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남기맥상 지맥/장령지맥(2020완)

장령지맥1구간(분기점-금성산-민재)산행

by 山頂 2020. 9. 18.

장령지맥1구간(분기점-금성산-민재)산행

 

 

♧ 산행일시 : 2020.09.17. 목, 날씨 : 흐림

산행참여 : 8명(산정,로마,조상래,상현,위치로,와룡,만두,자스민)

♧ 교 통 편 : 갈때 - 06:38 영등포 무궁화호탑승(7.100원)→ 08:38 대전역 도착

                               09:00 대전역앞 501번버스탑승09:50 추부면 마전도착

                                ※ 마전에서 택시로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도착(6,700원)

                    올때 - 민재에서 택시콜 마전이동(13,700원)

                               마전에서 501번버스로 대전역이동

                               18:37 대전역 무궁호탑승 영등포(7,100원)도착전철로 귀가

산행구간 : 하신리금성산(438.6m)37번국도(2차선도로)344.6m성재산(429.1m)

                      성재447m봉(좌틀)→419.4m→수암재456.2m→▲411.4m민재

산행거리 : 12.64km

산행시간 : 5시간03분(10:08~15:11)

♧ 산행트랙 : 장령지맥1구간(분기점-금성산-민재)

장령1구간(하신리-금성산-민재)산정.gpx
0.13MB

 

♧ 장령지맥1구간 산행기록 및 고도표

♧ 산행지도 : 장령지맥1구간(하신리-분기점-금성산-민재)지도

    

          ◈ 주요지점 이동시간

 

 10:08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656-2 산행 출발

 10:36 금성산(438.6m 정상석, 전망데크, 술래길 코스안내도,삼각점 금산308/1980재설)

 10:56 파란그물망 울타리 시작(울타리 우측 비탈사면으로 진행)

 11:09 그물망 울타리 끝(그물망 울타리 끝나고 직진 능선 진행)

 11:29 37번국도(중앙분리대 있고 횡단보도 없음, 차도 건넌후 태림산업건설뒤 임도 진행)

 11:39 비포장임도 안부( 밭뒤 임도 진행 지맥능선 접속후 좌측진행)

 12:05 344.6m(준.희님 장령지맥344.6m 표지판과 금산둘레산길344.6m 표지판)

 12:22 대전-진주 고속도로 하부통로(하부통로 통과후 향운각뒤쪽 임도(고속도로 옆)진행

 12:35 삽재(고속도로 절개지에서 우측 철계단 3단으로 오름)

 12:59 무너진 석성터

 13:03 성재산(지도상429.1m, 준.희표지판, 성재산429.1m표지판,삼각점 금산423)

 13:15 성재(성황당 돌무더기)

 13:26 참나무와 바위가 있는 안부

 13:35 447m(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감)

 14:01 419.4m(장령지맥419.4m여영 표지판, 금산둘레산길 419.4m)

 14:08 수암재(장령지맥 여기가 수암재 입니다.준.희 표지판)

 14:14 임도삼거리 절개지위 진행

 14:25 434m(송전탑 지나오른 무명능선봉)

 14:28 431m(무명 능선봉)

 14:37 안부(옛 고개)

 14:47 456m(무명봉)

 14:50 456.2m(맨발표지판,금산둘레산길 456.2m표지판)

 14:57 ▲411.4m(삼각점 이원 402, 금산둘레산길 411.4m표지판)

 15:00 등로우측 비탈사면으로 내려감(독도주의)

 15:12 민재(601번도, 선일피앤에스(주), 금풍(산업용품) 충남금산군 군북면 조정리269-5)

 

 

산행메모

 

코로나 19의 확진자가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로 사회적거리두기가 2단계로

하향 조정되었지만 목요일 지맥산행은 추석연휴를 지난후에 한다고 공지가 되었다.

화요산행으로 수도권 인근의 지맥산행을 하며 식장지맥을 끝내고, 목요산행이 없는

2020년 9월17일 화요산행을 하던 8명의 산우가 장령지맥을 이어가게 되었다.

장령지맥(長靈枝脈)은 금남정맥의 대둔산 남동쪽 인대산(661.8m)과

백령고개 사이에 있는 무명봉(약610m. 육백고지 6.5km)에서 분기한

식장지맥이 월봉산(543m)을 지나 금성산(438.6m)에서 두갈래로 갈라져

한줄기는 북진하여 만인산(537m) ,식장산(598m) , 계족산(423m을 지나

신탄진 두물머리로 가는 식장지맥이 되고,
금성산에서 또 한줄기는 동북으로 가지를 쳐 미륵재, 삽재, 닭이봉분기봉, 민재,

서대산분기봉, 방화봉(放火峰.585m), 국사봉(國師峰.667.5m),대성산(大聖山.704.8m),

매봉(600m), 장령산(長靈山. 장룡산.655m), 도덕봉(407.3m), 함박산(250m),

퇴미산(249m), 돌남산(258.6m), 마성산(馬城山.409.3m), 이슬봉(454.9m),

참나무골산(422m), 며느리재를 지나 옥천군 군북면 장계리 장계관광지앞 금강에서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52.2km 되는 산줄기를 장령지맥(長靈枝脈)이라고 한다.

장령지맥의 첫구간은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에서 금성산을 올라 우측으로 장령지맥

산줄기를 따라 진행하여 비들목재까지 하려고 하며, 변수가 생기면 무리하지 않고

민재에서 산행을 끝내려고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산행이라 집에서 새벽에 출발하지만 이동시간이 많이 걸려

산행들머리인 하신리에는 10가 넘어서 도착을 했다.

10:08   마전에서 택시를 타고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마을에서 하차하고

마을길을 따라 "은적사" 방향으로 향한다.

하신리는 금성산 북동쪽에 위치하며 금산에서 대전으로 통하는 국도변에 있으며

상신, 중신, 하신을 통합하여 하신리라 하며 온양이씨 어필각, 하신성 등 고적이 많다↓

마을끝에서 은적사 300m↑ 표지판을 만나고, 임도를 따라 은적사 방향으로 오릅니다..↓

은적사 오르는 임도 우측으로 "성산저수지"를 보며 오릅니다.↓

성산저수지를 지나 오르면 이정표가 있는 임도 삼거리를 만납니다

임도 우측은 은적사로 가는 길이고, 금성산은 좌측의 금성산술래길(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금성산으로 오르는 금성산 술래길 임도는 풀이 많이 있고,  임도가 비에 무너진곳도 지납니다.↓

금성산 술레길 임도를 따라 금성산으로 오릅니다.

10:27   하신리를 출발하여 20분정도 임도를 따라 오르면 하신리와 마수리 경계 능선에 닿고

우측의 능선길을 따라 금성산 정상(0.3km)을 향해 가파르게 오릅니다.↓

금성산(438.6m)정상을 차지하고 있는 전망데크를 향해 오릅니다.↓

10:36  금성산(438.6m)정상에 도착합니다.

금성산은 금산군의 금성면과 복수면 추부면의 삼면 경계에 있다.

금성면이라는 명칭이 유래할 정도로 이지역의 진산으로 인식 되고 있으며

산이름은 이산에 성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금성산 삼각점(금산308/1980복구)

금성산에서 서대산쪽 조망...오늘은 날씨가 흐려 있어 뿌옇게 보이네요↓

보름전 2020년9월1일 식장지맥2구간 산행때 장령지맥 분기점에서

이곳 금성산을 다녀왔기에 오늘은 분기점에를 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오늘 날씨가 흐려있어 금성산에서의 조망 사진도 그날 찍은것으로 대신합니다.

장령지맥 분기점 사진↓

장령지맥 분기점에서 금성산으로 오르는 등로에서 만나는 금성산성 표지판↓

금성산 정상부 풍경↓

금성산 정상에 있는 금산의 산성 조망도↓

금성산에서 진악산쪽의 조망↓

금성산에서 바라본 천태산쪽 풍경↓

금성산에서 바라본 만인산과 서대산쪽 풍경↓

금성산 정상부에 있는 금성산 술래길 코스안내도↓

금성산 정상의 이정목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장령지맥 산행에 들어섭니다.↓

금성산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장령지맥등로에 들어서면

간밤에 내린비에 젖은 풀숲, 미끄러운 등로, 거미줄이 얼굴을 감싸는

등로를 오르내리며 갑니다.↓

10:56  장령지맥 능선에서 파란그물망의 울타리를 만납니다.

울타리 바로 밑으로는 다닐수 없고,

그물망 울타리 우측 사면으로 희미한 등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11:09   파란 그물망 울타리 우측 사면의 희미한 등로를 따라 잡목을 헤치며

약14분 가량 진행을 하면 그물망 울타리가 좌측으로 휘어져 내리고,

이후 장령지맥의 제대로 된 능선을 따라 산행을 하게 됩니다.↓

빗물에 젖은 잡목을 헤치며 구불구불 지맥길을 따라 37번 도로로 내려갑니다.↓

산길을 내려서면 추부배수지 뒤쪽에 내려서게 되고↓

배수지 우측으로 보이는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37번 도로에 닿게 됩니다.↓

추부배수지에서 내려가는 도로 앞쪽으로 보이는 레미콘회사 뒤쪽의 능선이 장령지맥입니다.↓

11:29   37번국도 4차선 도로가 지나는곳에 닿습니다.

도로 건너편으로는 "태림산업건설(주)가 보이는데....도로를 건널 횡단보도가 없습니다.

높은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는 밑으로 무단 횡단을 합니다.↓

도로를 건넌후 현대오일뱅크주유소 끝에서 태림산업건설(주) 안으로 들어가고...

진입도로 끝의 좌측 건물뒤에서 우측산으로 오르는 비포장 임도가  있습니다 ↓

태림산업건설(주)뒤의 임도를 따라 산으로 향합니다.↓

비포장 임도끝에서 고추밭을 만나고..고추밭뒤로 연결되는 임도(사용안되어 풀이 많음)로 올라갑니다↓

11:39   고추밭뒤의 사용하지 않는 임도를 오르면 지맥 마루금 안부에 닿고

능선좌측으로 장령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좌측으로 진행하는 장령지맥 등로는 잡목이 우거져 있어 매우 불편하게 오릅니다.↓

능선안부에서 약30여분을 잡목과 씨름하며 오르면 장령지맥 344.6m봉에 닿고

커다란 참나무에 준.희님 표지판과 금산둘레산길 표지판이 붙어 있습니다↓

344.6m봉을 지나 조금 진행하면 넓은 임도를 만나고 마루금과 함께 진행됩니다.

등로에 오르는것보다는 임도를 따라 고속도로로 내려서는게 좋습니다.↓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좌측으로 대전-진주간 고속도로가 보이고

인삼랜드2km 휴게소 안내판이 보이는 곳을 지나 고속도로 하부통로로 향합니다.↓

12:22  대전-진주간 고속도로 하부통로를 지납니다.↓

대전-진주 고속도로의 하부통로로 나와 도로따라 진행하면 향운각이라 써있는 건물로 향합니다↓

향운각 뒤쪽으로 가면 작은 개울을 건넌후 묘지를 지나면 임도를 만납니다.↓

처음에는 희미한 임도를 따라오르지만↓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가면 좌측에 고속도로를 두고 올라가 철계단 있는 곳에 닿습니다.↓

삽재 라고 하는 고갯마루... 고속도로를 만들며 산을 절개한 곳에 설치된 철계단을 오릅니다.↓

철계단은 3단으로 오르게 되는데...잡목과 넝쿨식물들이 우거져 있어 진행하기 어렵네요↓

철계단을 다오르면 좌측으로 진행하여 성재산으로 향합니다.

산짐승의 출입을 막느라 묘지를 철조망과 그물망으로 둘러놓은 곳을 지나고↓

암릉이 가로막고 있는 오르막 길을 우회하여 오르고↓

무너진 석축 산성을 지나 오릅니다.↓

석축 산성이 무너져 있는 곳에서 약4분쯤 오르면 장령지맥 429.1m봉에 닿습니다.

이곳을 성재산(429.1m)이라고 하며, 삼각점이 있습니다.↓

성재산(429m 삼각점:금산425,1980재설)↓

금산둘레산길  성재산(429.1m) 금산문화원(인삼대장) 표지판↓

성재산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무너진 석축산성인듯한 곳을 지나내려가고↓

13:15   성화당터가 있는 성재 안부를 지납니다.↓

성재를 지나 오르막 등로를 따라 20여분을 오르면 447m봉에 닿고,

굵은 참나무가 정상부에서 장령지맥 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447m봉에서 잡목이 많은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오르막을 올라 무명봉 하나를 지나고...↓

커다란 바위가 있는 봉을 오릅니다.↓

바위위쪽으로 올라 완만하게 약20m정도를 진행하면 419.4m봉에 닿고

굵은 참나무에는 장령지맥419.4m 여영님 표지판과, 금산둘레산길 표지판이 붙어 있습니다.

419.4m봉에서 바라본 서대산 풍경↓

419.4m봉에서 내려가며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을 헤치며 수암재로 내려갑니다.↓

419.4m봉에서 잡목을 헤치고 약7분쯤 내려오면 수암재에 닿고

준.희님이 여기가 수암재 입니다. 표지판을 붙여 놓았습니다.↓

수암재안부에서 산길을 따라 잠시 오르면 임도에 닿고↓

임도따라 좌측으로 진행하다가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져 가고↓

14:14   또 다른 임도와 만나게 되는 삼거리에 닿고

임도를 건너 절개지를 올라 산길로 들어섭니다.↓

산길에 들어서 조금진행하면 커다란 송전탑 옆의 산길을 오르고↓

14:25  굵은 참나무가 서있는 완만한 능선봉(434m)을 지납니다.↓

14:29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다가 무명의431m봉을 지나고

14:37   고개인듯한 안부에 닿습니다.↓

14:47   안부를 지나 고도를 높이며 10여분을 오르면 약455m의 무명봉을 지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렸다가 다시 올라갑니다.↓

14:50  지도상 해발고도가 표시된 456.2m봉에 닿으면

큰소나무에 장령지맥456.2m 맨발 표지판과 금산둘레길456.2m 표지판이 있습니다.↓

456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고도를 조금 낮추며 내려가고↓

14:57   삼각점(▲411m, 이원402)과 안내판이 있는 봉에 닿습니다.

삼각점은 풀에 덮혀 있고, 글씨는 마모되어 알아볼수 없습니다.↓

411.4m삼각점봉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곳에는 금산둘레길 411.4m 표지판이 보입니다.

삼각점봉에서 직진 하지 않도록 독도주의 ↓

411.1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능선을 따라 내리다가 급우측 비탈길로 내려갑니다.(독도주의)↓

비탈길을 내려가면 벌목한 상단에 닿고,

앞쪽으로 서대산이 손에 잡힐듯 가까이 보입니다.↓

벌목능선을 따라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벌목능선 앞쪽 민재 건너편의 금풍(산업용품)회사도 보이네요↓

벌목된 급경사를 내려가면 선일피앤에스(주) 마당(좌측)을 지나서 민재로 내려갑니다.↓

15:11 선일피앤에스(주)를 빠져나오면 보이는 601번2차선도로 지나는 민재 풍경↓

15:11   선일피앤에스(주)표지석이 있는 민재(601번2차선도로)에서 장령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칩니다.↓

민재 601번  도로 건너편으로 보이는 "금풍" 표지판↓

장령지맥 첫구간은 당초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에 있는 비들목재까지 가야 하나,

잡목등이 많고 등로가 좋치 않아 예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고,

오후에는 비예보가 있어 601번2차선 도로가 지나는 민재에서 산행을 멈추게 되었다.

무리해서 더 갈수는 있지만, 귀가시간이 늦어지게되고, 산행을 종료하자는 의견이다.

아침에 타고온 택시기사로 부터 받은 명함의 전화번호로 택시2대를 부르고

추부면 마전리에 도착 막국수집에서 땀을 씻고 장령 출정 뒷풀이를 합니다.

마전에서 501번 버스를 타고 느긎하게 대전역에 도착하여 18:37 무궁화 호로 귀경..

어느 지맥이나 마찬가지로 하절기에는 잡목으로 고생을 하게 되네요

다음구간에는 첫구간에 못다한 구간 포함 산행거리가 조금 길어지겠지만

기온이 선선해지고 있으니 힘내서 장령지맥 산행을 이어가도록 해야겠습니다.

오늘 8명의 산우가 장령지맥 첫구간 산행을 잘 했듯이 마지막 까지 순조롭게

또 아무런 사고 없이 무사히 장령지맥종주를 마칠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