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남정맥상 지맥/쌍령지맥(2021완)

쌍령지맥2구간(뱃고개-신선봉-백련봉-덕암산-부락산-진위천/안성천 합수점)산행

by 山頂 2021. 1. 22.

쌍령지맥2구간(뱃고개-신선봉-백련봉-덕암산-부락산-진위천/안성천 합수점)산행

 

♧ 산행일시 : 2021.01.20. 수, 날씨 : 맑음

산행참여 : 4명(산정,입산,만두내외)

♧ 산행교통 - 대중교통

       - 갈때 : 05:08 중동역전철05:30 온수역7호선 환승

                    06:30 서울고속터미날(경부)용인터미날행 탑승(3,300원)

                    07:30 용인터미날출발 22-1(안성터미날행)버스 탑승

                    08:10 세방전지입구 버스정류장 도착

      - 올때 : 17:10 신대리정류장(신대삼거리) 10번버스 탑승

                   17:20 평택역(평택시외버스터미날)도착

                   18:55 평택역에서 청량리행 급행전철 탑승

                   20:00 영등포역에서 동인천행 급행 전철 탑승

 산행구간 : 뱃고개-신선봉-백련봉-덕암산-부락산-진위천/안성천 합수점

 산행거리 : 33.03km

 산행시간 : 8시간38분(08:18~16:57)

산행 주요지점 이동시간

      08:18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이현리(세방전지입구버스정류장/화남산업)산행시작

      08:28 지맥능선 접속

      08:46 ×183.6m

      08:52 덕우리고개

      09:18 헬기장

      09:24 신선봉(×322.3m)

      09:43 공군부대 정문(도로)

      09:57 만세고개(23번도로)

      10:10 ×223m

      10:25 ×195m(쉼터/최만리안내판)

      10:36 백련봉(×235.2m)

      10:55 ×155m

      11:13 산하리고개(지문로2차선차도)

      11:21 헬기장봉(좌틀)

      11:28 경부고속도로 수로

      12:01 몽골고개

      12:09 부엉바위(168.3m)

      12:30 덕암산(▲164m)

      12:52 ×162.9m(산불감시초소/정자)

      13:02 ×116m(정자)

      13:06 큰흔치고개(317번도로 생태통로)

      13:12 작은흔치고개

      13:25 부락산(×150.5m)

      13:42 도로접속(은혜로벚꽃길)우측진행

      13:48 도로사거리(송탄IC방향진행)

      13:58 추담휴먼시아어린이집(우틀)

      14:04 씨앤씨모터스(좌틀)

      14:07 개성집(우틀)

      14:09 석정교(우틀)

      14:24 ▲89.5m

      14:27 상가재 고개

      14:38 광동제약사거리

      14:47 고가도로직전 좌틀

      14:58 용우물소공원(좌틀/삼성전자캠퍼스를 지남)

      15:29 주경빌딩에서 우틀

      15:41 방축2리사거리(좌틀)

      15:47 서천사

      15:54 정자동삼거리(서천사입구)

      15:57 고덕교차로앞우틀

      16:09 고속철도하부 우틀

      16:31 진위천/안성천 합수점

      16:57 신대정류장 산행종료

♧ 산행트랙 : 쌍령지맥2구간(뱃고개-진위천/안성천 합수점)

쌍령2구간(뱃고개~합수점)산정.gpx
0.18MB

 

♧ 쌍령지맥2구간 산행기록 (뱃고개-진위천/안성천 합수점)

♧ 쌍령지맥2구간 등산지도

 

 

산행메모

 

 쌍령지맥 첫구간 산행후 장모님의 3주기 제사와 퇴계원 창고에서의 작업등으로

산행을 못하고 절기상 "대한" 날 쌍령지맥 졸업산행에 나서게 되었다.

도상거리가 약44km인 쌍령지맥을 두 구간으로 나누게 된것은 평택의 부락산을

지나면서 부터는 도심구간을 걷게 되기에 조금 긴거리지만 그렇게 해도 될것 같았다.

오후 부터는 기온이 올라간다고 했지만...아침에는 영하 10도를 밑도는 찬 기온이다.

용인터미날에서 커피를 마시며 시간을 기다렸다가 07:30분에 출발하여 안성터미날로 가는

22-1번 버스를 탔는데...조금 늦게 탔더니 버스에는 앉을 자리가 없다.

약40여분을 서서 가다가 내리기 직전에 잠깐 앉았다가 세방전지 입구정류장에서 내렸다.

08:18 용인버스터미날에서 22-1번 버스를 타고 약40분정도를 달려온 세방전지입구

정류장은 뱃고개를 지나 온곳이며...정류장 앞쪽에 HN 화남산업(주)건물이 보인다.

산행준비후, 뱃고개로 가지 않고, 화남산업(주)우측의 임도를 따라 지맥능선에 접속한다.↓

넓은 임도길은 잘되어 있어 편안하게 지맥 마루금에 접속할수 있다.

뱃고개에서 능선에 오르면 잡목능선을 지나야 하지만...임도를 잘 택한것 같다.↓

임도우측에 연등이 달려 있고...누각도 없이 노천에 석가여래부처님이 앉아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08:28  석가여래부처님이 있는곳을 지나 임도에서 산길을 잠깐오르면 지맥능선에 닿는다.

지맥 능선 우측 아래로는 절개지이고..우측으로 공장들이 보이는 능선을 오른다.

08:46  지맥능선에 닿은후 완만하게 고도를 올리며 약8분쯤 진행하면 183.6m봉에 닿는다.↓

183.6m봉 앞쪽으로 가야할 신선봉쪽이 높이 올려다 보이는데..

오토바이가 파놓은듯한 등로를 안부로 내려갑니다.↓

08:52  용인시와 안성시의 경계인 덕우리 고개 안부에 도착.

우측은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쪽이고

좌측은 안성시 양성면 산정리 입니다.↓

덕우리 고개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가 이어지고↓

09:10    이정표가 있는 285m봉에 닿습니다.↓

285m봉에서 바라본 가야할 헬기장봉과 좌측의 신선봉 풍경...↓

09:18  넓은 공터의 헬기장봉에 도착하고...

쌍령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신선봉으로 향합니다.↓

헬기장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앞쪽으로 보이는 신선봉 풍경↓

헬기장봉과 신성봉 사이에 있는 "오얀고개" 안부를 지나고↓

09:24   神仙峯(신성봉:322.3m)에 닿습니다.

신선이 살았을것 같지 않은 그정 평범한 산봉우리네요...

그래서 다음지도에는 "신성봉"이라 했는가..?↓

준.희님 표지판이 있는 봉에서 약1분쯤 진행하면

지도상 322.3m봉에 닿고...여기에도 작은 시그널이 붙어 있네요↓

신선봉을 지나면 오토바이가 파헤쳐놓은듯한 등로를 따라

안부로 내려가고...↓

09:31   안부에서 다시 올라 해발 305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305m무명봉에서 쌍령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지고

나무사이로 산능선에 군부대건물이 자리하고 있는 천덕산 자락이 보입니다.↓

305m봉을 내려서면 안부에 닿기전에...경고문이 서있고...

군부대지역으로 출입을 금지하는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뒤쪽으로 보이는 천덕산 풍경↓

안부를 지나 천덕산 방향으로 오르면

지뢰가 매설되었던 위험지대 안내판을 지나고↓

철조망과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만납니다.

이곳은 군부대가 아니기에...철조망을 넘어서 군부대쪽으로 향합니다.↓

철조망을 지나 오르면 폐임도를 만나고...

임도따라 오르면 군부대 정문과 연결되는 도로에 닿게 됩니다.↓

09:43   천덕산 전체가 공군부대가 자리하고 있는 군부대 정문앞에서

천덕산은 오르지 못하고, 좌측으로 도로 따라 만세고개로 향합니다.

군부대 정문을 지나 내려와서 뒤돌아본 풍경↓

군부대 정문에서 만세고개로 내려가는 도로↓

09:57   군부대 진입도로와 23번도로가 만나는 만세고개에 도착합니다.

23번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약200m쯤 도로를 진행하면 만나는 건물...

건물을 지나면 우측으로 묘지를 오르기 위해 만든 넓은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만세고개의 건물을 지나면 만나는 묘지오르는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지맥능선이 지나는 묘지 상단부에서 뒤돌아본 안성시 양성면 동항산업단지쪽 풍경↓

묘지를 지나 우측으로 휘어져 등로가 좋은 지맥능선을 이어갑니다.↓

10:10  쉬어갈수 있는 긴 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약223m의 쉼터봉을 지나고↓

10:13   계속해서 잘 만들어진 쉼터봉을 지납니다....

가끔씩 운동을 나온 인근 주민인듯한 사람들을 몇명 만나고...↓

10:20  우측은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와 좌측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경계에 있는 고개라 칠곡성은고개라 부르는듯...

 이정목이 있는 "칠곡 성은고개" 안부를 지납니다.↓

10:25   칠곡성은고개를 지나 오르면 사각의 평상과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약195m봉에 닿게되는데...쉼터 한편에 "최만리" 안내판이 있습니다.

다음지도에서는 이곳을 "시향봉" 이라 표시 했네요↓

시향봉에 설치되어 있는 "목숨을 건 간언, 최만리" 안내판↓

최만리의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바라본 백련봉 풍경

약300m의 거리에 있는데....굉장히 뾰족하게 보입니다.↓

백련봉 오르는 급경사의 계단길 등로...↓

10:36  백련봉(235.2m)정상부 풍경...

정상부에 커다란 바위위에 백련봉(235m)표지판, 평상과 쉼터 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편에 준.희표지판이 나무에 달려 있다.↓

백련봉에서 좌측으로 보이는 송탄시와 평택시 풍경↓

백련봉 북동쪽으로 보이는 군부대가 있어 그냥 지나올수 밖에 없었던 천덕산 풍경

천덕산(324m)은 안성시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양성면과 원곡면에 걸쳐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鎭山이라고 관련기록이 처음 등장하고, 이지역의 상징적

중심이 되는 산이였다. 천덕은 모든 만물을 생성케 하는 하늘이나 임금님의 큰 덕을

말하는 것이자 때로 길방(吉方)을 의미하기도 한다.↓

백련봉 정상에서 직진으로 내려가면 만나는 이정목에서

급좌측으로 꺽어져 지문리 방향으로 쌍령지맥 마루금이 이어진다.↓

10:46   185m봉에 오르기전에 좌측으로 우회하는 등로가 있었지만...

오르고 나니 무명봉에 지나지 않는다...급 좌틀하여 내려간다.↓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와 지문리의 경계인 고개 안부를 지나서 다시 오릅니다.↓

고개에서 올라서면 좌측으로 안성시 원곡면 지문리의 전원마을이 내려다 보이네요↓

지문리가 좌측으로 내려다보이는 절개지 능선에서 바라본 가야할 쌍령지맥 마루금 풍경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며 많은 무명봉을 지나게 됩니다.↓

10:58   많은 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약155m봉을 지나고..↓

대구 의산님이 붙여 놓은 

自彊不息은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

自天祐之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표지판을 지나서 좌측으로 갑니다.↓

11:13   안성시 원곡면 지문리의 "지문로" 2차선 차도가 지나는

"산하리 고개"에 닿습니다.

좌측은 원곡면 지문리이고, 우측은 원곡면 산하리입니다.

쌍령지맥은 도로를 건너 우측의 계단으로 이어집니다.↓

산하리고개에서 무명봉을 올랐다가 내려서면 우측으로 공장지대가 보이는 안부를 지나고...↓

11:21  헬기장이 있는 무명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헬기장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묘지대를 만나고...

묘지대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묘지대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1번 경부고속도로가 보이는 곳으로 내려서고

경부고속도로 아래의 포장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밑을

통과하는 수로 입구가 있는 곳으로 향합니다.↓

11:28   경부고속도로 아래의 수로 풍경...

여름에는 물이 있어 지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다행히 겨울철이라 수로안은 얼어 있어서 지나는데 무리가 없네요↓

경부고속도로의 수로를 빠져나오면 또다른 도로의 동그란 수로를 만나게 되는데...

동그란 수로를 지나지 말고...우측의 절개지를 올라 도로위로 올라선 후에..,

도로(삼봉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1:38   삼봉로(도로)에서 우측 임도로 들어섭니다.↓

임도를 따라 오르면 능선에 닿고...임도는 계속해서 좌측으로 휘어져

올라 묘지가 많은 곳을 지나 산등성이를 오릅니다.

묘지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잠시 쉬며 간식을 먹고 갑니다.↓

12:01   몽골고개 표지판이 붙어 있는 안부를 지납니다.

좌측은 평택시 도일동이고, 우측은 안성시 원곡면 산하리 입니다.↓

12:05  등로 삼거리의 긴급구조목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지는데, 직진으로 약0.2km거리에 있는

168.3m봉(부엉바위)을 다녀오려고 합니다.↓

12:09  삼거리에서 약4분쯤 오르면 닿게 되는 168.3m봉

봉우리 이름이 부엉바위인가 봅니다...

바위는 찾을수 없고...돌탑가운데에 "부엉바위" 표지석이 있네요↓

12:14   부엉바위(168.3m)에서 삼거리를 거쳐 내려오면 차돌고개 안부를 지나고↓

반바지 님이 붙여 놓은 "차돌고개" 표지판↓

차돌고개를 지나면 고도를 높이며 덕암산으로 향하게 됩니다.↓

12:19  넓은 공터에 쉼터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165m봉을 지나고↓

능선을 따라 완만하게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덕암산으로 오르는 등로 주변으로는 이정목과 쉼터등이 잘 정비 되어 있네요↓

무명봉을 오르고...↓

운동을 나온 시민들을 많이 만나며 산길을 따라 덕암산으로 오릅니다.↓

덕암산을 오르며 만나게 되는 정상부에 있는 큰 바위↓

12:30   덕암산(164m) 정상부 풍경

정상석과 삼각점(용인469/1983재설)이 있고,..

주변에 의자등 쉼터 시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덕암산 정상에서 약4.1km 거리에 있는 부락산 정상으로 향합니다.↓

덕암산 정상의 긴급구조목↓

잘 만들어진 덕암산 등산로를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12:35  번터고개 안부에 닿습니다.

좌측은 평택시 도일동이고, 우측은 안성시 원곡면 산하리입니다

등로는 직진의 계단길과 우측으로 우회하는 길 아무곳으로 가도 됩니다↓

번터고개를 지나서 올라서면 이후 등로도 잘 되어 있는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이정목이 있는 던지고개(원균장군묘 갈림길)삼거리에서 부락산 방향으로 진행하고↓

12:48  던지고개 코팅지가 붙어 있는 안부를 지납니다.

좌측은 평택시 도일동이고, 우측은 안성시 원곡면 산하리입니다.↓

12:52   던지고개에서 약4분쯤 완만한 능선을 오르면 사각정자와

산불감시초소, 그리고 쉼터와 운동시설이 있는 162.9m봉에 닿습니다...

쌍령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62.9m봉의 준.희 표지판과 산불감시초소 풍경↓

162.9m봉에서 내려가면 커다란 돌무더기가 있는 능선을 지나고...↓

완만하게 오르내리는 능선을 지납니다.↓

13:01  사각정자가 있는 무명봉을 지나고..↓

13:06   317번 도로가 지나는 "큰흔치(대백치)고개"에 내려섭니다.

고지도에 이고개를 흰치고개라는 이름으로 붙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큰 흰치고개는 평택에서 가장 험로였다고 합니다.

험로를 넘어 한참 걸어내려가다가 첫 번째 만나는 주막이 도일동과

장안동의 경계에 있었던 감주거리 주막이었습니다.

지친 여행자에게는 감주거리 주막에서 마시는 시원한 막걸리 한잔이

꿀맛이었을 것입니다....이곳에서 조금 더 가면 작은흰치고개에 닿게 되고...

큰흔치고개는 생태통로가 있어 317번 도로위로 지납니다.↓

생태통로를 통해서 큰흔치고개(317번 도로)를 건너서 완만하게 능선을 하나 넘어 갑니다.↓

13:12  작은흔치 고개에 닿습니다.

포장도로가 지나는 사거리로, 좌측으로 내려가면 평택시 장안동이며 음식점들이 있다.

식수대와 에어먼지털이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동나온 많은 시민들을 만나게 된다.

작은흔치고개 우측은 평택시 지산동으로 연결된다.↓

작은흔치고개에 있는 평안(평택,안성)해오름길 종합안내도↓

삼남대로와 흔(흰)치고개 안내판↓

작은흔치고개를 지나면서 부터는 운동나온 평택시민들과 함께 능선을 걷게 된다.

등로도 잘되어 있는데다가, 능선길이 완만해서 걷기에 무척 편안하다↓

13:25   부락산(負樂山,佛岳山/150.5m)정상에 도착합니다.

경기도 평택시 지산동에 위치한 산으로 "여지도서"에 현의 남쪽 10리에 있고

양성현 천덕산에서 줄기가 이어져 온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진위읍지」에는 부락산(負樂山)이라 표기하고 "충청도 평택현이 바라 보인다"라는

설명을 덧붙여 있다. 이 부락산은 조선시대 진위현과 평택현의 경계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였다.

그래서 불악산보다 해발고도가 더 높은 동쪽의 덕암산에 대해서는 옛 문헌들이

잘 기록하고 있지 않는 반면에 불악산에 대한 기록은 쉽게 찾을수 있다.

(네이버지식백과글 인용)

원래 산이름은 불악산이였는데 음이 변하여 현재의 부락산으로 변경되었다고도 합니다.↓

부락산 정상석이 있는곳에서 좌측의 돌탑을 지나고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잘 만들어진 등산로를 편안하게 걸으며 쌍령지맥 산행을 합니다.↓

13:32  편안한 등로를 따라 가다가 의자와 이정목이 있는 삼거리에서

쌍령지맥은 은혜중고등학교 방향으로 급 좌측으로 휘어집니다.↓

13:42   삼거리에서 구불구불 내려가는 등로를 따라 진행하면

벚나무가 있는 2차선 도로(은혜로벚꽃길)에 내려서게 됩니다.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3:48  은혜로 벚꽃길을 따라 내려오면 "은혜중고등학교"표지판이 있는 사거리에 도착하고,

사거리 횡단보도를 건너서 원곡, 송탄IC 방향의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사실 이곳부터는 지맥능선이 도심개발로 없어진곳이며...지맥능선이 남아 있는

돌우물고개까지는 도심의 도로를 걷게 되는곳으로 될수 있으면 직선거리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왕복6차선의 "추담로"를 따라 약10분을 걸으면 만나는 사거리에서

건너편의 휴먼시아아파트 어린이집 방향(우측)으로 건너갑니다.

횡단보도앞에는 부락산둘레길 이정목이 있고...  "충의각" 방향입니다.↓

14:04  횡단보도를 건너 "충의각" 방향의 도로를 따라 진행하고 송탄고등학교를 지나서

만나게 되는 "씨앤씨 모터스"를 끼고 좌측으로 꺽어져 도로 따라 걷습니다.↓

14:07   씨앤씨모터스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를 따라 걸으면

좌측에 은혜와진리교회건물이 보이고, 우측에 개성집 간판이 보입니다.

쌍령지맥은 우측의 개성집 방향의 도로를 따라 진행됩니다.↓

14:09   302번 도로의 "석정교" 아래를 통과하여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석정교를 나오면 만나는 돌우물 표지석...

우측으로 도로 따라 약100m정도 진행하다가 좌측으로 휘어져 포장도로로 진행합니다.↓

석정교에서 우측으로 약100m 진행하여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를 따라가면

"린나이" "알파" 간판이 보이는 앞을 지나고..곧 이어 멋지게 지어진 민가를 지납니다.↓

89.5m봉 오르는 직진방향의 등로에 민가가 있어 우측의 임도를 따르다가

좌측의 밭을 지나서 소나무를 심어놓은 비탈을 오릅니다.

등로가 없고 간벌목과 잡목이 많아 잠간이지만..고생을하며 오릅니다.↓

소나무를 심어놓은 급경사 등로를 약100m정도 지나면

정상적인 등로에 닿고, 등로를 따라 좌측으로 올라갑니다.↓

14:24   마모된 삼각점이 있는 89.5m봉에 닿습니다.

나무의자가 있고, 운동나온 어르신이 쉬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89.5m봉에서 내려가면 만나는 안부 삼거리...

이곳에서 쌍령지맥 마루금은 우측의 소로를 따라야합니다..

좌측이나...직진으로 진행하면 안되요....↓

89.5m봉에서 내려와 만나는 안부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 만나는 임도...

임도를 따라 진행을 합니다.

도로를 따라 공사장 울타리가 쳐져 있는 곳을 지나서 광동제약 사거리로 향합니다.↓

광동제약 사거리로 내려가면서 우측으로 보이는 평택신도시 풍경↓

14:38  광동제약 사거리에 도착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으로 보이는 도로를 따라 장당교를 건너게 되고

이제 부터 진위천과 안성천이 만나는 합수점까지는 도로를 따라 걸어야 합니다.↓

광동제약 사거리 횡단보도를 건넌후에

장당마을 표지석이 있는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경부선 철도가 지나는 장당교를 건너고...

장당교를 건너서 좌측으로 진행하거나, 우측으로 진행해도 되나

우리는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장당교를 건너 고덕지구의 고가차도가 있는곳 까지 걷습니다.

좌측으로는 "삼성전자 평태 캠퍼스"가 보입니다.↓

14:47  고가차도 직전에 좌측으로 휘어져서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좌측으로는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가 있습니다.↓

14:58   용우물 소공원이 있는 사거리에 도착합니다.

잠시 휴식을 갖습니다...많은 삼성맨들이 오가는 모습들이 보입니다.

용우물 소공원에서 좌측으로 꺽어져 도로를 따라 걷게 되는데...

역시 좌측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가 있습니다↓

용우물 소공원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좌측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두고 도로 따라 계속해서 걷습니다.

결국은 장당교를 건너서 삼성전자 평택캠프스를 빙빙 돌아왔네요...↓

좌측에 여염근린공원을 지나고...삼성물산 내,외부캠프를 지나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15:29   평택~제천간 고속도로위를 지나고...

지제교차로 직전에 있는 주경빌딩앞의 우측 이면도로로 진입합니다.

이면도로에 들어서면 우측에 7 Eleven건물이 보이고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차선이 없는 포장도로를 걷습니다.

도로 확장공사중이라...도로에 물도 차고..비포장된곳도 만나고↓

방축리 마을 사거리에서 좌측의 건물에 그림이 그려져 있는 방향으로 휘어져 갑니다.↓

방축2리 마을 도로를 따르다가 우측의 임도를 따라 서천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임도를 내려서면 서천사 건물뒤에서 앞쪽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15:47   서천사 앞에 도착합니다.

서천사(署千寺)는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리 103-1번지 장안산에 있는

조계종에 속했다가 태고종의 선교종에 속한 사찰입니다.

절에서 소장하고 있는 종단 기록에 1352년 나옹화상이 창건하였으며

1623년 인조반정때 전소된 후에 1870년에 승려 동파가 미륵불을 발견하여

사찰을 중창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사명대사가 승병을 이끌고

주둔했던 곳으로 전해지며 그후 1929년에 중창불사가 있었다가 1953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1954년에 법당을 짓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서천사 경내에는 현재 석조여래좌상을 모시고 있는 주 법당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각령전, 선훈당, 안월당등의 건물과

지장보살존상,미륵불, 오층석탑. 산신각등이 있다.↓

서천사를 지나서 좌우로 넓은 논들이 자리하고 있는 도로를 따라

정자동 삼거리(서천사 입구)로 향합니다.↓

15:54   평택시 "서동대로"가 지나는 정자동 삼거리에 도착하고...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 고덕교차로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정자삼거리 횡단보도앞에 있는 서천사 입구 표지석↓

15:57  고덕교차로 직전에 우측으로 휘어져 베스틸(주)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고덕교차로를 반원을 그리듯이 도로를 따라 지나고...↓

우측으로 휘어져 고속철도 방향으로 진행하고....

고속철도밑을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휘어져 고속철도밑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고속철도 밑을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걷게되는 풍경...

배수로의 수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는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진위천 뚝방으로 향하게 됩니다.↓

좌,우측으로는 논이 있고, 논가운데로 곧게 뻗은 농로를 따라 진위천 뚝방길로 향합니다.↓

16:20  진위천 뚝방길에 올라섭니다.

진위천 위로 새로운 철도가 개설되고 있는듯...교각이 지나고 있네요

진위천 둑방길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새로게 건설되는 철도밑을 지나고

좌측에 붉은색지붕이 있는 건물은 "양지바른" 양계장입니다 ↓

진위천 위를 지나는 교각 풍경↓

둑위에서 바라본 진위천 풍경

둑위에서는 합수점이 잘보이지 않습니다...

억새와 잡목이 뒤엉켜 자라고 있는 곳으로 내려가 합수점을 보려고 합니다.↓

좌측 안성천과 우측의 진위천이 만나는 합수점 풍경↓

합수점에서 바라본 진위천위의 철도 교각↓

16:31  쌍령지맥의 산줄기도 좌측의 안성천과 우측의 진위천이 만나는

이곳에서 강으로 잠기며 그 여맥을 끝냅니다.↓

합수점으로 내려왔다가 갈대밭을 헤치고 둑방으로 다시 오릅니다.

그나마 겨울이라 이곳에 내려올수 있었지만...

다른 계절에는 절대 올수 없을것 같네요...아쉽지만 둑위에서 합수점을 보시길...↓

둑방에 오르면 여기부터 국가하천 안성천입니다 표지판을 만나고...

둑방길을 따라 평택역으로 가는 버스를 탈수 있는 신대교까지 걸어갑니다.↓

둑방에 올라와 바라본 진위천과 안성천이 합수되는 곳을 다시 한번 봅니다.↓

16:36  여기부터 지방하천 도일천 표지판을 지납니다....

도일천 둑방길을 걸어서 철도밑을 지나게 됩니다.↓

16:48   도일천 위에 놓인 다리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건너고...

도일천의 우측 둑방길을 따라 신대교로 향합니다.↓

도일천 우측 둑방길을 따라 걷습니다...앞쪽으로 신대교가 보입니다.↓

평택시 신대동에 있는 "신대교"밑을 지나서 우측으로 가면 신대삼거리입니다.↓

16:57   평택시 신대동 신대삼거리에 있는 신대리버스정류장에서

쌍령지맥 종주 산행을 마칩니다.

이곳에 정차하는 버스는 모두 평택역으로 향하는 버스 입니다.↓

신대리 버스정류장에서 평택역으로 가는 버스는 자주 있습니다.

약10분을 기다려 10번 버스를 타고 약10분후에 평택역앞에 도착합니다.

평택역앞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며 조촐하게 쌍령지맥 졸업 뒷풀이를 겸하고...

나는 평택역에서 기차를 타고, 나머지 일행은 시외버스터미날로 향합니다.

평택역앞 좌측편에는 동남아쪽 음식점이 많았으며 일반 한식의 음식점을 찾느라

 10여분을 헤매였네요... 평택역에서 서울행 기차는 19시45발 이전에는 모두 매진이였고...

코로나19로 입석표 조차 팔지 않아 18:55발 청량리행 급행전철로 귀가 했습니다.

그간 함께 했던 산우님들과 서로 의지하며 어려운 산행을 무사히 종주할수 있었네요

산행을 계획하고 선두에서 수고 했던 전찬두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