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룡지맥1구간(기룡지맥분기점-갈미봉-외미기재-기룡산-시루봉-매곡재)산행
♧ 산행일시 : 2022.07.07. 목, 날씨 : 맑음/폭염경보
♧ 산행참여 : 뉴마포산악회원 15명/ 회비 42,000원
♧ 산 행 지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길 862 (출),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1310/매곡재(착)
♧ 산행구간 : 천문대입구-분기점-갈미봉(×786.5m)-외미기재-기룡산(▲965.5m)-시루봉-매곡재
♧ 산행거리 : 18.81km
♧ 산행시간 : 06시간08분(10:34~16:43)
♧ 기룡지맥1구간(분기점-갈미봉-외미기재-기룡산-시루봉-매곡재)산행기록
♧ 기룡지맥1구간(분기점-갈미봉-외미기재-기룡산-시루봉-매곡재)산행트랙
♧ 기룡지맥1구간(분기점-갈미봉-외미기재-기룡산-시루봉-매곡재)주요지점 이동시간
※ 10:34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산 6-1 산행시작
10:41 기룡지맥 분기점
11:09 ×830m/우틀
11:25 돌탑봉(×777m)
11:29 갈미봉(×786.5m)
12:04 외미기재/2차선도로
12:41 ×690m
13:18 기룡산갈림길(921m)
13:31 기룡산(×965.5m)
13:35 기룡산삼각점(961m)
14:05 ×852.4m
14:13 ×784.9m
14:27 ▲745.5m
14:44 ×702m
15:04 시루봉(×654.2m)
15:19 공덕갈림삼거리
15:46 임도접속
15:58 임도 좌측 산길
16:08 ×345m/우틀
16:16 ×335m/좌틀
16:34 매곡재
16:43 매곡경로당(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1310)산행종료
♧ 기룡지맥1구간(분기점-갈미봉-외미기재-기룡산-시루봉-매곡재)산행지도
산행메모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는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절기상의 소서(小暑)다.
이 시기는 여름 장마철로 장마전선이 한반도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장기간 머물러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내린다고 하는데...요즘 날씨가 딱 맞아 떨어진다.
무더위를 피해 지맥산행도 방학을 했으면 좋으련만 오늘부터 기룡지맥 산행을 시작 합니다.
기룡지맥 (騎龍枝脈)은 보현지맥의 보현산(1123.9m) 동쪽 1.6 km지점의 993m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해 갈미봉(786.5m), 외미기재, 기룡산(965.5m), 시루봉(654m), 28번국도 건너
영천시 성내동의 신령천/금호강(자호천) 합수점까지 이어진 도상거리 32.2km 되는
산줄기로서 유봉지맥과 함께 신령천을 감싸는 분수령이 되어 영천시 성내동의 중앙선 철도
영천대교 아래에서 유봉지맥 끝점과 마주보면서 신령천의 우측 분수령을 이루며 그 맥을 다한다.
지맥상에 이름을 가진 봉우리는 갈미봉(×787m)과 시루봉(×654m) 이고, 기룡산(▲965.5m)은
지맥 마루금에서 600m쯤 벗어나 있지만 기룡산분기봉(×924.9m)과 함께 이어진 산으로 보고
기룡지맥이라 이름 붙인 듯한데... 당일 산행으로 두번에 나누어 종주를 하려고 한다.
기룡지맥의 첫구간은 보현산천문대직전에서 시작하여 분기점에 닿고, 갈미봉(×787m), 외미기재
기룡산(▲965.5m), 시루봉(×654.2m),을 지나 고도를 급격히 낮추며 ×335m을 거쳐 매곡재까지
마루금 산행을 하고 좌측으로 내려와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매곡경로당앞에서 산행을 마쳤다.
산행거리는 약19km이나, 산행시작을 하는 보현산천문대까지 버스가 올려다 주어 어렵지 않게
분기점에 닿고 조금씩 고도를 낮추며 외미기재로 내려갔다가 기룡산 을 어렵게 오르게 된다.
지맥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기룡산을 다녀온후에는 또 다시 고도를 낮추며 매곡재로 이어져
무더위로 고생 했지만 잡목도 별로 없고, 등로도 괜찮아 견디어낼수 있을만한 산행이였다.
♥
10:34 보현산 천문대 주차장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오르다가 천문대 주차장 직전인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산 6-1 도로 우측의 일몰후 출입금지 표지판이 서 있는
산으로 오르며 기룡지맥 첫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산길에 들어서면 원시림같은 숲이 우거져 있지만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10:41 산행시작 약7분만에 기룡지맥 분기점에 닿는다.
분기점을 지나면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 버스를 타고 올랐던
보현산천문대로 오르는 도로에 닿고, 잠시 도로를 따라 내려간다.
앞쪽으로는 기상관측레이더관측소가 있는 면봉산(1,120.6m)이 보이네요
도로에서 다시 숲길로 들어가 완만하게 내려가고
두마 산촌 생태마을 로 가는 이정판이 있는 임도를 건너
다시 산길을 오릅니다.
임도를 건너 산길을 완만하게 올랐다가 내려가고
11:09 832m봉표지판이 이정목에 붙어 있는 2층팔각전망대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고..
11:17 조금더 진행하면 웰빙숲 입구 갈림길을 지나고...
완만하게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11:25 돌탑이 여러개 있는 777m봉을 지납니다.
돌탑봉에서 앞쪽으로 보이는 풍경
면봉산이 머리만 보이고...우측은 또 다른 보현산(839m)..작은보현산이라 부른다.
돌탑봉을 지나 완만하게 고도를 올리며 잠시 오르고...
11:29 갈미봉(786.5m)에 닿습니다.
갈미봉 정상 표지목과 이정목
갈미봉을 지나면 등로는 우측으로 휘어져 내리막으로 변하고
11:36 내려가면 약785m의 능선봉을 지나며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11:39 능선봉에서 약3분쯤 내려오면 외미기재로 내려가는 등로가 갈라지는 지점에 닿는다.
뚜렷한 등로는 아니나 좌측으로 휘어져 최단거리로 추정되는 루트로 내려간다.
희미한 선답자들의 발자국을 따라 잡목을 헤치며 내려오면 포장임도에 닿고
임도를 따라 외미기재로 내려갑니다.
계속해서 넓은 임도를 따라 내려가고...
임도를 내려가는 앞쪽으로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마을과
그뒤로 올라야할 기룡산이 뾰족하게 솟아 보이네요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별빛로' 2차선 차도에 닿고
우측으로 도로따라 '외미기재'로 향합니다.
12:04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와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의 경계인
2차선 차도인 '별빛로'가 지나는 '외미기재'에 닿습니다.
화북면과 자양면의 경계표지판, 버스정류장, 주노글램핑표지판이 있고
기룡지맥은 좌측의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기룡산으로 오르기 위해 외미기재에서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12:13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 오르다가 앞쪽으로 농막이 보이고 개가 짖어 대는 곳 직전에
우측 밭옆의 나무계단을 따라 산길로 들어섭니다.
산길에 들어서면 급경사의 오르막 등로가 시작되고..
무덥고, 습도가 높아 온몸에서 땀이 비옷듯 쏟아 집니다.
좌측으로 휘어졌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고...
기룡지맥 종주하는 산님들을 위한 격려판이 붙어 있는 오르막 등로를 지나고...
12:41 기룡지맥 690m표지판이 붙어 있는 곳에 닿고
기룡산 정상이 1.1km, 탑전1.2km 갈림길 이정목을 지납니다.
오르막 등로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조금전에 기룡산 정상 1.2km를 지나왔는데...
국가지점번호 아래에는 기룡산이 1.34km 남았다고...?
바위들이 많아지고...오르막 경사도가 급해집니다.
암릉지대를 만나고 좌측으로 우회를 하는게 맞는것 같은데...
우측으로 우회를 합니다...
가파른 오르막의 너덜지대도 지나 오릅니다.
13:18 921m의 암봉에 닿습니다.
좌측으로 기룡산으로 가는 길이 있고,
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921m암봉 아래의 이정표...
기룡산이 0.6km 떨어져 있어 왕복 1.2km 거리네요
기룡지맥의 주산이니..당연히 다녀와야 할곳
기룡산으로 향하는 암봉에서 바라본 기룡산 정상부쪽 풍경
암릉을 올라서면 기룡산 정상입니다.
13:31 기룡산(961m) 정상에 오릅니다.
기룡산(騎龍山)은 경북 영천시 자양면과 화북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고깔산(737m)과 연계하여 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 산의 이름은 산록에 있는
신라 때 창건된 묘각사(妙覺寺)의 창건설화와 관련이 있다.
선덕여왕 때 의상(625~702)이 묘각사를 창건할 당시 동해의 용왕이 의상에게
법문을 듣기 위해 방문하였고, 동해 용왕이 말처럼 달려왔다고 해서 절이 위치한
이 산을 기룡산(騎龍山)이라고 하였다.
용왕이 의상의 법문을 들은 즉시 깨달음을 얻어서 하늘로 승천하였으며,
용왕이 승천하면서 지상의 가뭄을 해결해주기 위해 하늘에서 감로(甘露)를 뿌렸다.
이 비는 당시 극심했던 가뭄을 해소해 주었다. 용왕이 의상의 묘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절 이름을 묘각사라고 불렀다.
기룡산에는 명당자리가 많기로 유명하여 묘지가 많다. 조선 중종 때
정윤량(1515∼1580)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이름보다 정효자로 불리었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정윤량은 옷을 벗고 자리에 누운 일이 한번도 없이
극진히 간호를 하였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장례 때 백발 노승이 효자를
기룡산 기슭에 인도하여 혈을 잡아주고 홀연히 사라졌다.
정윤량은 퇴계 이황(1501~1570)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여 학자로서 명성을 남겼다.
기룡산 정상에서
기룡산 정상에서
기룡산 정상에서 바라본 보현산과 면봉산 풍경
기룡산에서 바라본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자양면 보현리 마을과
그 뒤로 보현산과 우측으로 면봉산 풍경
기룡산에서 되돌아 내려가 오늘 걷게될 기룡지맥 마루금 풍경
기룡산 정상의 또 다른 정상석
기룡산 정상석이 있는 곳에서 약100m거리에 있는 삼각점과 표지판
기룡산961m삼각점(기계347/1982복구)
기룡산에서 바라본 921m봉(기룡산갈림봉)과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기룡지맥 마루금
기룡산에서 바라본 화북면쪽 풍경
기룡산에서 지맥마루금에 복귀하고,
잠시 휴식하며, 간식으로 요기를 한후에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14:05 기룡지맥 852.4m봉에 닿습니다.
852.4m봉에는 쉼터의자가 3개 설치되어 있으며
묘각사 갈림길 이정목이 있고, 기룡지맥은 직진으로 갑니다.
14:12 852.4m봉에서 약7분쯤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면 784.9m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안부로 내려갑니다.
784.9m봉에서 안부로 내려가는 등로
안부를 지나면 바위가 있는 능선을 오르고...
14:26 745.5m 산패와 삼각점이 있는 봉에 닿습니다.
745.5m삼각점(화북426/1982재설)
745.5m의 삼각점봉을 지나면 능선 좌측 사면으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안부에서 잠시 올라 약700m봉을 지나고..
낙엽이 많은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14:44 705m의 무명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70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오면 조망바위를 만나고
조망바위에서 바라본 보현산과 우측의 면봉산 풍경
14:46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792m봉을 지납니다.
702m봉을 지나면 암릉을 만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암릉을 내려가면서 바라본 오늘 걸어야할 기룡지맥 마루금 풍경
지나 내려온 암릉구간을 뒤돌아봅니다.
암릉을 내려서면 잡목이 많은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로 내려갔다가 다시 고도를 올리며 오르고..
14:56 기룡지맥 656.5m산패가 붙어 있는 봉에 닿습니다.
656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갔다가 다시 낙엽이 많은 등로를 오르고
15:04 시루봉 654.2m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봉에 닿습니다.
시루봉의 이정목...
기룡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시루봉에서 내려가는 등로에는 묵은 낙엽이 발목을 덮네요
고도를 낮추며 무명봉을 오르내리며 내려갑니다.
15:19 공덕마을 갈림길 삼거리 안부에 닿고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올라갑니다.
작은 돌이 깔려 있는 급경사 등로를 오르고...
무명봉을 올랐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가고....
무명봉에서 내려갔다가 잠시 올라 무명봉을 또 오르고
소나무가 많은 무명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무명봉에서 내려가면 월성이공묘를 지나고...
간벌을 한 능선에 있는 넓은 산판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좌측편으로는 매곡지가 나무사이로 보이네요
15:46 넓은 임도에 내려서고, 임도를 따라 우측으로 갑니다.
세멘트 포장된 오르막 임도를 올라 산구비를 돌고
15:58 임도를 따라 약12분정도 걷다가 사진으로 보이는 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좌측의 산길로 들어섭니다. 시그널이 붙어 있네요
산길로 들어서면 희미한 등로가 완만하게 능선을 따라 이어지고
16:02 산길에 들어서 약4분쯤 걷다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급좌측으로 휘어져 소나무 능선을 내려가고
능선을 오르고...
16:08 약345m의 무명봉에 오르고,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34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에는
비닐끈이 매어져 있으며, 동행하게 되네요
345m봉을 내려갔던 등로는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약330m의 무명봉을 오르고...좌측으로 휘어져 무명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16:16 약335m의 무명봉을 오르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갔다가
다시 능선을 오릅니다.
335m봉을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오르는 능선풍경...
등로 옆으로는 여전히 끈이 매어져 있네요
약290m의 무명봉에 닿고...잠시 내려갔다가 다시 오르고...
소나무숲 아래 키작은 철쭉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능선을 오르고..
16:27 약306m의 무명봉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내려갑니다.
경사의 등로를 내려갑니다.
매곡재로 내려가는 등로
능선 우측사면으로 무명봉을 우회하여 지나고
16:34 매곡재에 도착합니다.
기룡지맥 첫구간의 마루금 산행은 이곳에서 마치고
좌측으로 휘어져 임도를 따라 매곡경로당이 있는 곳으로 향합니다.
매곡재에서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로 내려가는 임도
낙엽이 푹푹 빠지는 임도는 구불 구불 갈짓자를 그리며 내려갑니다.
매곡리 마을에 닿고 개울을 건너 도로 따라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도로 앞쪽으로 보이는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매곡경로당 건물
삼매리는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로,
삼매리(三梅里) 마을의 풍수를 보면, 마을 뒷산은 매화 가지가 뻗어 있는 형상이고,
앞산은 매화꽃을 향하여 날아드는 형상이라 매곡(梅谷)이라 칭하다가,
3개 이(里)가 합쳐서 삼매(三梅)라는 지명이 생겼다.
삼매리의 매곡마을은 조선 영조 때 형조 참의를 지낸 정중기(鄭重器)가 개척한 마을로,
270여 년 동안 세거해 온 오천 정씨의 집성촌이다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매곡)버스 정류장 앞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버스 정류장과 마주 보고 있는 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매곡경로당
코로나19의 후유증인가...? 인심이 후하지 않은 마을인듯...
무더위에 땀을 씻어 낼수 있는 경로당 앞의 수도가 있었는데..
물값을 내고 사용을 하려 해도 안된다는...
'보현지맥상 지맥 > 기룡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룡지맥2구간(삼매2리-▲246.4m-▲208.3m-▲180m-▲146.5m-금호강,신녕천합수점)산행 (0) | 2022.10.12 |
---|---|
기룡지맥 (騎龍枝脈)이란?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