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령지맥1구간(분기점-457.7m-쌍령산-염티-258.4m-범티고개-봉황산-뱃고개)산행
♧ 산행일시 : 2021.01.12. 화, 날씨 : 오전맑음&오후 눈
♧ 산행참여 : 4명(산정,입산,만두내외)
♧ 대중교통
- 갈때 : 07:20 서울고속터미날(경부)용인터미날행 탑승
08:10 용인터미날 도착(버스비3,000원)
08:25 용인터미날출발 창촌행(22번)버스 탑승
09:00 장촌버스종점도착 산행시작
- 올때 : 15:55 이현교차로(이현리버스정류장)에서 22-1번 버스탑승
16:35 용인터미날 도착
16:40 용인터미날에서 김포공항행(부천경유)시외버스탑승
19:40 부천상동역1번출구 하차
* 버스비 6,000원
♧ 산행거리 : 19.6km
♧ 산행시간 : 6시간15분(09:00~15:15)
♧ 산행트랙 : 쌍령지맥1구간(쌍령분기점-쌍령산-뱃고개)
♧ 쌍령지맥1구간 산행기록 (장촌~병목골 임도 오록스앱 작동안함)
장촌~병목골임도 + 임도~분기점 추가 거리↓
♧ 쌍령지맥1구간 등산지도
♧ 산행 주요지점 이동시간
09:0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장촌버스정류장)산행시작
09:15 임도삼거리(임도차단기)
09:34 이정목(학일리←2.0km, 미리내성지↑2.43km)
09:43 ×395.9m
10:02 ▲407.9m(상원봉)
10:30 457.7m
10:46 쌍령산(정상석 502m)
10:59 ×430.6m
11:15 ▲377.5m(쌍영산)
11:25 ×355m
11:37 ×292m
11:43 ▲268.5m
11:58 염티
12:12 ×258.4m(우틀)
12:50 마에스트로CC
13:04 82번도로지하통로(방고개)
13:18 ×155m봉
13:25 신안 골프장
13:39 ×205m
13:43 범티고개
13:48 ×196.3m
14:01 봉황산(259.3m)
14:10 파인크리크 골프장
14:21 봉림산(▲256.2m)
14:42 배티
14:49 ×134.3m봉
15:16 이현교차로(314번도로 이현버스정류장/뱃고개)산행종료
산행메모
신축년 새해를 맞아 지난주에는 보령의 성주지맥 산행을했고
두번째주에는 용인의 문수봉에서 약1.6m떨어진 곳에서 분기하여
평택 진위천까지 가는 산줄기인 쌍령지맥 산행을 시작하려한다.
쌍령지맥은 한남정맥이 안성의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김포의 문수산을 향하여
북서진하며 도덕산, 국사봉, 구봉산을 일구고 용인의 문수봉에서 북으로 앵자지맥과
독조지맥을 분기하고 서쪽으로 1.6km를 가서는 다시 서쪽으로 한줄기(쌍령지맥)을
떨구고는 함박산, 부야산, 석성산으로 올라간다.
서쪽으로 떨구어진 산줄기는 쌍령산(502m), 또다른 쌍령산(377.5m), 봉황산(259.3m)
천덕산(322.3m), 백련봉(235.2m), 덕암산(164m), 불악산(149.4m)을 지나고
평택의 동고리앞 진위천이 안성천에 합류하는 지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43.6km의 산줄기를 쌍령(진위)지맥이라 한다.
산줄기의 우측의 물은 진위천으로 , 좌측의 물은 한천과 안성천으로 흘러든다.
쌍령지맥도 두 구간으로 나누어 종주를 마치려고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지맥산행을 하려면 늘 첫구간때는 분기점까지 닿는게 어렵다.
쌍령지맥의 분기점으로 가기 위해서는 용인터미날에서 출발하여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 장촌종점을 운행하는
22번 버스를 이용하여 분기점에 오르는게 제일 적당하다.
용인터미날서 22번 버스 출발시간이 평일 07:00, 07:30, 08:25, 08:50, 09:30 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날에서 07:20에 출발하는 용인터미날행 버스를 타면 약40분 소요되고
용인터미날에서 08:25에 출발하는 22번 버스를 타고 약35분 정도를 달리니
장촌 종점에 도착하게 되고, 산행준비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쌍령지맥의 첫구간에는 골프장을 세군데나 지나야 하기에 고충이 많다.
매서운 찬바람도 불고, 눈이 쌓여 있으니...오늘은 골프를 치는 사람들이 없어서
무난히 골프장을 지날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
09:00 용인버스터미날에서 22번 버스를 타고 약35분정도를 달려 장촌 종점에 내린다.
도로 한쪽에 덩그러니 겨울을 지키고 있는 버스정류장에서 산행준비를 한다.
장촌버스종점 풍경↓
버스종점에서 318번도로를 건너고
앞쪽으로 보이는 카페테라스를 보면서 가다가 우측 도로(이원로)를 따른다.↓
눈이 덮혀 있는 넓은 임도의 "이원로"를 따라 계속해서 올라간다.↓
넓은 "이원로" 비포장인지..포장도로인지 눈이 덮혀 알길이 없다
도로 표지판 을 지나고...↓
좌측으로는 민가가 보이고...임도 차단기가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임도차단기를 들어선후에 좌측으로 비포장 임도를 따라 오른다.↓
임도차단기를 들어서면 만나는 이정표..
쌍령지맥 분기점인 "바사리고개"까지 임도를 따라 오르면 된다.↓
바사리고개 가기전에 임도를 따르지 않고, 직진으로 오르는 표식기가 보인다.
올라서면 바사리 고개(분기점)를 지난 임도에 닿게 된다.
임도에 닿은후에 분기점을 다녀오려면 좌측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
임도를 버리고 직진의 눈덮힌 산길의 잡목을 헤치고 오르면 만나는 임도..
사진은 우측 쌍령지맥길이고...좌측으로 쌍령지맥 분기점이 있다...↓
좌측으로 임도를 따르다가 우측 나무계단을 오릅니다.↓
쌍령지맥 분기봉인 사각정자가 보입니다.↓
쌍령지맥 분기봉의 이정목...
문수봉이 1.6km, 쌍령지맥의 쌍령산이 4.3km 떨어져 있네요↓
사각정자의 대들보에 매달아놓은 "쌍령지맥 분기점" 준.희표지판↓
사각정자에서 우측의 임도를 따라 쌍령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좌측으로 보이는 산이 쌍령지맥의 주산인 "쌍령산"입니다.↓
09:34 임도에서 만나는 이정목
미리내 성지(애덕고개) 방향으로 계단을 올라서며 임도를 벗어나
본격적으로 쌍령지맥의 산길로 접어듭니다.
은이성지에서 미리내 성지까지 가는 길에는 험한고개 셋이 있는데
이 고갯길은 한국인 첫번째 사제 성 김대건안드레아가 생전에 미사를
거행하고 성사를 집행한 사목활동을 위해 넘나들던 행로였고
순교후에는 이민식 빈첸시오에 의해 신부님의 유체가 옮겨진 경로이다.
예부터 천주교 교우들은 이고개를 신덕고개(은이고개), 망덕고개(해실이고개)
애덕고개(오두재고개)라고 부르며, 지금껏 도보 순례를 하면서 성 기대건 신부님의
고귀한 순교 신앙 저신을 기리고 있다고 합니다.↓
산길에 들어서 오르막을 올라선후 다시 송전탑이 있는 곳을 지나 오르고↓
09:43 395.9m봉에 도착합니다.
쌍령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미리내성지(성지순례길)방향으로 내려갑니다.↓
09:51 395.9m봉에서 내려갔다가 살짝 무명봉을 올라섭니다.
318번 도로의 문수산터널이 무명봉 아래로 지나는 곳입니다.↓
10:02 문수산터널이 있는곳에서 약11분가량을 눈길을 올라서면
삼각점이 있는 407.9m(상원봉)에 닿습니다.↓
407.9m봉에 붙어 있는 반바지님의 상원봉(408m)코팅지↓
407.9m봉의 삼각점(안성446/1998재설)
10:10 상원봉(407.9m)에서 약8분쯤 내려오면 안부에 닿고↓
안부에 있는 이정목...쌍령산이 2.06km를 더가야 합니다.↓
안부를 지나면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0:17 396m봉에 닿습니다.
봉우리 뒤쪽으로는 가야할457.7m봉이 높아 보이네요↓
396m봉을 내려서면 만나는 이정목..
이정목을 지나며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커다란 송전탑을 만나고, 송전탑 뒤의 절개지 우측 사면으로 오릅니다.↓
457.7m봉을 오르는 절개지 사면의 등로↓
10:30 작은돌탑과 이정표 날개가 땅에 떨어져 있는 457.7m봉에 닿습니다.
나무높이 맨발님의 쌍령지맥 457.7m 표지판도 있습니다.↓
457.7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오르면 무명봉을 지나고...↓
미리내 성지 갈림길을 지납니다.
쌍령산은 직진으로 가고..미리내 성지는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커다란 돌들이 능선을 차지하고 있는 곳을 지나고...↓
암릉 앞쪽으로 쌍령산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10:46 쌍령지맥의 주산인 쌍령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커다란 정상석의 한쪽은 한문으로 雙嶺山을, 또 한쪽에는 한글로 써 놓았네요
쌍령산의 위치는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과 안성시 고삼면, 양성면의 경계에 있으며
해발 502m로 해주 오씨 종중이 소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양지현 편에 성륜산(聖輪山)은 옛날 양지에 있다고 하여
관련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성륜산은 쌍령산의 옛 이름으로 여기서 성륜이란
성스러운 바퀴 즉 불교에서의 법륜(法輪)을 뜻하는 말이라고 할수 있다.
법륜은 불교에서 전륜왕의 금륜이 산과 바위를 부수고 거침없이 나아가는 것에
비유하여 부처의 교법을 이르는 말이다. 성륜산에 쌍령사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고려때 백운선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쌍운암터가 쌍령사가 있던
자리로 추측하며, 조선후기 이후에 사찰은 사라지고 산이름이 성륜산에서 쌍령산으로
변화된것이 아닌가 한다. 쌍령은 커다란 산봉우리 두개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고 하여
그렇게 불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네이버 백과글 인용)↓
쌍령산 정상에서↓
쌍령산 정상에서↓
정상석이 있는 곳을 지나면 정상부는 넓은 헬기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쌍령지맥은 헬기장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0:59 쌍령산 넓은 헬기장에서 내려섰다가 잠시 오르면
커다란 소나무에 430.6m 맨발님 산패가 붙어 있는 곳에 닿습니다.↓
430m봉을 지나면 고도를 낮추며 고만고만한 봉우리들을 오르내립니다.↓
11:09 395m봉을 오르고...
395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안부에서 예지촌 갈림길 이정표를 만나고..↓
11:15 예지촌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377.5m봉에 닿고,
코팅지에 쌍영산이라 써 붙여놓은것이 보입니다.↓
삼각점이 있는 377.5m봉의 준.희님 표지판↓
377.5m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바위가 있는곳에서 좌측으로 우회하여 내려가고...↓
오토바이들이 파헤쳐놓은 등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등로가 많이 훼손되어 있어 안타깝네요...↓
좌측으로 "쌍령" 내려가는 갈림길을 지나고...
지맥길은 정동.봉지곡 방향의 직진입니다.↓
쌍령갈림길을 지나고 나면 쉼터 의자와 이정목이 설치되어 있는 안부에 닿습니다.
우측으로는 염티마을 내려가는 길이고...지맥길은 직진입니다.↓
무명봉을 지나고 안부에 내려서면 염티.봉지곡, 정동.봉지곡 갈림길을 지나고↓
오토바이의 흔적으로 골이 깊이 파인 등로를 내려갑니다.↓
고도를 낮추던 등로가 안부에서 다시 눈길을 올라서고↓
11:43 쌍령지맥 268.5m 준.희표지판이 붙어 있는 봉을 지납니다.↓
인근 주민들의 산책로로 많이 이용되는 산길인듯...
이정표가 일정한 간격으로 잘 설치되어 있네요↓
쌍령지맥 마루금은 고도를 낮추며 우측으로 휘어져 염티로 내려갑니다.↓
11:51 염티로 내려가다가 무명봉 약245m봉을 잠시 오르고...↓
245m봉 우측으로는 안성시 양성면 노곡리쪽 마을 풍경이 나무사이로 보이네요↓
245m봉에서 염티로 내려가는 등로↓
11:58 염티에 도착합니다.
안성시 양성면 노곡리에 있는 고개로
소금장수들이 많이 살았던 마을이라 염티마을이라 부르던 것에서
고개이름이 붙여진듯하다.↓
염티 이정표
우측이 안성시 양성면 노곡리 염티마을 쪽이고
쌍령지맥은 임도를 건너 직진으로 오른다.↓
오토바이의 바퀴자국이 깊게 파여 있는 끝에
"염티" 표지판이 붙어 있다.↓
염티에서 완만하게 오르막 등로를 약15분가량 오른다.↓
12:13 지도상 고도표시된 258.4m봉에 닿는다.
이곳에서 쌍령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넓은 임도를 내려간다.↓
임도는 산등성이를 휘돌아 골프장쪽으로 내려갑니다.↓
골프장 내려서기 직전에 알수 없는 삼각점을 하나 만나고...↓
12:50 마에스트로 골프장의 카트 길에 내려섭니다.
그린위에 내린 눈이 아직 녹지 않아서인지..골프를 치는 사람은 없네요
카트길을 따라서 앞쪽으로 보이는 골프장 건물쪽으로 향합니다.↓
마에스트로 골프장은 텅비어 있는듯 합니다.
골프를 치는 사람이 없어 얼마나 다행인지...
제지하는 사람이 없어 마음 편하게 건물좌측을 지나 정문 방향으로 나갑니다.↓
정문을 나서는 도로 우측으로 마루금이 지나는데...
그곳을 오르면 절개지가 가로 막고 있어 방고개로 내려가지 못하고
다시 도로로 내려와 82번 도로를 건너야 하기에
능선은 생략하고...도로 따라 골프장을 벗어 납니다.↓
13:04 골프장 도로를 내려오면 만나는 2차선 차도 앞쪽으로
82번 도로를 건널수 있는 하부통로가 보입니다.
쌍령지맥을 이어가기 위해서 하부통로를 건너서 산길로 올라야 합니다.↓
82번 도로의 하부통로를 빠져 나온후 우측으로 보이는 산으로 오릅니다.↓
절개지 능선에 오르면 82번 도로가 지나는 방고개가 보입니다.
방고개 뒤로 큰건물뒤의 절개지가 보이는 산이 골프장을 나오면서 생략한 산이고..
우측이 마에스트로골프장입니다...멀리 뒤쪽으로 쌍령산도 보이네요↓
하부통로를 올라선 절개지를 지나고 나면 좋은 등로를 만나고
우측으로 보이는 약155m봉으로 향합니다.↓
13:18 약155m의 무명봉에 닿습니다...
봉우리 좌측에 의자2개가 놓여 있고, 커다란 송전탑이 우측으로 보입니다.
좌측으로 휘어져 내렸다가 올라가 신안골프장으로 향하게됩니다.↓
13:25 신안골프장 카트길에 내려섭니다.
이곳도 골프치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네요...
산아래의 카트길을 따라 갑니다.↓
신안 CC 의 오렌지코스 4번홀 뒤쪽의 쉼터가 보이고...
쉼터 뒤쪽의 절개지가 보이는 봉을 올라야 합니다.
절개지 우측으로 약205m봉을 오릅니다.↓
절개지 우측으로 올라야할 205m봉 풍경↓
205m봉 오르는 절개지 사면은 급경사에다가 눈까지 있어서 오르는데 애를 먹지만....
절개지를 오르다가 잠시 지나온 골프장쪽 풍경을 보면서 마음을 추스립니다.↓
13:39 힘들게 오른 205m봉은 그냥 무명봉입니다.
아무런 표식도 없이 시그널만 달려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13:43 약205m봉에서 4분쯤 내려오면 "범티고개" 안부에 닿습니다.↓
13:48 범티고개에서 약5분을 오르면 196.3m봉에 닿습니다.↓
196.3m봉 좌,우측의 아래로는 골프장이 있는 능선을 따라
완만하게 고도를 높이며 봉황산으로 향합니다.↓
13:58 봉황산 갈림길... 이곳에서 쌍령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지지만,
좌측으로 약3분거리에 있는 봉황산을 다녀오려 합니다.↓
14:01 봉황산(259.3m)에 도착합니다.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가유리에 속해 있는 산인데..
산이름과 달리 산정상부는 그저 평범한 산봉우리에 불과합니다.↓
봉황산에서 다시 되돌아 내려와 봉황산 갈림봉을 지나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14:10 파인크리크 CC 도로에 내려서고....
도로를 따라 골프장 건물이 있는 곳으로 진행합니다.↓
이곳 골프장은 골프를 치는 사람들이 있나봅니다.
건물앞에 많은 차량들이 주차되어 있네요....
그러나 이곳을 지날때...제지를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건물이 있는 곳을 지나면 우측에 주차장이 보이고..
직진 방향의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진행하여 골프장을 벗어 납니다.↓
골프장을 벗어나 임도를 따라 계속진행하면
봉림산 오르는 산길을 만나고...↓
14:21 삼각점이 있는 봉림산(256.2m)에 도착합니다.
봉림산에서 쌍령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집니다(독도주의)↓
256.2m봉의 봉림산 표지↓
봉림산 삼각점...글씨는 마모되어 있고...눈까지 덮혀 있어 알아볼수가 없네요↓
봉림산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을 헤치고 약13분정도 내려가
파인크리크 골프장으로 향합니다.↓
봉림산에서 내려오면 만나게 되는 파인크리크 CC 카트길 풍경
카트길 좌측으로 약10m진행후 우측의 골프장 가장자리의 카트길을 따라
좌측으로 진행하다가 우측의 산으로 올라야 합니다.↓
파인크리크 골프장 카트길에서 우측의 길도 없는 비탈을 오릅니다.↓
14:35 송전탑이 있는 무명봉에 닿고...
송전탑 아래를 지나 등로를 내려갑니다.↓
잡목이 많치만...어렵지 않게 "배티"로 내려갑니다.↓
14:42 송전탑이 있는 무명봉에서 약7분쯤 내려오면 "배티" 에 도착합니다.
마을입구에 배나무가 있어서 "배티"라고 부르게 되었다네요↓
배티를 지나는 임도를 건너 다시 산길을 완만하게 오릅니다.↓
배티를 지나면서 부터는 지맥은 완만하게 능선을 오릅니다.↓
묘지가 많은 곳을 지나고....묘지 끝에서 좌측의 임도를 따릅니다.↓
14:49 맨발님의 표지판이 붙어 있는 쌍령지맥 134.3m봉에 도착합니다.↓
134m봉을 지나면 넓은 임도를 따라 산길을 내려갑니다.↓
쌍령지맥 능선에 파란철망 울타리로 둘러 쌓여 있는
알수 없는 장소를 만나고...능선을 지날수 없어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이현리로 내려갑니다.↓
아주 넓게 터를 잡고..파란 철망 울타리로 둘러 쌓여 있는 곳을
우회하여 이현리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민가(이현배티길67-16)를 통해서 마을 도로에 닿습니다.
우측으로는 세방물류 센타가 자리하고 있어 뱃고개로 갈수가 없습니다.↓
이현리 마을길을 따라 내려가 이현교차로로 향합니다.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 있는 이현리는 뱃고개 밑에 위치한다 하여
이현이라 하였으며, 자연마을로는 배티마을이 있다.
배티마을의 지명은 이 마을 입구에 배나무가 많아 배터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현교차로 우측으로는 천안물류 건물이 보이고...↓
15:12 이현교차로에 도착 하고....
이현교차로 우측의 45번 도로 "이현교" 하부를 지납니다.↓
45번 이현교 하부를 지나면 만나는 "이현리" 버스 정류장
이곳에서 쌍령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칩니다.
우측 용인방향으로 뱃고개가 있으며...
쌍령지맥 다음구간도 이곳에서 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
이곳 이현리 버스정류장에서 용인터미날 가는 버스는 22-1번이
약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용인터미날까지는 약40분 소요 됩니다.
용인터미날에서 출발하는 22번, 22-1버스 운행 시간표↓
용인터미날 출발 시외버스 시간표↓
'한남정맥상 지맥 > 쌍령지맥(2021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령지맥2구간(뱃고개-신선봉-백련봉-덕암산-부락산-진위천/안성천 합수점)산행 (0) | 2021.01.22 |
---|---|
한남 쌍령(진위) 지맥 이란?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