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음지맥4구간(부상고개-안산-깃대봉-지탄리산성-철봉산-해맞이산-구금강2교)
♧ 산행일시 : 2022.04.7. 목, 날씨 : 오전 흐림/오후 맑음
♧ 산행참여 : 뉴마포 산악회/회비28,000원
♧ 산 행 지 : 충북 영동군 용산면, 충북 옥천군 동이면
♧ 산행구간 : 부상고개 - 안산(×439.5m) - 깃대봉(×426m) - 당재 - 지탄리산성(×425.3m)
- 철봉산(▲449.5m) - 해맞이산(×297.8m) - 구금강2교
♧ 산행거리 : 16.02km
♧ 산행시간 : 5시간32분(09:28 ~15:00)
♧ 팔음지맥4구간(부상고개-깃대봉-당재-철봉산-구금강2교)산행기록
♧ 팔음지맥4구간(부상고개-깃대봉-당재-철봉산-구금강2교)산행트랙
♧ 팔음지맥4구간(부상고개-깃대봉-당재-철봉산-구금강2교)주요지점 이동시간
※ 09:27 충북 영동군 용산면 부상2길 80 한국도로공사터널방재센타앞
09:35 부상고개(좌측임도)
09:53 ×372.5m
10:10 안산(×439.5m)
10:56 쇠말봉(×394.2m/좌틀)
11:22 갈현봉(▲366.2m)
11:31 바랑산(×410m)
11:37 깃대봉(×426.6m)
11:48 당재(505번2차선도로/영동 심천면과 옥천 동이면 경계)
12:01 ×405m(좌측 심천교/우측 구금강2교 갈림길)
12:13 지탄리산성(×425.3m)
12:45 ▲306.5m/좌틀)
12:57 ×367.4m/우틀
13:05 기탄고개
13:24 ×338.4m/좌틀
13:44 ×421.7m/우틀
13:52 ×447.7m(벙커)
14:06 철봉산(▲449.5m)
14:39 해맞이산/고수봉(×297.8m)
14:51 원형벙커(×165m)
15:00 구금강2교앞(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 17-1)
13:27 충북 영동군 용산면 가곡리 613(도로안전교육센타 주차장)
♧ 팔음지맥4구간(부상고개-깃대봉-당재-철봉산-구금강2교)산행지도
산행메모
새벽녘에 약간의 빗방울이 떨어졌고...아직은 흐려 있는 하늘과 젖어 있는 산길이지만
상쾌한 기분이고, 다행히 낮이되면 하늘도 맑아 진다고 하니 산행하기에는 좋을듯 하다.
네구간으로 나누어 시행했던 팔음지맥도 오늘 산행으로 졸업을 하게 되었는데
팔음지맥의 끝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당재를 지난후에 오르게되는 SK당재 기지국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심천교를 주장하는 사람과, 우측으로 진행하여 구금강2교가 맞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대립되는데..우리는 우측의 구 금강2교로 가기로 했다.
오늘 구간은 250m~450m의 봉우리들을 약25개정도 오르내려야 하는 소위 말하는
빨래판 구간이고...체력이 거의 소진되는 산행 끝무렵에 있는 해맞이봉(297.8m) 오르는
가파른 등로에서는 사력을 다하듯이 로프에 의지해 오르는 어려움도 있었지만.
해맞이봉을 오르고나면 우측으로 구불거리며 아름다운 풍경을 그려내는 금강 줄기를 보며
금강2교까지 내려가게 되어 팔음지맥 졸업 산행의 짜릿한 맛을 느끼게 되었다.
♥
09:27 부상터널입구에 있는 터널방재 인증센타앞에 산악회 버스가 산꾼들을 내려놓는다.
앞쪽으로 차량의 통행이 거의 없는 부상터널이 보이고..
터널 입구 좌측으로 임도를 따라 올라가 부상고개로 향합니다.
부상고개로 오르는 임도...
새벽에 내린 비로 더욱 상큼한것 같은 파란 새싹의 초목
09:35 터널입구에서 약8분정도 걸어오르면 부상고개에 닿습니다.
충북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에 있는 고개라서 부상고개라 부르는 곳이다.
용산면 부상리는 용산면의 서북쪽에 위치하며 뒤로 산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앞으로는 내천이 흐른다. 벼와 포도를 주로 재배하는 농촌마을이며
자연마을로는 부상골(부상동), 들말(평촌), 도내(도천), 웃도내(상도천), 큰골(대곡)등이 있다.
부상골은 마을이 동쪽을 향해 있어 해뜨는 것이 제일 먼저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
들말은 들에 있는 마을로 땅이 평평하여 평촌이라고도 한다. 웃도내는 도내 위쪽에 있는
마을이며 큰골은 인가가 넓게 흩어져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문화유적으로 민대혁 효자문이 있다고 합니다.
부상고개 좌측으로 보이는 넓은 임도를 따라 팔음지맥 마루금을 따릅니다.
임도를 따르다가 315m봉 직전에 임도를 벗어나 좌측으로 오르고...
09:46 약315m의 무명봉에 오르고...
이 봉우리에서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315m봉에서 내려가면 아카시아나무가 밀집되어 있는 곳을 지나고...
372.5m봉을 향해 급경사의 등로를 올라야 합니다.
중간에서 산허리를 돌아 우회하는 등로도 보이지만
급경사 등로를 오릅니다.
09:53 지도상 고도 표시되어 있는 372.5m정상부에 닿고,
지맥능선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진달래꽃이 한창인 완만한 능선을 잠시 걷고...
고도를 높이며 약간의 바위들이 있는 등로를 올라갑니다.
10:01 410m무명봉에 오르고... 이봉을 지나며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진달래꽃이 피어 있는 산길을 오르고...
무명봉을 살짝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서야 하는 앞쪽으로 보이는 산이 '안산'인듯...
안부로 내려갔다가 잠시 고도를 올리며 올라가고...
10:10 팔음지맥 439.5m산패가 붙어 있는 '안산'에 닿습니다.
안산을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또 올라야 하는 봉우리가 보이네요
안산에서 약간의 암릉이 있는 능선 좌측으로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가파르게 오릅니다.
10:17 무명봉 약415m봉에 오릅니다.
415m의 무명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안부를 지나 다시 올라야 하는 팔음지맥 산줄기가 보입니다.
안부를 지나 깃대봉으로 오르는 능선 좌측으로 보이는
충북 영동군 심천면 길현리 마을 풍경..
가파르게 능선을 올라갑니다...낙엽이 있어 미끄럽네요
10:29 약400m의 무명봉에 오릅니다.
400m봉에서 약간좌측을오 휘어져 내려가 완만하게 능선을 지나고...
10:32 완만한 능선 끝에서 지맥 마루금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고..
지맥능선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고도를 낮추며 갑니다.
능선 좌측으로 삼각점이 있는 팔음지맥 갈현봉(366.2m)이 보이는데..
팔음지맥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반원을 그리며 진행하여
안부를 지나 갈현봉을 오르게 됩니다.
고도를 낮추며 안부로 내려갑니다.
안부로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394.2m봉과 갈현봉(366.2m)
10:39 안부를 지나고...
안부를 지난후에 완만하게 등로를 오릅니다.
10:52 395m의 무명봉을 오르고...
39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진달래꽃 피어있는 능선을 완만하게 오르고...
10:56 지도상에 고도표시되어 있는 394.2m봉에 오릅니다.
이봉을 '쇠말봉'이라고도 부르는 듯
쇠말봉의 지명유래는 두가지로 전해지는데, 첫째는 이산에 옛날에 환환으로부터
마을을 지켜 주었던 쇠말이 놓여 있었기 때문이며, 또 하나는 일제시대 때 한반도의
기맥을 끊을 목적으로 쇠말뚝이 박혀 있었던 산이라 그렇게 불렀다는 설이 전해지는데...
후자의 설이 유력해 보인다.
394.2m봉에서 지맥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급좌측으로 휘어져 안부로 내려가고...
10:59 약355m의 무명봉을 오릅니다.
355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약2분정도 내려갑니다.
11:01 355m봉에서 2분쯤 내려온후 이곳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길주의)
내리막 능선 앞쪽으로 올라야할 갈현봉(366.2m)봉이 중앙에 보입니다..
커다란 나무가 있는 안부를 지나고...
11:06 안붕에소 소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 약310m의 무명봉을
올랐다가 조금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내려가면서 묘지가 있는 곳을 지나고..
묘지를 지나면 안부에 내려섰다가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오르기 시작합니다.
가파른 비탈사면에 낙엽이 있어 많이 미끌거려
지그재그로 올라가지만 오르는데 힘이 드네요.
11:22 삼각점이 있는 갈현봉(▲366.2m)에 닿습니다.
지도에는 366.2m인데, 산패는 365.4m로 표기되어 있네요
366.2m삼각점(건설부423)
366.2m봉에서 잠시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급경사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잠시후에 올라야할 바랑산(410m)이 보이네요
약간의 암릉지대를 지나고...
낙엽이 쌓여 있는 급경사 등로를 오르고...
바랑산 정상 직전에 다시 돌이 많은 능선을 오릅니다.
11:31 해발410m의 바랑산 정상부에 닿습니다.
바랑산을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우뚝 솟아 있는 깃대봉(426.6m)이 보입니다.
바랑산을 내려갔던 안부에서 다시 급경사를 올라 깃대봉으로 오릅니다.
11:37 깃대봉(426.6m)정상에 오릅니다.
세멘트 블럭을오 만들어 놓은 군 훈련용 벙커가 있네요
깃대봉에 깃대는 보이지 않습니다.
깃대봉 정상부의 시그널...산패나 정상석은 보이지 않습니다.
깃대봉을 지나면 급경사 등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당재를 건너 올라야 할 팔음지맥의 능선들이 보이네요
좌측이 SK당재 기지국, 중간이 지탄리 산성봉,
SK당재 기지국이 있는 봉에서 심천교 방향은 좌측으로, 구금강2교는 우측으로 갈라집니다.
깃대봉에서 내려오면 505번2차선 차도에 닿고
차도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11:48 옥천군 동이면과 영동군 심천면 길현리의 경계인
505번2차선 차도가 지나는 당재에 닿습니다.
영동군 심천면 길현리의 자연마을로는 당재(당티,당현), 질가마골(길동),
후곡(상단리)등이 있으며, 당재는 후곡 서쪽 고갯마루에 있는 마을이고
그 마을뒤의 고갯마루를 당재라고 부르게 된듯합니다.
당재에서 심천면 표지판 옆의 임도를 따라 SK당재 기지국으로 오릅니다.
임도 초입에 있는 임도 노선안내도
SK 당재 기지국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임도 끝에 닿고...세멘트 계단이 SK당재 기지국까지 이어집니다.
11:59 계단끝에서 만나느 SK당재 기지국
우측으로 진행하여 기지국 뒤의 산으로 향합니다.
12:01 SK당재 기지국 뒷편의 약405m 암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팔음지맥의 끝을 심천교로 가느냐, 구금강2교로 가느냐 하는
갈림봉이기도 합니다.
SK당재 기지국이 있는 405m봉 뒷편
신산경표에서 팔음지맥의 끝을 구금강2교로 하였기에
구금강2교로 가기위해 405m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405m봉을 지나면 우측으로는 옥천군 동이면 풍경이 보이고..
좌측으로는 영동군 심천면 풍경이 보이는 능선을 따라 걷습니다.
405m봉에서 지탄리산성(425.3m)으로 가는 등로는 잡목이 많습니다.
하절기에는 숲이 우거져 지나기가 많이 힘들것 같은 곳이네요
산성을 쌓았던 돌이 무너져 내린듯한 곳을 지나 오르고
12:13 지탄리산성(425.3m) 표지석이 있는 봉에 닿습니다.
지탄리산성은 옥천군 이원면 지탄리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성으로
형태는 테뫼형, 둘레는 약250m라고 합니다.
영동군 심천에서 옥천군 청성면 묘금리로 가는 505지방도의 당재 서쪽
해발 400m의 산봉우리에 위치하며, 영동군 심천면과 이원면 지탄리의
넓은 들을 조망하며 성의 남쪽에서 금강을 건너 당재를 넘어 청성. 청산으로 가는
길목을 지키는 요충지에 해당되어 청성의 이성산성(금산성)을
연결하는 신라의 주요 산 중 하나였다고 한다.(옥천 향토사연구회글)
지탄리산성을 지나며 능선 좌측의 나무사이로 심천면쪽 풍경을 봅니다.
진달래꽃이 피어 있는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고..
능선 좌측의 벌목지 아래로는 심천면 지탄리쪽 풍경이 보이는 곳을 지납니다.
우측은 벌목지이고...벌목후에 자라난 잡목과 풀이 많은 능선을 올라갑니다.
12:27 벌목지를 오르면 능선봉에 닿고,
능선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능선붕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 소나무 아래에 진달래꽃이 피어 있는 능선을 지납니다.
완만하게 능선을 올라 앞쪽으로 보이는 315m봉으로 향합니다.
12:36 315m의 무명봉에 오르고..마루금은 다시 좌측으로 휘어져 가고...
찔레나무가 파랗게 잎을 틔우고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12:40 찔레나무가 있는 곳을 오르면 약330m무명봉에 닿고..
이봉에서는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고도를 낮추고 완만하게 능선을 진행하고...
12:45 완만하게 진행하는 306.5m능선 등로에서 삼각점을 만납니다.
306.5m 삼각점(보은473/1980재설)
306.5m삼각점봉을 지나 잠시 내려가 안부에 닿고...
안부를 지나면 고도를 약90m정도를 올리며 올라갑니다.
12:57 지도상 고도표시되어 있는 367.4m봉에 오르고,
봉우리 정상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367.4m봉에서 내려가는 등로
고도를 낮춘후에는 완만하게 능선을 내려가 안부에 닿습니다.
13:05 잘룩한 안부의 '기탄고개'에 내려섭니다
기탄고개에서 능선을 올라가고
코카콜라 글씨가 적혀있는 의자2개가 놓여 있는 무명봉에 오르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소나무 숲길을 완만하게 지나고....
13:11 완만한 285m의 능선봉을 지납니다.
285m봉을 지나며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고..
안부에서 소나무 많은 능선을 오르고...
무명봉 직전에 좌측 사면으로 무명봉을 우회하여 지납니다.
무명봉을 우회한 능선에서 좌측으로 심천면 지탄리쪽으로 흘러가는 금강이 보이고..
또 다시 만나는 무명봉을 오르지 않고 우측 사면으로 휘어져 338.4m봉으로 갑니다.
13:24 굵은 소나무가 있고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되어 있는 338.4m봉에 오른고....
338.4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 약간씩 좌측으로 휘어져 가며 능선을 오르고..
고도를 급격히 올리며 능선을 오릅니다.
오늘 구간은 완전히 빨래판 구간이네요
수없이 많은 봉우리를 오르내리며 왔지만
남아 있는 구간도 계속 오르내려야 할듯...
421.7m봉 오르는 급경사 등로 우측으로 447.7m봉이 보입니다
421.7m봉 오르는 능선 좌측으로 보이는 심천면 지탄리쪽 금강풍경
13:44 긴오르막 끝에 지도상 고도 표시된 421.7m봉에 오르면.
산패도 없는 ..그러나 시그널이 많이 붙어 있는 무명봉 입니다.
421.7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올라야할 447.7m봉이 보입니다.
421.7m봉에서 잠시 내려갔다가 급경사를 올라서면 암봉을 지나고...
암봉을 지나 다시 또 경사의 등로를 올라갑니다.
447.7m봉 오르는 등로 좌측의 나무 사이로는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쪽 풍경이 보이네요
13:52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447.7m봉 정상에 오르면
세멘트 블록으로 벙커를 만들어 놓은 군 시설물이 자리하고 있네요
반대편에서 바라본 447.7m봉의 군 벙커
447.7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이런 급경사 등로를 따라 안부로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우뚝 솟아 있는 철봉산(449.5m)풍경...
안부로 내려갔다가 오르려면 힘꽤나 들여야 할듯 하네요
안부에서 철봉산 오르는 등로는 아주 급경사네요
철봉산 오르는 등로 우측으로는 금강휴게가 있는 금강 이 보입니다.
계속해서 가파른 철봉산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14:06 넓은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고..헬기장 끝에 정상석이 나란히 서 있는
철봉산(449.5m)봉에 오릅니다...큰나무가 없어 사방으로 조망이 좋네요
철봉산은 충북 옥천군의 동이면 우산리와 적하리의 경계에 있는 산이며,
한국지명총람에는 산에 쇠가 많이 나와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같은 문헌에 다른 이름으로 '쇳봉산'이 기록되어 있다.
철봉산 우측 아래로 보이는 금강과 금강휴게소쪽 풍경
진행방향쪽으로 보이는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 일원
철봉산에서 해맞이 산으로 가면서 뒤돌아본 철봉산 풍경
철봉산 정상의 삼각점...깨져 있고, 글씨도 잘 안보입니다.
철봉산에서 지맥 진행방향쪽의 어깨봉, 그 뒤로 국사봉도 조망됩니다.
철봉산에서 우측의 나무사이로 금강을 보면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철봉산에서 잠시 내려갔다가 올라 약385m봉을 오르고..
385m봉을 지나면 해맞이산으로 오르기전의 안부까지 한참을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좌측으로는 옥천군 동이면 금암리쪽 풍경이 보이고..
진달래꽃이 등로 주변에 가득 피어 있는 산길을 내려갑니다.
철봉산에서 내려가는 등로 우측으로 보이는
금강과 경부고속도로 그리고 금강휴게소와 구금강4교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해맞이산(297.8m) 풍경...
산행 막바지라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어 오르기에 부담스러워 보입니다.
14:25 분지벌 고개 안부에 닿습니다.
안부를 지나면 로프가 매어져 있는 해맞이산 오르막 등로가 보입니다.
이곳 분지벌 고개는 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에 있는 자연마을인
분지벌 마을에 있어서 지명을 따온것 같다.
해맞이산 오르막 등로는 경사가 심하여
로프가 정상까지 매어져 있습니다.
해맞이산으로 오르면서 뒤돌아본 철봉산 풍경..
해맞이산으로 오르면서 우측으로 바라본 금강3교..그리고 금강과 금강휴게소 방향 풍경
해맞이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로프..
경사가 심하고..지쳐 있어 로프에 의지해 산을 오릅니다.
구 금강2교를 지나며 좌측으로 휘어진 금강이 올목을 지나고
건너편으로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쪽 풍경이 보입니다.
문지벌고개 안부에서 약14분 걸려 해맞이산(297.8m)에 오릅니다.
옥천군 동이산악회에서 세운 정상석이 있고..정상부에서의 조망은 없고...
다음지도에는 '고수봉'으로 표시가 되어 있네요
해맞이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경부고속도로 옥천1터널이 밑으로 지나는 산등성이를 오릅니다.
여기에는 좌측의 절벽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용도인듯 로프가 매어져 있네요..
로프가 있는 좌측으로 보이는 금강과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쪽 풍경
멀리 희미하게 영동의 천태산 자락도 조망이 됩니다.
경부고속도로 옥천1터널이 지나는 능선을 내려갑니다.
무명능선을 올랐다가 내려가고...
14:51 원형의 벙커가 있는 215.5m 무명봉을 지납니다.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금강로 2차선 차도와 금강위를 지나는 구금강2교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금강은 한강과 낙동강에 이어 3번째로 긴 강으로 전북 장수군에 있는 신무산에서 발원
진안과 무주, 금산, 영동, 옥천, 대전등을 지나 군산만으로 흘러들며, 길이가 407.5km,
유역면적은 9,885㎢이다. 상류는 험준한 산지 사이로 하천들이 감입곡류를 형성하고
중류와 하루에는 내륙분지와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으며 강하구는 넓고 깊다.
로프가 매어져 있는 등로를 따라 비닐하우스가 있는 곳으로 내려갑니다.
절개지를 내려가면 포장도로를 만나고, 곧 구금강2교에 닿습니다.
15:00 금강위를 지나는 구금강2교앞에서 4번에 나누어 종주를 했던
팔음지맥 산행을 종료합니다.
구금강2교앞의 금강로변 공터에 대기중인 산악회 버스..
그리고 뒤로 보이는 산이 어깨봉(441.1m)이네요
'백두대간상 지맥 > 팔음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음지맥3구간(샘티재-천관산-밤재-천봉-▲340.6m-부상고개) (0) | 2022.04.06 |
---|---|
팔음지맥2구간(만어각재-614.3m-큰곡재-팔음산-별재-천금산-목동고개-▲308.2m-샘티재) (0) | 2022.03.19 |
팔음지맥1구간(반송주차장-봉황산-30번고속도로-천탁산-개티재-584.1m-평산리)산행 (0) | 2022.03.11 |
팔음지맥(八音枝脈)이란?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