으로 계획이 되어 있다.
걷기도 어렵고...그렇다고 산행을 하지 않으면...지맥을 잇는 의미가 없어 보이는데..
하지만 지맥이 지나는 도로를 따라 차량으로 이동을 한다니 그나마 위안이 된다.
화원지맥 2박3일 산행의 마무리도 제대로 못한채 하루를 쉬고 다음날 산행길에 들었다.
♡
10:03 모악지맥 3번째 구간은 21번도로에서 하차하여 천잠산을 거쳐 승반산, 두악산
이성산으로 진행을 해야 하는데...착오로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1번도로에 내리게 되어
천잠산 구간은 역산행을 하게 되었다. 1번국도에서 절개지를 내려서면 도로밑을
지나는 하부통로가 있어 하부통로를 지나 모악지맥 마루금으로 향한다.↓
1번국도 하부를 나와 좌측으로 가면 도로위를 지나는 횡단육교가 보인다.
정상적인 산행이였다면 천잠산을 거쳐 저 횡단육교를 건너서 산행이 되겠지만...
오늘은 우측으로 진행하여 천잠산을 거쳐 21번 도로까지 진행을 한후
버스로 다시 횡단육교 좌측으로 돌아오게 된다.↓
10:16 논둑길과 밭둑을 지나서 지맥능선에 접속을 하고...역산을 한다.↓
지맥꾼들이 지나간 흔적의 산길을 따라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올라 148.6m봉을 지난다.↓
148.6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묘지를 만나고
묘지아래의 철계단을 내려가서 2차선 차도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도로를 따라 가면 전주권 광역 쓰레기 매립장 관리사무소와
뒤쪽으로 천잠산이 보입니다. 도로를 따라 계속가면 안되고...
도로삼거리전에서 우측의 파란철망 안쪽의 능선을 올라야 합니다.↓
파란철망 안쪽의 능선은 희미한 등로가 있어 걸을만 합니다.↓
쓰레기 매립장을 만들며 잘려진 산을 연결하는 생태통로위를 지납니다.↓
생태통로를 지나며 우측으로 보이는 매립장 모습↓
생태통로를 지나면 천잠산으로 오르는 가파른 등로를 오릅니다.↓
11:05 전주시의 삼천동,효자동, 완주군 이서면에 위치한 天蠶山(159.3m)에 도착합니다.
누에가 하늘로 올라가는 형국이어서 누에잠(蠶)가 하늘천(天)자를 붙였다고 하네요↓
천잠산 좌측으로 산불감시초소가 보이고....
지맥은 산불감시초소를 지나게 됩니다.↓
천잠산 정상보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곳에서 조망이 트입니다.
산불감시초소 우측으로 보이는 모악산 풍경↓
산불감시초소를 지나면 송전탑을 만나고...송전탑 밑을 지납니다.↓
송전탑을 지나 내려가면 능선 좌측 아래로 소나무를 심어놓은 묘목지에 닿고,
지맥마루금은 도로 건너편으로 이어져 가게 됩니다.↓
소나무 묘목지를 내려서면 2차선 도로에 닿고, 도로를 건너 산길을 오릅니다.↓
산능선을 완만하게 넘어서면 우측으로 1번도로가 보이는 절개지를 내려갑니다.↓
11:31 잡목이 많은 절개지를 내려서면 1번국도 하부의 통로를 지나고...↓
하부통로를 나와 포장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하다가 좌측 산으로 오릅니다.↓
11:35 1번국도의 하부통로를 나와서 산길로 잠간 오르면
묘지 뒷편에 설치되어 있는 ▲95.3m의 삼각점을 만납니다.↓
삼각점을 지나면 지맥능선은 계속해서 완만하게 고도를 높이며 오릅니다.↓
11:43 무명봉인 142m봉을 지나고↓
11:46 고개 안부를 지납니다.↓
안부를 지나면 경사의 오르막 등로가 시작되고..↓
11:54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모악지맥 183.6m봉에 닿습니다.↓
183.6m봉에서 모악지맥은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야 합니다.(직진가지 않도록 독도주의)↓
경사의 등로를 내려서면 과수원 상단에 닿고,..과수원을 따라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과수원을 지난후 좌측으로 휘어져 산길을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또 다시 과수원을 지나서 농로를 만납니다...농로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
농로를 따라 계속해서 내려가면 버스가 대기하고 있는 완산구 용복동 21번 도로에
12:12에 닿게 되고 버스에 승차하여 713번도로(완주군 이서면 이성리)로 향합니다.↓
12:35에 21번 도로에서 버스를 타고 약20여분을 달려
713번도로(완주군 이서면 이성리)의 "원이성" 버스정류장 앞에 도착합니다↓
버스정류장앞의 도로를 건너 민가를 지나 산길을 오릅니다.↓
12:49 무명봉 115.3m봉을 지나고..↓
115.3m봉을 지나며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가다가 다시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3:00 세멘트 포장된 임도를 건너고↓
13:02 비포장 임도를 만나서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3:06 임도 삼거리를 만나면 직진으로 진행하고↓
묘역을 지나서 뒤쪽의 삼각점봉으로 향합니다.↓
13:17 삼각점봉인 79.4m봉에 도착합니다.↓
모악지맥 79.4m 삼각점봉의 준.희님 표지판↓
79.4m의 삼각점봉에서 내려가는 등로는 잡목이 빼곡합니다.↓
잡목지를 지나 내려가면 세멘트 임도가 지나는 안부에 닿고,
임도를 건너 비포장의 묵은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묵은 비포장 임도끝에서 묘지를 만나고...
묘지를 내려가 앞쪽 멀리 보이는 25번도로(호남고속도로)의 하부통로로 향합니다.↓
13:27 호남고속도로의 하부통로를 지납니다...
고속도로 우측으로는 이서휴게소 표지판이 보이네요↓
호남고속도로의 이서휴게소 인근의 하부통로를 빠져나와서
농로를 따라서 계속 진행합니다.↓
비포장 농로가 세멘트포장도로로 바뀌고 앞쪽에 버스가 보입니다.↓
오늘 타고온 서울고속관광버스가 서 있는곳은
전북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이고, 옆에 해피펫 건물이 보이네요↓
13:35 (주)해피펫 건물이 보이는 곳에 도착하고 기다리고 있던 버스에 오릅니다.
이곳부터는 지맥능선이 밭이나, 도로로 변해있어서 차량으로
김제 스파힐스 CC가 있는곳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14:06 차량으로 약25분을 이동하여 김제 스파힐스CC앞 도로(아리랑로)에 도착합니다.
차에서 내려 이곳부터 다시 산행을 시작하여 승방산과 두악산을 걷게 됩니다.↓
아리랑로 건너편(좌측)으로 보이는 인삼밭 사이를 지나 승방산으로 오릅니다.↓
무명봉의 나즈막한 야산을 하나 지나고...↓
무명봉을 내려서면 과수원을 지나 도로를 따라 잠시 진행합니다.↓
도로옆에 서있는 이정목(승방산0.285km)이 있는 곳을 지나 오르고↓
14:22 모악지맥 승반산(▲57.6m)정상에 도착합니다.
승반산은 김제시 흥사동에 위치하며, 풍수지리상 쌀을 되는 되(升)를
거꾸로 엎어놓은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모악지맥의 산이다.
나즈막한 산이지만 승반산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두월천을 통해
만경강으로 합류하여 새만금으로 들어가게 된다.↓
승반산을 내려가면 과수원을 통과하여 지나고...↓
도로 확장공사를 하고 있는 곳을 지난다.↓
14:31 은빛가든 가판이 보이는 도로 삼거리에서
좌측의 도로를 따라 두악산으로 향합니다.↓
좌측으로 들어서면 모텔촌을 지나고...모텔촌 끝 도로 삼거리에서 좌측 도로로 향합니다.↓
14:41 3층의 팔각형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는 두악산에 도착합니다.
전북 김제시 흥사동, 백산면 하정리에 위치한 산으로 호남야산개발사업
기공식때 박정희 대통령이 방문했던 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호남야산개발사업은 김제시 검산동 양수장에서 양수기를 이용해서 섬진강
물을 품어서 물이 부족한 산등성이마다 용수로를 개설해서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옥토로 바꾼 대규모 국책사업이었다.
두악산은 김제평야에서 바라보면 마치 말(두/斗)에다 쌀을 담아 놓은
형상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두악산의 산줄기는 모악지맥의 산으로 국사봉, 진봉산을 지나
봉화산에서 맥을 다한다. 두악산의 물줄기는 두월천을 통해서
만경강으로 합류하여 새만금 지역으로 들어간다.
전망대 3층에 알수 없는 삼각점이 하나 있다.↓
두악산 정상의 팔각전망대 3층에 있는 삼각점↓
두악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백산저수지와 백산면,공산면쪽의 조망↓
두악산에서 바라본 이서혁신도시쪽 풍경↓
두악산에서 바라본 익산시쪽 조망↓
두악산에서 조망을 즐긴후 버스가 기다리는 "관망대산장" 입구로 내려갑니다.↓
14:45 관망대산장 입구에서 버스를 타고 니성산 오르는 입구까지 이동을 합니다.↓
15:25 차량으로 약30분을 달려 702번도로가 지나는
전북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앞에서 내려 다시 산행을 이어갑니다↓
702번도로에서 산쪽으로 오르는 농로를 따라 민가를 지납니다.↓
민가를 지나 묘지대를 오르면 31.9m봉이고,
좌측으로 진행하면 니성산에 닿게 됩니다.↓
15:34 31.9m봉 정상부 풍경...
좌측으로 진행하여 니성산으로 향합니다.↓
31.9m봉에서 좌측으로 완만하게 진행하다가 급경사의
통나무 계단을 오르면 니성산 정상부에 닿게 됩니다.↓
15:40 전북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에 위치하고
삼각점과 니성산 표지판이 붙어 있는 61.9m봉에 닿습니다↓
니성산 삼각점(군산417/1991 복구)↓
니성산에서 완만한 등로를 따라 안부로 내려가고...↓
니성산을 내려가면서 바라본 안부를 지나 오르는 국사봉쪽 풍경↓
모악지맥 산줄기의 능선을 따라 봉화산 숲길이 함께 가고 있습니다.
니성산을 내려온 안부에서 이정표의 선선도 제방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대밭 숲길을 지나 오르고..↓
국사봉 오르는 우측으로 만경강이 보입니다.
만경강을 찾아온 철새들의 시끌벅적한 소리도 들리네요↓
15:52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면 시그널이 나무에 매달려 있는
국사봉 정상에 도착합니다. 어느 지역에 가든 꼭 하나씩은 있는
"국사봉" 그러나 이곳에는 표지판 하나 없어 그냥 지나치기
쉬운 그런 무명봉 같습니다.↓
국사봉에서 내려가다가 만나는 이정표
전선도 제방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702번 도로에 내려섭니다.↓
국사봉에서 내려가는 등로↓
15:57 702번 도로에 내려서고 도로따라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심포리 마을 입구에서 702번 도로를 버리고 산길로 들어섭니다.↓
심포리 뒷산에 오르면 지맥 등로는 철조망이 쳐져 있는 곳을 따라 진행을 하고↓
16:08 가시나무와 잡목이 있는 산길을 오르면 35.5m봉을 지나고...↓
16:12 "서해랑길", "새만금 바람길" 표지판이 있는 원형의 전망데크를 만납니다.↓
새만금 바람길 NFC 사용 안내판과 그 뒤로 보이는 만경강 풍경↓
전망대에서 바라본 만경강과 건너편의 옥구읍쪽 풍경↓
만경강과 고군산군도, 그리고 군산쪽 풍경↓
망해사로 내려가는 도로 반대로 올라가면
애국지사 남촌 곽경렬선생 추모비가 있는 곳을 지나고↓
곽경렬 추모비가 있는 뒤쪽의 보도들럭이 깔려 있는
넓은 도로를 따라 진봉산으로 향한다.↓
팔각형의 3층 전망대를 만난다.
전망대에 오르면 만경강과, 강건너편 군산시와 고군산 열도가 보인다.↓
진봉산 전망대에서의 조망↓
반대쪽에서 본 진봉산 전망대↓
16:23 전망대에서 약3분쯤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진봉산(73.2m)정상에 도착합니다.
진봉산은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위치한 산으로 건너편 봉화산 정상에는
고려 시대에 축조한 봉수대가 있고, 아래에는 옛날 수군 기지였던 전선포가 있다.
동쪽 기슭에는 망해사와 서쪽으로는 심포항이 있다.
산아래 만경강 건너편으로는 군산과 옥구평야가 보인다.↓
진봉산 삼각점(군산23/1987재설)↓
진봉산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계단길을 내려갑니다.↓
16:33 진봉산을 내려가면 심포제방에 닿습니다.↓
심포제방 입구에 있는 "새만금바람길 안내도"
모악지맥 마루금도 새만금 바람길의
종점까지 함께하게 됩니다.↓
심포제방에서 봉화산 봉수대까지는 2.0km를 더가야 되네요↓
심포제방끝을 지나면 우측에 심포항이 보입니다.
전라북도 내륙을 흘러내리는 만경강과 동진강이 서해 바다와 마주치는
진봉반도 끝에 위치한 어항이 심포항이다. 몇십년전까지만 해도 100여척이 넘는
어선이 드나들던 큰 어항이었으나, 연안 어업의 쇠퇴와 새만금방조제 공사로 인해
지금은 담수호가 되었다. 심포개펄의 배후 항구인 심포항은 드넓은 개펄에서 채취하는
조개 집산지이기도 했고, 체험 학습장소로 많이 활용되었다. 서해의 풍광과
붉게 물든 심포항의 낙조가 장관이라고 합니다.↓
심포제방 끝에서 모악지맥은 66.1m봉으로 올라야 하지만
공사장으로 변해 있고,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 도로를 따라 우회합니다.↓
심포제방끝에서 2차선 도로를 따라 66.1m봉을 우회하면 702번도로에 닿고
702번 도로를 따라 심포리보건진료소 입구까지 진행합니다.↓
16:50 심포보건진료소입구에서 702번 도로를 버리고
우측의 마을길을 따라 봉화산으로 향합니다.↓
16:54 보건진료소 입구에서 마을길을 따라 진행하면 당산나무 있는 곳에 닿습니다.↓
당산나무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뚜렷한 등로(새만금바람길)가 보이고...
완만하게 이어지는 넓은 등로를 따라 봉화산으로 향합니다.↓
완만하게 능선을 올랐다가 이정목이 있는 안부로 내려섭니다.
좌측으로 가전마을←0.5km 이고 봉화산 봉수대까지↑0.2km 남아 있습니다.↓
17:06 이정목이 있는 안부에서 급경사 등로를 200m 오르면 봉화산(84.9m)정상에 닿는다.
모악지맥의 마지막 산인 봉화산에는 봉화대터가 있었으며
지금도 주춧돌과 자연석으로 쌓았던 담장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약간의 공터로 남아 있는 봉화산 봉수대는 고려시대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봉수대의 상단 좌대는 가로6m, 세로 10m의 직사각형이며, 서북쪽과 동북쪽은
능선이 있고 좌우는 절벽이다. 정상의 넓이는 330㎡ 정도 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백성에게 피해를 입힌다 하여 계회도로 옮겨다는 설도 있다.↓
봉화산 삼각점↓
봉화산에서의 조망 좌측으로 보이는 김제방향 풍경↓
봉화산 우측으로 보이는 조망..만경강 하구와 군산쪽 풍경↓
봉화산 정상에서 넓은 등로를 따라 거전마을로 내려갑니다↓
등로 좌측으로 보이는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거전마을 풍경↓
거전마을 갈림길 이정목...지맥은 바람길 종점방향으로 가지만
지맥끝의 봉화산을 지났으니 거전마을로 내려가는게 좋습니다. ↓
거전마을로 내려오지 않고 계속직진하면 소나무 숲길을 지나지만...↓
낭떨어지 절벽으로 지맥길이 끊겨서 결국은 거전마을로 내려서게 됩니다.↓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거전마을 끝에서 모악지맥 마루금은 새만금 방조제로 막히고
산줄기를 서해로 잠기게 되므로 더 진행할수 없어 이곳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
17:24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거전마을 끝의 사각정자가 있는 곳에서
모악지맥 마지막 구간 산행을 종료 합니다.↓
'호남정맥상 지맥 > 모악지맥(2023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악지맥2구간(밤티재-화율봉-배재-모악산-매봉-상목산-매봉-21번도로) (1) | 2023.10.07 |
---|---|
모악지맥1구간(운암삼거리-분기점-▲401.7m-엄재-국사봉-밤티재) (1) | 2023.10.06 |
모악지맥(母岳枝脈 )이란? (0) | 2021.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