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지맥1구간(신암리-분기점-×959.7m-▲934.8m-▲830.2m-오미재-영양터널)
♧ 산행일시 : 2021.06.10. 목,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뉴마포산악회 덕산지맥팀29명
♧ 산 행 지 : 경북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 산행구간 : 신암리/새골-지맥분기점-×959.7m-▲934.8m-▲830.2m-오미재-신암리(영양터널)
♧ 산행거리 : 14.10km
♧ 산행시간 : 4시간34분(10:39~15:13)
♧ 덕산지맥1구간(신암리새골-분기점-오미재-영양터널)산행기록
♧ 덕산지맥1구간(신암리새골-분기점-오미재-영양터널)트랙
♧ 덕산지맥1구간(신암리새골-분기점-오미재-영양터널)주요지점 이동시간
※ 10:39 경북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204-3(낙동정맥로4453-1)산행시작→
10:59 계곡길에서 좌측 능선
11:35 낙동정맥능선접속(×852m/우틀)
11:51 853m(폐헬기장)
11:53 낙동정맥/덕산지맥분기점(지맥좌측)
12:01 ×892m봉
12:20 ×959.7m
12:26 ×942m
12:34 ×880m
12:55 ▲935m
13:03 ×960m
13:11 ×947m
13:26 ×930m
13:35 ×905.6m
13:45 ×852m
13:57 ×885m(우틀)
14:12 영양터널위
14:14 ▲830.2m
14:19 ×793.6m
14:29 ×755m
14:38 ×815m
14:51 오미재
15:13 영양터널입구(경북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산19-5)산행종료
♧ 덕산지맥1구간(신암리새골-분기점-오미재-영양터널)산행지도
산행메모
단체 산행을 하든, 개인 단독 산행을 하든 지맥 첫구간 산행때에 대간이나 정맥에서
지맥이 분기하는 분기점에 어떻게 접근하느냐가 지맥 산행의 관건인듯 하다.
특히 산행 인원수에 따라 이용하는 차종에 따라 분기점에서 가까이 혹은 멀리서
산행을 하게되고 날머리도 정해지게 되는게 일반적이다.
덕산지맥도 낙동정맥상에서 분기하는 분기점에 오르는 방법이 대략 두군데로 나뉘게 되는데,
하나는 소형차량의 접근이 가능한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새신마을과 또 하나는
대형버스 진입 가능한 917번도로가 지나는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새골마을에서 오르게 된다.
뉴마포 덕산지맥팀은 신암리 새골마을입구에서 덕산지맥 산행을 시작했다.
덕산지맥은 백두대간 매봉산에서 부산 몰운대로 가는 낙동정맥이 칠보산(974m) 남쪽 2.2km 지점
무명봉직전에 서남쪽으로 가지를 쳐 일월산 서북쪽 2.4km지점에서 일월지맥 산줄기를 떨구고
남서진하여 동화재, 덕산봉(690m), 논골재, 정갈령, 벳티재, 금댕이재, 사부란재, 관재를 지나
반변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안동시 용상동 법흥교앞에서 그 맥을 달하는
도상거리 73.1km되는 산줄기를 덕산지맥(德山枝脈) 이라 부른다.
이 산줄기 우측(북.북서)로 흐르는물은 안동호로 들어 낙동강본류가 되고
좌측(남 .남동)으로 흐른물은 임하호로 흘러들어 반변천이 되어 낙동강에 합류한다.
♥
10:39 경북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917번 도로가 지나는 새골 입구에서
우측의 낙동정맥로4453-1~44453-44 표지판이 가르키는 방향의
낙동정맥로 세멘트 포장된 마을길을 따라 신암리 새골을 향해 산행을 시작합니다.↓
세멘트 포장된 마을길을 따라 마지막 신암리 새골 민가 있는 곳을 지납니다.↓
마지막 민가를 지나면 민가 좌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하고..↓
파란그물망 울타리가 쳐져있는 밭을 지나면
임도는 없어지고...계곡을 따라 희미하게 보이는 등로를 오릅니다.↓
계곡을 왔다갔다 두어번 건너고...↓
10:59 계곡을 끼고 오르던 등로에서 좌측 산비탈의 능선으로 올라갑니다.↓
철쭉나무가 우거져 있는 가파른 오르막 능선을 오릅니다.
오늘 산행중 가장 힘든 구간입니다...↓
낙동정맥 능선까지는 약400m정도의 고도를 높이게 됩니다.
가파른 오르막 등로에 하얀비닐끈이 지맥길을 안내하듯 매어져 있어
하얀비닐끈만 잘 찾아 간다면 지맥길을 벗어날 일은 없을듯 하네요↓
11:35 코가 땅에 닿을듯이 가파른 오르막 등로와 힘겨루듯
땀을 흠뻑 흘리며 산행출발 약55분만에 낙동정맥 능선 약852m봉에 접속합니다.
능선봉 좌측으로는 낙동정맥 칠보산 방향이고, 우측이 덕산지맥 분기봉 방향입니다.↓
낙동정맥 능선상에 닿으면 등로는 좋습니다.
숲이 우거져 있어 조망은 없지만 육산으로 걷는데는 아주 편안하네요↓
낙동정맥능선상에 닿았던 봉에서 완만하게 내려와 큰 소나무가 있는 안부를 지나고..↓
안부를 지나 다시 완만하게 낙동정맥 능선을 올라갑니다.↓
11:51 예전에는 헬기장으로 이용했던 흔적이 있는 853m봉에 오르고..↓
11:53 폐헬기장봉에서 약2분쯤 내려오면 시그널이 여기저기 붙어 있는
덕산지맥 분기점 삼거리에 닿게 됩니다.↓
덕산지맥 분기점에서
좌측은 덕산지맥이고, 낙동정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낙동정맥과 덕산지맥의 분기점에서 쎌카↓
낙동정맥에서 분기한 덕산지맥은 분기점을 지나며 안부로 내려갔다가
조금씩 좌측으로 휘어져 오릅니다.↓
12:01 892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오늘 산행중에 봉이름이나, 산이름이 붙은 곳은 없고
이름없는 무명봉들만 수없이 오르내리게 됩니다↓
892m봉을 지나면 능선은 큰원을 그리듯 좌측으로 휘어지며
철쭉나무가 우거진 숲길을 완만하게 진행하고↓
육산의 걷기 편안한 등로는 조금씩 고도를 높이며 오릅니다.↓
12:20 지도상 고도표시된 959.7m봉에 닿습니다.
무성한 나무잎이 하늘을 가리고 있어 조망은 없네요..↓
철쭉나무가 우거져 있어 몸을 곧추세우고는 걸을수가 없네요
겸손한 자세로 허리를 구부려야 합니다.↓
몸통을 위에서 아래로 찢긴채 자라고 있는 나무가 있는 능선을 오르고..↓
햇볕을 가려주는 숲길의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철쭉나무가 우거져 있어 빨리는 걸을 수 없지만
육산이고, 더운 여름철에 햇볕을 가려주는 덕에 피로도는 덜한듯 합니다.↓
텅빈 속을 보여주는 나무옆을 지나 오릅니다.↓
12:34 무명봉 880m봉을 지납니다.↓
12:39 크게 고도를 올리지는 않치만...
계속해서 무명봉을 오르내리게 되니..힘도 드네요
880m무명봉을 지납니다.↓
조망은 엄두도 못내고...잡목에 머리가 부딪히지 않으려 허리를 구부리고
무명봉의 능선을 따라 고도를 조금씩 올리며 진행을 합니다.↓
12:55 934.8m삼각점봉에 오릅니다.
준.희님의 산패와 삼각점이 보이네요↓
934.8m삼각점(소천458/2004재설)↓
13:03 삼각점봉에서 약8분쯤 진행하면 960.2m봉에 오릅니다.
오늘 산행중 가장 높은 봉우리지만..봉우리 이름도 얻지 못한듯..↓
960m봉을 지나면 완만하게 능선길을 걷게 되는데...
좌측 나무사이로 일월산 능선이 조망됩니다...
나무잎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확연하게 일월산을 조망할수 있을듯..↓
철쭉나무가 우거진 능선을 따라 고도를 조금씩 낮추며 진행합니다.↓
13:11 947m의 무명봉을 지나고..↓
947m무명봉을 지나는 능선좌측으로 보이는 일월산 풍경
일월산(1,219m)은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과 청기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정에는 동서로 두봉우리가 있는데 동봉은 日字峰이라 하여 주봉이며,
서봉은 月字峰(1,170m)이라 한다. 남쪽 사면에는 낙동강의 지류인 반변천이 발원하고
그리고 서쪽으로 약17km 지점에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청량산이 위치한다.
유적으로는 조선 세조때 남이 장ㅇ군이 토적 아룡의 족당을 물리쳤던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한 남의포와 봉감탑. 석문입암등이 있다.
사찰로는 동쪽 사면에 용화사지가 있고, 서남쪽 사면에 천화사가 있다.
정상부에는 통신시설등이 설치되어 있고, 일월산이라 부르게 된 연유는
산정에서 동해의 일출과 월출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산이라는 뜻에서
또 산정에 천지가 있어서 그 모양이 해와 달 같다는 데서 이름하였다는 설이 있다.↓
13:26 무명봉 930m봉을 지납니다....
지맥길을 안내하는듯한 하얀비닐끈이 오미재까지 이어지는데..
가끔은 목에, 또는 발목에 감겨 산행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하네요↓
철쭉나무 숲길을 따라 계속 매어져 있는 하얀비닐끈↓
13:35 지도상 고도 표시된 905.6m의 무명봉.
시그널이 여러개 붙어 있지만..잡목이 우거져 있고, 조망도 없네요
905.6m봉에서 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 갑니다. ↓
수령이 오래된듯한 굵은 소나무가 있는곳을 지나고..↓
13:45 905m봉에서 내려오다가 무명봉 852m봉을 오르고.
이봉을 지나면서 지맥능선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3:57 지도상 고도표시된 885.1m봉에 오르고...
봉우리 정상부는 삼거리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4:12 영양터널이 지나는 상부를 지납니다...
커다란 소나무가 있는 830.2m봉입니다.↓
큰소나무가 있는 영양터널위의 무명봉에서 약2분쯤 진행하면
삼각점이 있는 830.2m에 도착합니다.↓
830m삼각점(소천455/2004재설)↓
14:19 830.2m삼각점봉에서 약5분정도 고도를 낮추며 진행하면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지도상 고도표시된 793.6m봉에 닿고,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게 됩니다.↓
14:25 793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와 안부에 닿고...↓
14:29 소나무 2그루가 나란히 서있는 해발 755m의 무명봉을 오르고...
이 무명봉을 지나면서 완만하지만 계속해서 무명의 능선봉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14:38 해발 815m의 무명봉을 오르고..
이후 완만하게 10여분을 진행하며 고도를 조금씩 낮춥니다.
14:48 능선엥서 좌측으로 휘어져 오미재로 내려갑니다.↓
14:51 오미재에 내려섭니다.
오늘 덕산지맥 첫구간은 이곳까지이고,
임도를 따라 영양터널 입구쪽으로 내려갑니다.↓
오미재에 있는 외씨버선길 이정목↓
오미재에서 다음구간에 오르게될 일월재 방향 들머리 풍경↓
오미재에서 포장임도를 따라 영양터널쪽으로 향합니다.↓
임도 삼거리를 만나고...
우측 영양터널→1.6km 방향으로 갑니다.↓
임도 삼거리에 있는 일월산 등산안내도↓
낙엽송 나무가 있는 임도를 따라 영양터널입구쪽으로 내려갑니다.↓
어렸을때 동네 산길을 오르내렸던 오래된 트럭이
적재함 가득히 통나무를 싣고 임도를 오르는 모습을 보네요↓
15:13 영양터널 입구 사거리에서 덕산 지맥 첫구간 산행을 종료 합니다.↓
영양터널쪽 풍경↓
영양터널앞 사거리..
좌측은 봉화군 재산면이고, 우측은 영양군 수비면이다.↓
영양터널앞 사거리 풍경...
도로 좌측은 봉화군 재산면 갈산리이고, 영양터널쪽은 영양군 수비변 신암리이다.
일월산 황씨부인당은 일자봉에 있는 조선시대 황씨 부인을 모신 신당으로
순조때 당리에 살던 우씨의 부인 황씨가 시어머니의 학대를 못이겨 일월산에 올라가
산삼캐는 사람들의 움막에서 자결하였다. 가족들이 사방으로 수소문 하였으나 찾지 못하다가
며칠뒤 같은 마을에 사는 이명존이라는 사람의 꿈에 현몽하여 시체를 거두게 되었다
그 뒤 다시 현몽하여 자기를 위하여 당사를 세워 주기를 부탁하므로, 이씨는 곧 현위치에
넋을 위로하는 당집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한다. 1976년 당 옆에 산령각을 지었다↓
외씨버선길 안내도↓
외씨버선길 7길 치유의 길 안내도↓
외씨버선길 봉화연결길 안내도↓
외씨 버선길 제멋대로 우체통
우편발송일자를 정해지지 않고 임의로 보내는 방식의 우체통
엽서가 비치되어 있어 누구라도 자유롭게 작성하여 보낼수 있다.↓
♥
뉴마포 산악회의 덕산지맥 출정을 축하 하려고 수술회복중이신 김규훈 고문님과
전 총무였던 고성순님께서 참석하였는데...고총무님은 맛있는 떡까지 준비를 했다.
지맥 산행을 하는 사람들을 주축으로 뉴마포산악회로 출범은 하였지만...
아직은 산행시작 한지 얼마안되고, 코로나19의 여파로 조금은 덜 활성화 된 상태지만,
회원들의 산악회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과 애착 그리고 적극적인 참여등이 있어
앞으로는 점점 참여율도 높아지고 활성화될 것 같습니다.
덕산지맥 첫구간 무사 산행후 올해 들어 처음으로 맛있는 수박 파티가 있어
더욱 행복한 덕산지맥 출정식이 되었던 날이였습니다.
'낙동정맥상 지맥 > 덕산지맥(2021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산지맥5구간[광산고개-▲381.6m-가티-▲332.6m-합수점(반변천/낙동강)]산행 (0) | 2021.07.09 |
---|---|
덕산지맥4구간(위동재-×355.9m-뱃티재-▲374m-금댕이재-×395.7m-277.4m-광산고개) (0) | 2021.07.02 |
덕산지맥3구간[논골재-▲597m-장갈령(566.7m)-▲580.9m-표대봉(▲550.6m)-위동재] (0) | 2021.06.27 |
덕산지맥2구간(오미재-일월재-1,054.3m-수리봉-행화산-덕산봉-행전봉-논골재)산행 (0) | 2021.06.19 |
덕산지맥(德山枝脈)이란 ? (0) | 202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