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상 지맥/성지지맥(2015완)

성지지맥(聖地枝脈), 주읍(注邑)지맥이란 ?

by 山頂 2020. 11. 29.

성지지맥(聖地枝脈)이란 ?

 

성지지맥(聖地枝脈)은 백두대간 오대산 두로봉에서 오대산, 계방산

용문산을 지나 양수리 두물머리로 이어지는 한강기맥 금물산에서

서남쪽으로 가지를 쳐 섬강이 남한강에 합수되는 여주군 강천면

강천리까지 이어지는 도상거리 55.9km되는 산줄기를 말한다.

섬강의 좌측 분수령이되며 성지봉(788m), 도덕고개, 벗고개,턱걸이고개

삼각산(958.3m), 구둔치,서화고개,분지고개, 성주봉(343m)

뚜갈봉(216m), 창남이고개, 자산(246m)을 지난다.

 

주읍지맥이란?

 

주읍지맥은 성지지맥 상 삼각산(538.3m) 부근 ‘441m봉’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쳐 수리봉(461.3m), 한치고개, 느보산(324.3m), 전양고개

 매봉산(300.8m), 배미산(395.2m), 고길고개, 주읍산(582.6m), 개군산(237.9m)

 화전고개를 거쳐 흑천이 남한강에 합수되는 양평군 개군면 앙덕리까지

약 30km에 이르는 산줄기를 말한다.

 

본산줄기의 최고봉인 주읍산(추읍산)은 지형도에는 추읍산(趨揖山)

그리고 고시된 지명은 주읍산(注邑山)으로 되어 있는데, 신산경표의

박성태님께서 "주읍지맥"으로 명명하여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신산경표에서 157개 지맥을 명명한 이후에 2016년에 추가된 지맥이다.

 

 

[성지지맥 개념도]

[주읍지맥 개념도]

[성지지맥 등산지도]

[주읍지맥 등산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