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평지맥3구간(지량1리-독짐재-명막산-해철이산-쟁기봉-복수고교)산행
♧ 산행일시 : 2020.08.16.일, 날씨 : 맑음(대전지역 폭염경보 34도)
♧ 산행참여 : 나홀로
♧ 산행교통편
- 갈때 : 영등포역 06:38 무궁화호→08:33 서대전도착→택시로 버드내아파트앞이동
버드내아파트앞 34번 버스로 지량1리도착
* 기차요금 7,100원, 택시비 3,300원
- 올때 : 계룡아파트앞 택시로 서대전역이동,
14:52 서대전발 무궁화로 영등포 도착→전철로 귀가
* 기차요금 7,100원, 택시비 5,200원
♧ 산행코스 : 지량1리-독짐재-287.3m-명막산-271.7m-해철이산-177.1m-쟁기봉-복수고교
♧ 산행거리 : 9.13km
♧ 산행시간 : 4시간19분(09:29~13:48)
♧ 안평지맥3구간 트랙 :
♧ 안평지맥3구간 기록및 고도표
♧ 안평지맥3구간 등산지도
◈ 안평지맥구간 주요지점 이동시간
* 09:29 금산군 복수면 지량1리(원지량)버스정류장 출발
09:45 독짐재(성황당돌무더기, 이정목:국가지점번호,해철이산→4.1km,독짐재표지판)
09:50 송전탑(NO46, 국가지점번호 다바 8781 0583)
09:58 287.3m봉(이정목,나무의자,안평지맥 287.3m 준.희 표지판,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감)
10:06 ㅓ자 갈림길(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감)
10:13 이정목(국가지점번호 다바 8737, 해철이산↑3.0km, 봉천사↓2.0km, 안평산→ 4.4km)
10:27 명막재 안부
10:38 명막산(▲331.3m삼각점, 맨발표지판, 대충산사표지판, 많은시그널, 우측진행)
10:45 안부(이정목:해처리산→1.7km, 국가지점번호 다바 8744 0739, 우측 군부대철망 시작)
11:02 무명봉(철망따라 우측진행)
11:18 271.7m봉(초소, 철조망안으로 이동통신탑과 시설물, 휴식)
11:37 철망끝(좌측으로 휘어져 진행, 장수바위 있음)
11:44 해철이산(4각정자, 국가지점번호, 이정목:해발266m,장안봉→1.86km,샛고개↓0.68km)
11:49 269m봉(안평지맥268.7m 맨발 표지판)
11:51 긴의자 2개 쉼터
12:05 벤취2개, 거목의 참나무봉
12:11 안영고개 임도(비포장 임도, 이정목:←아래선골, 해철이산↓, 쟁기봉→)
12:17 중심봉(작은돌탑에 태극기, 긴의자2개, 국가지점번호다바 8825 0953, 중심봉 표지판)
12:24 사각정자봉(운동시설, 벤취여러개 있음, 국가지점번호, 인근주민들 보이기 시작)
12:28 육각정자봉(육각정자에 주민 다수 , 운동시설, 조망좋음)
12:43 돌탑안부(돌탑과 이정목:←장안봉,원정림↓,쟁기봉→에 국가지점번호:다바 8833 1021)
12:47 대전둘레산길 11/12분기점 이정목(장안봉1.1km↓,효자봉←0.4km,쟁기봉0.7km→)
12:49 돌탑, 이정표 안부
13:05 쟁기봉 갈림길(이정표:효자봉←0.5km, 쟁기봉0.1km↓,복수고등학교→1.6km, 국가지점번호)
13:08 쟁기봉(193.2m표지석, 복수정, 운동시설, 쟁기봉숲길안내판, 준.희표지판,국가지점번호)
13:33 돌탑안부(이정표:←쟁기봉, 초록마을아파트↓, 삼성자동차학원↑, 복수고등학교→, 국가지점번호)
13:39 운동시설과 쉼터, 우측에 파란철망
13:46 복수고등학교
13:48 계룡아파트 버스정류장 산행종료
산행메모
자연의 위력에 맞설 사람은 없겠지만....
기상관측사상 51일이라는 최장기의 장마기간과 장마 막바지에는
전국 곳곳에 폭우를 퍼부어 많은 피해를 입히더니
장마가 끝나고 나니 34도를 넘는 무더위의 폭염을 쏟아낸다.
올해는 국경일이 휴일과 겹쳐지는 날이 많아 이번 광복절 다음날인
월요일을 대체 휴무일로 지정하여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활동과
일상의 여가생활에도 활력을 불어 넣고자 한다고 한다.
연휴의 중간인 광복절날 안평지맥2구간때 무더위로 탈출하느라
못다한 구간을 걷기 위해 서대전으로 향한다.
무더위를 피하려고 했는데...산행을 떠나는 날은 장마후에 찾아온 더위가
대전 지역은 오늘 34도를 웃돈다고 하여 폭염주의보가 발령되었지만
지량1리에서 독짐재로 올라 명막산과 해철이산, 장안봉, 쟁기봉을 거쳐
복수고등학교를 지나 계룡아파트까지 약10km 정도의 거리를 목표로 삼고
무더위에 지치지 않도록 최대한 천천히 걸어 완주를 하려고 한다.
♡
09:29 서대전 버드내아파트앞 버스정류장에서 34번(서부터미날~대둔산휴계소)버스를 타고
지량1리(원지량)버스 정류장에서 내린후에 이곳에서 산행준비를 한후에 출발을 한다.↓
지량리는 평지가 대부분의 지대를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마을 남동쪽으로 유등천이 흐르고 있으며, 그 주변에 들판이 조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만, 대정 마을등이 있다. 구만마을은 지형이 거북이가 물에 잠겨있는
형국이라 해서 붙여진 지명이며, 대정 마을은 큰 우물이 있다 해서
한우물이라 불리다가 후에 대정 마을이라 개칭되었다.
버스정류장에서 뒤돌아 지량리 교회 방향의 마을길을 따라 오른다.↓
마을길을 따라 오르면, 마을끝에서 "숭모재" 간판이 붙어 있는 건물옆을 지나고↓
숭모재 건물을 지나면 만나는 임도에서 우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장마철에 내린비로 흙이 씻겨 내려간 임도는 돌멩이만 남아 있어
걷기에 불편합니다...지량리에서 약15분가량 임도를 오릅니다.↓
09:45 성황당의 돌무더기가 있는 안부인 독짐재에 닿습니다.
독짐재는 충남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대전광역시 서구 산직동의 경계능선의 안부이며.
지량리(원지량)에서 산직동 석밭골을 넘나들던 해발약225m정도의 고개로 지금은 지맥 산행을 하는
산꾼들이 이고갯길을 지날뿐이다...지량리(원지량)에서 약0.8km의 거리에 있다.↓
독짐재 풍경...
안평지맥 여기가 독짐재 입니다. 준.희 표지판과 이정목이 있습니다.
국가지점번호가 붙어 있는 이정표에 해철이산이 4.1km의 거리에 있네요↓
독짐재를 지나면 우측으로 오르막 등로의 능선을 오릅니다..
송전탑 밑을 지나 나무계단을 올라선후에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송전탑을 지나 올라 뒤돌아 본 풍경입니다.
송전탑은 NO46번이고, 국가지점번호가 붙어 있으며, 송전탑 뒤로는 조중봉이 보이네요↓
송전탑을 지나 오르막 등로를 약8분정도 오르면 287.3m봉에 닿습니다.
이정목과 긴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나무에 준.희님 표지판 안평지맥 287.3m가 보입니다.↓
안평지맥 287.3m봉의 표지판...
독짐재에서 계속 오르막을 오르던 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287.3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 풍경...
급경사에 로프가 매어져 있지만 빗물에 씻긴 등로가 울퉁불퉁하네요↓
10:06 287.3m봉에서 안부로 내려가 잠시 완만한 능선길을 걷다가
이곳 ㅓ자 갈림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국가지점번호가 붙어있는 이정목 안부를 지납니다.
이정목에 해철이산 3.0km가 표시되어 있네요↓
안부를 지나 완만하게 진행하다가 긴의자 2개가 설치되어 있는 무명봉을 지나고↓
10:27 안부에 닿습니다....이곳을 명막재로 부르는 사람도 있는 곳입니다.
안부를 지나면 명막산까지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급경사의 명막산 오르막 등로도 빗물이 흘러 내려서 골이 깊게 파여 있네요
명막재에서 소나무 우거진 급경사의 등로를 올라갑니다.↓
급경사를 올라서면 우측으로 봉우리를 우회하는 등로를 만납니다.
해철이산 표지판도 붙어 있지만, 직진의 등로를 올라야만 명막산에 닿고
명막산에서 해철이산으로 가는 등로가 있습니다.↓
명막산을 우회하는 등로를 버리고 직진의 가파른 등로를 올라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0:38 해발331.3m의 명막산 정상에 닿습니다.
삼각점에는 글씨가 보이지 않습니다.
명막산(明幕山:331.3m)은 충남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옛날 명매기가 많이 살았던 산이라 명매기산으로 불리다가
변하여 명막산이 되었다고 한다.
산의 북쪽에 지나온 명막재와 가야할 남쪽에 선골고개가 있습니다.↓
명막산 우측으로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10:45 명막산에서 약5분쯤 급경사를 내려서면 안부에 닿게 되고
국가지점번호가 함께 있는 이정목(해처리산→1.7km)을 만납니다.↓
안부의 이정목을 지나면 우측으로 철망 울타리가 보입니다...
철망울타리를 따라 산능선을 오르내리며 해철이산 직전까지 걷게 됩니다.↓
철망울타리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며 시그널이 붙어있는 무명봉에 닿습니다.
철망을 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오록스맵이 철망시작부터 이곳까지 꺼짐)↓
철망울타리를 우측에 두고 오르내림을 반복 합니다.
무더운 날씨로 온몸이 이미 땀범벅인데다가... 수많은 거미줄을 제거하며가지만
제거하지 못한 거미줄이 얼굴에 감기는게 너무 많아 짜증이 나네요↓
11:18 이동통신탑과 군초소가 있는 271.7m봉에 닿습니다.
잠시 쉬었다가 갑니다.↓
271.7m봉 풍경↓
11:37 271.7m봉에서 철망 울타리를 오르내리며 약10여분을 진행하면
철망울타리 끝 지점에 닿고, 철망울타리를 버리고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철망울타리에서 좌측으로 꺽어지면 커다란 돌들이 많은 곳이 보입니다.
이곳 주민들이 장수바위 라고 하는 곳인듯....↓
11:44 철망울타리를 벗어나 완만하게 약7분쯤 능선을 오르면 사각정자 쉼터가 있는
해철이산(268m)정상에 닿습니다.↓
해철이산 이정목(샛고개↓0.68km, 장안봉→1.86km)↓
해철이산에 있는 쟁기봉~안평산길 구간 안내도↓
해철이산에서 바라본 보문산쪽 풍경↓
해철이산에서 약1분쯤 진행하면 지도상 268.7m봉을 지나고↓
268.7m봉을 지나 능선은 완만하게 진행하다가 나무계단길을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12:05 커다란 참나무 아래 긴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지납니다.↓
12:11 큰참나무아래 나무의자가 있는 곳에서 약6분쯤 내려서면 "안영고개"에 닿습니다.
이곳은 대전광역시 남쪽의 중구 안영동에서 서구 괴곡동의 선골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로
안영리(安永里)라는 동리 이름에서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일설에는 조선시대에
여러 명문가가 괴곡동과 안영동에 정착하게 되었고 이고개를 통해 서로 왕래하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해진다. 안영이라는 지명은 본래 바깥길이 아닌 안길에 자리 잡은
마을이라 하여 안길을 한자로 음차하여 안(安)-영(永)이 되었다는 설과 또 양반들이 정착하여
평안하게 영세를 누렸다 하여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안영고개 비포장임도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하여 쟁기봉으로 향합니다.↓
비포장 임도를 따르다가 통나무계단길을 오르고...↓
12:17 안영고개 비포장 임도를 출발하여 약6분쯤을 오르면
작은 돌탑에 태극기가 꼿혀있는 중심봉(中心峰)에 닿습니다.
쉬어갈수 있도록 긴의자 2개와 국가지점번호도 있네요↓
중심봉 표지판↓
중심봉에서 안부로 내려갔다가 급경사 등로를 오르면 사각정자가 있는 봉에 닿습니다.
주변에 긴의자와 운동시설물이 있고 사각정자에는 주민인듯한 등산객도 보입니다.
주변 운동시설에도 운동을 하시는분들이 몇분 보이시네요...↓
사각정자봉의 국가지점번호와 이정표...앞쪽200m지점에 장안봉이 있네요↓
사각정자봉을 지나 가파른 오르막 등로를 잠시 오릅니다.↓
12:28 6각정자가 나무사이로 보이는 장안봉(177.1m)봉에 닿습니다.
정자에 마을분들인듯한 등산객이 앉아 있고, 그 아래 공터에도 또 등산객이 휴식을 취하고 있네요
육각정자아래에 설치된 반달형의 나무의자에 앉아 잠시 휴식을 갖습니다.
온 몸이 땀에 젖어, 앉았던 자리의 의자에 흥건하게 젖어버리네요↓
장안봉(177.1m)봉에서의 조망, 갑천과 정림동쪽 풍경↓
장안봉에서 정자 우측으로 내리막 등로를 내려서면 노선 안내도를 만나고...↓
나무계단과 잘 되어 있는 등로를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지금 걷고 있는 등로 아래로는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의 안영터널이 지나고 있습니다.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는 비룡분기점과 호남고속도로 서대전분기점을 잇는 고속도로로
길이는 20.8km이며 노선번호는 제300호이다. 한국의 중심부에 위히하는 교통의 요충지이자
각종 연구기관을 비롯한 행정관서가 있는 대전광역시와 중부권의 성장전망에 따라 1985년
타당성 조사를 거쳐 1993년12월에 착공하여 1999년9월6일 서대전-산내구간 12.5km를
우선 개통하고, 이듬해 12월22일 완전개통했다. 차로는 왕복4차선이다.↓
12:43 이정목에 국가지점번호가 붙어 있고, 커다란 돌무더기가 있는 안부에 닿습니다.
좌측으로는 원정림(갑천)↓, 안평지맥은 직진의 →쟁기봉 방향입니다.↓
10:46 대전둘레산길 11/12분기점 이정목을 만납니다.
좌측은 효자봉으로 가고, 안평지맥은 우측 쟁기봉 방향입니다..↓
12:49 커다란 돌무더기와 이정목이 있는 안부에 닿습니다.
안부에서 올라가면서 두갈래로 등로가 갈라지는데, 좌측은 효자봉가는길이고
우측은 안평지맥 마루금의 쟁기봉으로 가는 등로입니다.↓
돌탑안부를 지나 오르면 만나는 이정목
이곳에서 좌측은 효자봉가는길이고, 쟁기봉은 우측으로 휘어져 약200m를 오릅니다.↓
효자봉 갈림길 이정목을 지나면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약100m정도 오릅니다.↓
13:05 국가지점번호가 함께있는 이정목(쟁기봉↓0.1km, 복수고등학교→1.6km)을 만나고...
우측으로 약100m 떨어져 있는 쟁기봉으로 향합니다.↓
13:08 육각정자와 체육시설등이 있는 쟁기봉(해발193.2m)정상에 닿습니다.
정자 우측에 안평지맥194m표지판이 있고, 정자뒤쪽에는 쟁기봉 표지석도 보입니다.↓
쟁기봉 정상에 있는 숲길안내도와 국가지점번호↓
쟁기봉(193.2m) 정상석↓
쟁기봉 좌측으로 보이는 복수동쪽 풍경↓
쟁기봉 우측으로 보이는 풍경 산아래로 안영축구장과
그뒤로 좌측 보문산과 우측으로 지나온 안평지맥의 해철이산, 명막산, 조중봉등이 보이네요↓
쟁기봉 정상의 소나무에 붙어 있는 준.희 표지판↓
쟁기봉 정상에 있는 숲길 안내도...대전복수고등학교까지 안평지맥과 함께 가네요↓
쟁기봉(193.2m)육각정자안쪽에 쟁기봉 표지판↓
13:21 쟁기봉에서 긴 휴식후에 다시 분기점으로 내려와 우측 복수고등학교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쟁기봉에서 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낮추며 복수고등학교로 내려갑니다.↓
송전탑이 있는 곳을 지나고↓
이정목과 돌무더기가 있는 안부를 지나 넓은 등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돌탑안부 사거리의 이정목과 국가지점번호...복수고등학교 방향이 안평지맥 마루금↓
13:39 운동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쉼터에 닿습니다.
우측으로는 파란철망 울타리가 보이네요...넓은 등로를 따라 복수고등학교로 내려갑니다.↓
두번째 운동시설과 에어먼지털이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지나고↓
등로 입구의 등산안내도↓
나무계단을 내려가면 우측으로 복수고등학교가 보입니다.↓
13:46 복수고등학교 풍경...
대전복수고등학교는 2008년에 학교 설립인가되었고
2020년 제9회 졸업생을 배출한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라고 합니다.↓
대전광역시 서구 혜천로 복수동 사거리 풍경
복수동은 대전광역시 서구에 있는 동으로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면적이 1.78㎢, 인구 약2만1,000명(2009년)이며,
관내에는 오량산, 쟁기봉과 유등천등 천혜의 자원이 있는 지역으로
서부 외곽도로가 준공되면서 대전 서남부권의 교통 요충지로 발전하였다.
사거리 건너에 계룡아파트 BUS 정류장이 있고,
이곳을 지나면 안평지맥은 잠시 대전시내구간을 걸어야 하며,
다음 구간의 교통편의를 위해 계룡버스정류장에서 산행을 종료하려 합니다.↓
13:48 계룡아파트 버스 정류장에서 안평지맥3번째 구간 산행을 종료합니다.
이곳에서 916번 버스를 타면 버드내아파트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어 있어
그곳에서 201또는 202 버스로 환승하여 서대전사거리에서 하차하면
도보로 약8분이면 서대전역에 도착할수 있습니다.↓
♡
계룡아파트 버스정류장 뒷편에서 산행을 마치고 뒷정리를 합니다.
짧은 거리였지만..폭염 때문에 산행속도가 느려져 시간이 많이 걸렸네요
그래도 목표했던 지점까지 무사히 종주했기에 뿌듯합니다.
버스가 방금전에 지나갔는지...30분후에 도착한다는 안내가 보이네요
온몸이 땀에 젖어 있어 물에 빠졌다 나온것 같은 행색,
빨리 옷을 갈아 입고 싶은 마음에 카카오택시를 호출하여 서대전역(5.300원)에
도착하여 화장실에서 얼굴만 씻고 옷을 갈아 입습니다.
연휴라 서울가는 기차표 매진, 서대전 14:52 출발 무궁화호 입석을 타고 귀가
영등포역에서 전철로 집에 도착 하루 일과를 마감합니다.
'금남기맥상 지맥 > 안평지맥(2020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평지맥4구간(서부소방서-공굴안-도솔산-▲191m-합수점)산행 (0) | 2020.08.19 |
---|---|
안평지맥2구간(가사벌--떡갈봉-질울재-안평산-조중봉-독짐재)산행 (0) | 2020.08.05 |
안평지맥1구간(배티재-분기점-오대산-420.3m-427.6m-가사벌마을)산행 (0) | 2020.07.22 |
안평지맥 (安平枝脈)이란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