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지맥1구간(외야등-분기점-왕자봉-깃대봉-물음산-무이산-멧지봉-노령)산행
♧ 산행일시 :2023.04.15일, (04월14일24:00 사당역1번출구앞 출발) / 날씨 : 흐림
♧ 산행참여 : 봉산악회/회비55,000원
♧ 산 행 지 : 전북 순창군 구림면 / 전북 임실군 덕치면
♧ 산행구간 : 외야등('강천로'55번도로)→무이지맥분기점→강천산왕자봉(▲584m)→
깃대봉(▲571.5m)→외야등('강천로'55번도로)→물음산(×377.1m)→
자양고개('자양로'2차선도로)→무이산(▲557.2m)→어은동고개(생태통로)→
729번도로('광암로')→귀야우재(21번도로)→▲377.1m(대전홀산아)→
멧지봉(×415.6m)→노령('모악로'27번국도)
♧ 산행거리 : 23.56km
♧ 산행시간 : 08시간00분(03:41~ 11:41)
♧ 무이지맥1구간(외야등-분기점-왕자봉-깃대봉-물음산-무이산-멧지봉-노령)산행기록

♧ 무이지맥1구간(외야등-분기점-왕자봉-깃대봉-물음산-무이산-멧지봉-노령)산행트랙
♧ 무이지맥1구간(외야등-분기점-왕자봉-깃대봉-물음산-무이산-멧지봉-노령)주요지점 이동시간
※ 03:41 전북 순창군 구림면 자양리 576-3(외야등)출발→03:52 자양저수지
04:16 호남정맥마루금접속 →04:38 무이지맥 분기점(준.희산패)
04:47 강천산왕자봉(정상석▲584m) →05:01 깃대봉(▲571.5m/순창25)
05:30 천자봉(반바지코팅지×516m) →외야등('강천로'55번도로)
06:05 물음산(×377.1m/준.희산패) →06:16 자양고개('자양로'2차선도로)
07:27 무이산(▲557.2m,준.희산패,산불감시초소,산불감시카메라탑)
07:55 어은동고개(생태통로/반바지코팅지) →08:07 ×290.4m/준.희산패
08:40 729번2차선도로('광암로') →09:14 귀야우재(21번도로/'구인로')
09:39 ▲377.1m(순창304/대전홀산아코팅지) →09:46 데크길 통과
10:17 '안정로'2차선도로 →10:28 대봉(×321.5m/반바지코팅지)
10:48 장례동길(포장도로) →11:24 멧지봉(×415.6m/맨발산패,반바지코팅지)
11:41 노령('모악로'27번국도/전북 임실군 덕치면 장암리 1013)산행종료
♧ 무이지맥1구간(외야등-분기점-왕자봉-깃대봉-물음산-무이산-멧지봉-노령)산행지도



산행메모
가뭄을 해갈할수 있는 단비가 저녁부터 전국적으로 내린다는 예보다.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던 비소식이 있는 날 심란한 마음으로 호남정맥의
강천산에서 분기한 무이지맥 산행을 하려고 밤 10시40분에 집을 나선다.
무이지맥(武夷枝脈)은 호남정맥의 강천산 왕자봉(▲584m)아래 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깃대봉(▲571.5m), 무이산(▲557.5m), 노령(27번국도)
갈재, 건지산(▲412m), 장덕산(×292m)을 지나 순창군 유등면 내이마을앞
경천(鏡川)이 섬진강에 드는 합수점에서 끝나는 도상거리 33km되는 산줄기로
무이지맥(武夷枝脈)산행은 무박산행으로 두번에 나누어 종주하려고 하며
첫번째 구간은 55번도로(강천로)가 지나는 외야등에서 자양저수지를 지나
호남정맥마루금에 접속하여, 무이지맥 분기점, 깃대봉(▲571.5m/순창25),
천자봉, 외야등('강천로'55번도로), 물음산(×377.1m), 자양고개('자양로'2차선도로)
무이산(▲557.2m), 어은동고개(생태통로), ×290.4m, 귀야우재(21번도로/'구인로')
▲377.1m(순창304), 대봉(×321.5m), 멧지봉(×415.6m), 노령('모악로'27번국도)까지로
실거리 약24km 정도 되며 등로는 비교적 좋으나 간간히 잡목지대를 만나기도 한다.
비소식이 있어 걱정을 했는데, 흐린 날씨였지만 산행 내내 비는 내리지 않았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주어 어렵지 않게 산행을 마칠수 있었다.
♥
03:41 어둠을 뚫고 새벽길을 달려온 버스가 55번도로(강천로)의
외야등(전북 순창군 구림면 자양리 576-3)앞에 도착을 합니다.
전라북도 산림박물관 25km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무이지맥 분기점을
오르기위해 세멘트 포장의 도로를 따라 자양저수지 방향으로 향합니다.

03:52 산행 출발 약10분만에 자양저수지 표지석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자양저수지 표지석 앞에는 통합기준점(표고276.7m/U순창07)이 있네요

04:00 자양저수지를 지나 계속 포장도로를 따라 오르면
비포장도로와 만나는 삼거리에 닿고,
좌측의 비포장 도로를 따라 산길을 오르게 됩니다.

04:38 자양저수지를 지난후 임도 삼거리에서 비포장 임도를 따르다가
우측으로 산길에 들어서 급경사 등로를 오르면
산행출발 35분만에 호남정맥 마루금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약15분 정도 오르면 무이지맥 분기점에 닿습니다.
분기점에서 무이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가는데... 몇번 다녀왔기는 했지만
우측으로 약250m의 거리에 있는 강천산 왕자봉을 다녀오려고 합니다.

04:47 강천산 왕자봉(▲584m)에 닿습니다.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와 전남 담양군 용면 용산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강천산(剛泉山)은 원래 광덕산(光德山)이었으나, 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강천사(剛泉寺)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어 강천산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지리지나 문집 등에는 강천산 보다는 광덕산이라는 명칭이 더 일반적이며
풍수지리상 용이 꼬리를 치며 승천하는 형상이라 용천산(龍天山)으로 불리기도 했다.
강천산의 주봉(主峰)인 왕자봉[584m]은 호남 정맥에서 동쪽으로 약간 벗어나 있으며,
강천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산성산[603m]이다.따라서 엄밀히 말하여 지리산처럼
산 전체를 아우를 때는 강천산, 주봉[정상]은 왕자봉, 가장 높은 봉우리는 산성봉,
그리고 남쪽 끝자락의 광덕산은 광대봉으로 불러야 옳다. 강천산의 물줄기는 남쪽은
담양호를 통하여 영산강으로 흐르고, 동쪽은 구림천을 통하여 섬진강으로 흐른다.
강천산의 주봉인 왕자봉을 기점으로 서쪽은 추월산과 내장산, 북쪽은 용추봉과 여분산,
동쪽은 문덕봉과 고리봉, 그 너머로 백두 대간의 지리산 연봉들이 아스라이 펼쳐진다.
남쪽은 설산과 괘일산, 그 너머에는 무등산이 첩첩히 다가온다. 강천산은 광덕산, 산성산,
왕자봉 등의 선녀 계곡, 금강 계곡, 용골 등에서 흘러나온 명경지수(明鏡止水)로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고 있다. 강천산 계곡 안에는 천연 폭포인 비룡 폭포와 선녀 폭포,
인공 폭포인 구장군(九將軍) 폭포와 병풍 폭포, 그리고 병풍 바위, 용바위, 투구봉, 호두암,
금강굴, 수좌굴, 형제굴 등 천혜의 비경이 숨겨져 있다. 강천산 일원의 수려한 산세와
울창한 숲, 기암괴석 등의 볼거리를 갖춘 풍부한 관광 자원이 있어 강천산 일원을
1981년 1월 7일 전국 제1호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어둠이 깔려 있는 새벽이라 아름답게 펼쳐질 강천산에서의 조망은 못하고
정상석과 주변 시설물들만 보고 돌아서 무이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강천산 왕자봉의 말뚝형 삼각점

강천산 왕자봉 정상부의 돌탑

강천산 왕자봉에서 되돌아 내려가 형제봉, 깃대봉 방향으로 향합니다.

05:01 강천산 왕자봉에서 되돌아 내려와 무이지맥 분기점을 지나서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면 삼각점이 있는 깃대봉(▲571.5m)에 닿습니다.

깃대봉 삼각점(순창25/1980재설)

삼각점이 있는 곳에서 약1분쯤 진행하면 만나는 이정표
이정표를 지나면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게 됩니다.

05:12 깃대봉 갈림길 삼거리 이정목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고

05:25 지도상 해발고도표시된 ×526m봉에 닿는데..
산패는 보이지 않고, 정상부에는 굵은 나무가 자리하고 있네요

05:30 ×526m봉에서 약5분쯤 진행하면 ×516m봉에 닿는데..
반바지님이 방금전에 이곳을 지나며 '천지봉' 코팅지를 달아놓았네요.

05:49 ×516m천지봉에서 잡목이 있는 능선을 내려와
밤나무과수원을 지나고 과수원길을 내려서면 새벽에 산행을 출발했던
55번 도로(자양로)의 외야등에 다시 내려서게 됩니다.
외야등은 자양리의 자연마을중의 하나인 지명이며 삼거리에는
간이화장실과 전라북도 산림박물관 안내판과 표지석이 있습니다.
도로 건너편으로는 물음산(×377.1m)봉이 보이네요

55번 도로를 건너 과수원 안으로 들어가는 복숭아과수원길을 오릅니다

외야등에서 과수원에 들어서면 전기줄 울타리가 쳐져 있으며
산쪽으로 오르는 곳에 전기선이 끊겨져 있는 곳을 지나
잡목이 많고 등로가 희미한 가파른 비탈능선을 오릅니다.

06:05 지맥에서 약100m쯤 벗어나 있는 물음산(377.1m)에 닿으면
준.희님 산패와 많은 선답자들의 리본이 있습니다.
다음지도에는 물음산이라 표시 되어 있는데...
어찌 '물음산' 이라 부르는지 지명에 대한 자료는 얻지 못해네요

06:16 물음산에서 지맥능선에 복귀하여 우측으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면
2차선 포장도로('자양로')가 지나는 자양리의 '자양고개'에 닿고...
이곳에서 잠시 휴식하며 간단히 아침 요기를 하고 산행을 이어갑니다.
무이지맥은 도로건너 좌측의 절개지를 올라야 합니다.

자양고개는 자양리에 있는 고개라서 '자양고개'라 불리는듯..
전북 순창군 구림면 자양리(紫陽里)는 중국의 무이산과 닮았다고 하는
무이산(武夷山)[558m] 자락 밑에 자리한 마을로 기름진 논과 밭이 펼쳐져 있으며,
과실수가 많이 심어져 있다. 행정 고시 및 사법 시험 등에서 다수의 합격자를
배출할 만큼 교육열이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자양리는 구림면 소재지로부터 서남향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구곡리와 인접하며 무이산이 우뚝 솟아 있다. 억생이골과 독뫼가 있는
곳을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면 천지봉을 지나 강천산과 인접한 어덩굴이 있다.
서쪽으로는 담양군 용면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북쪽으로는 화암리로 가는 사리재를
사이에 두고 있다. 팔덕면 청계리와 구림면을 경계하면서 서 있는 산이 무이산이다.
이 산의 서북쪽으로 구곡리와의 사이로 뻗어 내린 산맥이 북쪽으로 부드럽게 어린아이처럼
변화하면서 마을을 형성하니 자양동 마을이고, 이 산맥이 서쪽으로 뻗어 내리며 북풍을
막아 주는 사이에 형성된 마을이 상리(上里)다. 할미 고개, 꾸리의 형국이란 고개
산자락 등의 지명이 조금 독특한데, 앞 들판은 풍수지리상 할머니가 베를 짜는
노구직금(老軀織錦) 형국이라고도 한다.

06:33 자양고개를 올라서 능선을 오르면 묘지가 있는 275m무명봉에 닿고

묘지봉을 지나면 여명이 밝아오는 전방 좌측으로
무이지맥이란 이름을 낳게한 무이지맥의 주산인
무이산(▲557.2m)이 조망되네요

무이산 오르는 능선 좌측으로 보이는 자양리의 '상리' 풍경
상리는 마을 앞에 북 형상이 있고 도로변에 꾸리등 실꾸리라는 형상등으로
미루어 마을의 형상이 치마형상이란 말에서 상리(裳里)라 하였던 것이
윗 상(上) 자로 표기되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상리 마을에는 당산나무가 3그루 있었으나 현재는 2그루만 남아 있는데...
1800년경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 사람들은 당산제를 잘 모시면 한 해 동안
마을에 침입한 질병을 막아 주고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해 주며
한 해의 풍년 농사를 짓게 해 준다고 굳게 믿고 있다.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높이며 무이산으로 오릅니다.

준.희님의 격려판이 있는 곳을 지나고...

고사목도 있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가파르게 오릅니다.

07:27 자양고개에서 1시간을 오르면 무이산(▲557.2m)에 닿습니다.
정상에는 산불감시카메라탑이 설치되어 있으며, 파란 철망 울타리에
준.희님의 산패가 있고, 그 앞에 산불감시초소와 삼각점이 있습니다.
무이산(武夷山,▲557.2m)은 전북 순창군의 동쪽에 위치하며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와 월곡리, 구림면 구곡리 경계에 있는 산이다.
무이산(武夷山)은 일명 무름산으로도 불리는데, 중국 송나라 주자(朱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에서 따온 이름이다. 구림면 구곡리도 무이산
아래에 있어 무이 구곡에서 이름을 따왔다. 팔덕면 청계리는 마을 북쪽에
무이서원(武夷書院)과 무이산이 있어 무름이라 부르기도 했다.
무이산은 순창의 북쪽에 솟구친 산으로, 산줄기는 백두 대간 장수 영취산에서
서북쪽으로 갈라져 나온 금남 호남 정맥이 장안산, 팔공산, 마이산을 거쳐
진안과 완주의 경계인 주화산에서 두 갈래를 친다. 이곳에서 호남 정맥이 북으로
금남 정맥을 보내고, 남으로 뻗어가며 경각산, 오봉산, 내장산, 백암산, 용추봉,
추월산을 거쳐 강천산을 형성하였다. 호남 정맥 강천산에서 서쪽으로
갈래를 친 산줄기가 왕자봉을 지나 무이산으로 솟구쳐 있다.
물줄기는 모두 섬진강에 합수되어 광양만에서 남해로 흘러든다.
무이산 정상에는 키 작은 참나무류가 우거져 있고, 정상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여분산과 회문산 너머 호남 정맥의 왕자봉과 오봉산이 자리하고 있고,
동쪽으로 태자봉[352.4m]이 뻗어 있으며, 건지산과 금산[430.4m]이 지척이다.
섬진강 너머로 문덕봉과 고리봉, 백두 대간 고남산과 만복대가 펼쳐며,
남쪽으로 강천과 아미산 너머 봉황산과 설산이 솟아 있다.
서쪽으로는 담양호 너머로 추월산과 내장산, 고창의 방장산이 바라다 보인다.

무이산 정상부 풍경

무이산(▲557.2m) 삼각점(순창302/1981.11.11)

무이산 좌측으로 삼발산 뒤로 보이는 여분산, 벌통산, 회문산 방향 조망

정상에서 진행방향의 능선 우측으로는 광덕산과 산성산 그리고
오늘 새벽에 어둠속에 올랐던 강천산 왕자봉의 커다란 강천산 산군들과
무이지맥 산줄기가 힘차게 뻗어 내리는 모습도 눈에 들어 온다.
그리고 그 우측뒤로 멀리 방장산, 입암산, 백암산, 내장산 산줄기도 보이네요

조금더 당겨서본 방장산, 입암산, 백암산, 내장산 산줄기 풍경

무이지맥 산행중 무이산 정상에서

무이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젖은낙엽으로
많이 미끌거리는 산길을 내려갑니다.

07:32 이곳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07:40 좌측으로 휘어져 암릉지대를 내려갑니다.

암릉지대를 내려서면 벌목했던 지역의 등로 희미한 잡목지대를 지납니다.

07:52 275m무명봉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07:55 어은동 고개의 생태통로 위를 지납니다.
어은동고개(생태통로)는 전북 순창군 구림면 구곡리와 구암리 및
월곡리의 경계지점에 있으며, 생태통로 아래로 포장도로가 지나고
어은동(魚隱洞)고개는 물고기가 숨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붙여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생태통로에 있는 나무위에 올라 어은동 고개(235m)
코팅지의 표지판을 달고 있는 반바지님

생태통로를 지나 좌측의 산으로 오르고...

08:07 준.희님의 산패가 있는 ×290.4m봉에 닿습니다.

290.4m봉에서 약2분쯤 진행하면 닿는 이곳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독도주의)

우측으로 휘어져 가면 뚜렷한 등로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고..

08:21 대단위의 태양광발전설비가 되어 있는 임도에 내려서고.
우측으로 지나온 무이산이 올려다 보이네요

임도의 공터에서 잠시 쉬어가고
태양광발전단지 울타리끝에서 우측의 산에 올라 .
나즈막한 능선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옵니다.

08:40 729번 2차선도로(광암로)에 내려섭니다.
도로를 건너 과수원이 있는 무명능선을 지나
다시 광암로 2차선 도로에 내려서기에 도로 따라 진행합니다.

계속 729번도로(광암로)따라 2분쯤 진행하고

08:43 잠시후에 만나는 729번도로 삼거리에서 좌측의 밭을 지나 산으로 오릅니다.

08:48 잡목이 많은 능선을 지나면 밤나무들이 있는
205m의 무명봉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내려갑니다.

08:50 205m무명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오면
개가 시끄럽게 짖어대는 농가가 있는 곳을 지나
뒤쪽으로 보이는 산으로 오르게 됩니다....

산으로 오르는 초입은 넓은 임도이고

09:04 산으로 오를수록 등로는 좁아지고...
약345m의 무명능선봉에 닿습니다.

좌측으로 휘어지면 두릅나무를 식재한 밭을 지나 임도를 따라 내려가고

임도가 휘어져 내려가는 곳에서 직진의 산길로 들어서
직진으로 잠시 산길을 진행하다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무명봉을 내려서면 2차선 차도가 지나는 귀야우재와
도로건너 올라야할 377.1m삼각점봉이 보입니다.

09:14 21번2차선도로(구인로)가 지나는 '귀야우재'에 도착합니다.
귀야우재(21번국도/구인로)는 전북 순창군 구림면 구산리에 있는 고개로
마을에 거북이 형상의 귀 부위에 큰 바위가 있어 귀바위라 부르다가
귀야우로/이암(耳岩)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구산리(九山里)는 조선 영조(英祖) 때 이암방(耳巖坊)으로 존재하다
구암면(龜巖面)으로 바뀔 때까지 이암방의 소재지였다.
구산리의 명칭 유래는 구산 마을, 오공 마을, 호치 마을, 마흥 마을,
이암 마을을 합쳐 구산리라 불렀다. 이 중 이암 마을은 본래 귀야우 마을과
몰니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몰니 마을은 금 거북이 진흙 속으로 들어가는
형상이고, 귀야우는 거북이 형상의 귀 부위에 큰 바위가 있어 귀바위라
하였다가 귀야우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이암 마을과 마흥 마을로
갈리는 삼거리에 정자가 있어서 방정지라고도 불렀다.

오늘 산행하면서 반바지님이 붙여 놓은 '귀야우재' 코팅지

귀야우재를 지나는 21번 도로를 건너 밭이랑 사이를 지나 산으로 오릅니다.

밭을 지나면 잡목이 많은 급경사의 산길을 오르고..

09:31 무명능선에 올라선후 급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무명능선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넓은 임도를 만나게 되고
완만한 임도를 따라 편안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쉴랜드 힐링산책로 이정표를 만나고
건강장수연구소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계속해서 이어지는 넓은 임도를 따라 진행하고

09:39 삼각점이 있는 ▲377.1m봉에 닿으면
대전홀산아에서 붙여 놓은 코팅지와 선답자들의
리본이 많이 붙어 있네요

▲377.1m삼각점(순창304)

삼각점봉을 지나 계속해서 임도를 진행하면 산불감시초소를 만나고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우측 나무사이로 쉴랜드 건물이 보이는 곳을 지나고

임도를 건너 우측으로 보이는 데크계단으로 향합니다.

09:46 데크길을 따라 편백숲길을 향해 오릅니다.

데크길 우측으로 놀이시설이 보이는 곳을 지나고...

편백숲에 쉼터들이 만들어져 있는 곳을 지나 내려갑니다.

데크길이 끝나면 또 다시 임도를 만나고...
앞쪽에 승용차가 서있는 삼거리에서
좌측의 임도로 내려갑니다.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가는 임도 풍경

완만하게 능선을 지나 낙엽이 많이 쌓인 등로를 내려가고

넓은 임도를 만나서 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를 내려가면 파란철문이 있는 곳에 닿고
철문우측으로 진행하여 철문뒤의 능선을 오르게 되는데...
철문을 열수 있어 철문을 열고...임도를 따라 갑니다.

임도가 끝나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만나고...
잡목지 끝에서 철망울타리가 쳐져 있어 넘어 갑니다.
철망울타리 안쪽은 두릅나무를 재배하는 곳이어서
괜한 오해를 받을수 있는 곳입니다.

철망울타리를 넘어와 임도를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임도가 끝나고 가파르게 능선을 오르고

10:11 ×295m의 무명봉에 닿고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295m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에 시그널이 붙어 있네요

×295m봉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포장임도에 닿고, 임도 앞쪽으로 '안정로' 2차선도로와
전북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 마을이 보입니다.

전북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의 2차선도로('안정로')를 건너고

전북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 뒤로 보이는 대봉(×321.5m)으로 향합니다.

지맥에서 약200m정도 떨어져 있는 대봉을 향해 갑니다.

10:28 갈림길에서 배낭을 벗어 놓고 반바지님이 붙여 놓은
코팅지표지판이 있는 무이지맥 대봉(321.5m)을 다녀 옵니다.

대봉에 올랐다가 되돌아 내려와
나즈막한 무명봉의 능선을 지나고

무명봉을 지나면 밭을 만나고
묘지가 보이는 능선뒤의 산을 오르고...

무명봉을 내려가 2차선도로(장례동길)가 지나는 곳에 닿습니다.

장례동길 우측편으로는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 장례마을이 보인다
장례마을은 전북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에 있는 자연마을 중 한곳으로
이곳의 형상이 달리는 노루가 망에 걸려 슬피 우는 주장례망(走獐澧網)의
준말로 장려 즉 노루가 운다는 말이 장례라 불리우게 되었고
그후 한자로 표기하면서 장례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진다.

10:43 좌측편 교통표지판이 보이는 곳은 순창군 구림면 율북리이고
무이지맥은 도로를 건너 직진의 밭으로 오르는 농로를 따릅니다.

밭 앞쪽으로 보이는 임도를 따라 오르고

포장임도 우측의 산길로 들어서 능선을 오릅니다.

10:51 무명봉을 오르다가 이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
방금전에 올라오던 임도에 다시 내려서게 됩니다.
이곳을 오르지 않고...계속 임도로 진행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다시 임도를 따라 계속진행하고

임도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다가

10:56 임도에서 우측의 산길로 들어서 급경사 등로를 오릅니다.

오르막 등로에서 "무이지맥을 종주하시는 산님들 힘힘힘 내세요" 준.희 격려판을 지나고

11:02 무명봉 능선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게 됩니다.

잡목이 많은 경사의 등로를 오르고...

약400m의 무명봉의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고

계속해서 무명봉 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올립니다.

고사목과 잡목이 많은 경사의 능선을 오르고...

11:24 무이지맥 415.6m 맨발 산패와
반바지님이 붙여 놓은 멧지봉 코팅지가
있는 오늘 산행의 마지막 봉에 오릅니다.

415.6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급경사 등로를 내려서면 "노령"을 지나는 인덕로2차선 도로와 21번국도인
왕복4차선의 '모악로'가 보이고 그 우측으로는 탑리 마을이 보입니다
무이지맥은 두개의 도로위로 설치되어 있는 생태통로를 따라 국사봉으로
오르게 되는데...오늘 무이지맥 산행은 노령에서 산행을 마치게 된다.

노령에서 산행을 끝내기에 생태통로를 건너지 않고
우측 아래로 보이는 묘지를 지나 노령에 내려갑니다.

노령을 지나는 도로위에 설치되어 있는 생태통로 풍경
갈재[葛峙] 남쪽은 순창군 인계면 탑리로 양지천 유역이고
북쪽은 임실군 덕치면 장암리로 섬진강의 지류인 구림천으로 유입하는
소하천 유역이다. 갈재 고갯마루 북쪽 인근에 암치 마을이 있다.
해발 354m의 노령(갈재)은 순창 출신의 의병 이황룡(李黃龍)[1887~1910]이
의병을 붙잡는 데 앞장선 순창 주재소 순사 박경홍(朴京弘)을 처단한 장소이며
갈재에는 전주와 순창을 잇는 국도 27호선이 통과하고 생태통로가 있다.

11:41 노령(전북 임실군 덕치면 장암리 1013)에 정차해 있는 버스
차량이 노령에 있다고 하여 생태통로를 건너지 않고 27번도로에
내려섰는데 차량이 도로 건너편에 정차해 있네요...
버스가 있는 곳은 '인덕로' 2차선 도로와 27번 '모악로' 4차선 도로를
건너야 되는것을 알게 되었으나...생태통로로 다시 올라가기는 힘들고...
차량의 통행이 없는 틈을 이용해 2차선의 '인덕로'와 중앙분리대가
높게 설치되어 있는 27번 도로(모악로)를 무단횡단 하게 되었네요
그리고 무이지맥 첫구간 산행을 종료 합니다.

산행이 끝난후에 버스를 타고 약10km정도를 이동하여
다슬기탕과 추어탕으로 유명한 천담집에서 점심을 먹은후에
14:10에 귀경길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호남정맥상 지맥 > 무이지맥(2023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이지맥2구간(노령-국사봉-갈광산-건지산-장덕산-정금산-경천/섬진강 합수점)산행 (1) | 2023.05.08 |
---|---|
무이지맥(武夷枝脈)이란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