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룡지맥1구간(옥정마을-백룡산-조리봉-오봉산-노루목재-황교-전남방직(군계휴게소)
♧ 산행일시 : 2022.06.04.(토),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 41,000원
♧ 산 행 지 : 출발 -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명동길 31
도착 - 전남 나주시 세지면 예향로 3009(군계휴게소)
♧ 산행구간 : 옥정마을-백룡산-조리봉-오봉산-노루목재-황교-신북농공단지/전남방직(군계휴게소)
♧ 산행거리 : 14.96km
♧ 산행시간 : 4시간07분(12:10~16:17)
♧ 옥룡지맥1구간(옥정마을-백룡산-오봉산-황교-전남방직)산행기록
♧ 옥룡지맥1구간(옥정마을-백룡산-오봉산-황교-전남방직)산행트랙
♧ 옥룡지맥1구간(옥정마을-백룡산-오봉산-황교-전남방직)주요지점 이동시간
※ 12:10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명동길 31 백룡경로당앞 산행시작
12:41 백룡지맥 헬기장/좌틀
12:47 백룡산(▲418.3m)/옥룡지맥 분기점
12:58 ×365.8m
13:02 명동재
13:04 ×361.3m
13:19 조리봉(×228m)
13:29 가는재(전남 영암군 금정면 과 영암군 신북면 경계)
13:36 오봉산(×162.3m/급좌틀)
13:52 노루목재(2차선도로)/영암군 금정면 와운리와 신북면 용산리경계
13:57 신궁(×118.7m)
14:14 골프장끝 도로(신지로)
14:20 ×114.1m
14:34 ▲93.8m
14:52 뒷골재
15:02 곰봉(×137.2m/정자.운동시설,제단)
15:10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태양열발전단지)마을길
15:23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51-2/(배과수원 삼거리)
15:34 ×78.5m
15:44 황교마을 표지석/좌틀
15:58 백제농장 입구/신동길 좌틀
16:02 안산목장 앞
16:14 예향로(13번도로)/전남방직 입구
16:17 전남 나주시 세지면 예향로 3009(군계휴게소) 산행종료
♧ 옥룡지맥1구간(옥정마을-백룡산-오봉산-황교-전남방직)산행지도
산행메모
하절기가 시작되는 6월들어 땅끝인 전남 영암에 있는 옥룡지맥 산행을 떠납니다.
옥룡지맥은 땅끝기맥 활성산(498m)북쪽 1.3km지점의 약418m봉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5.4km 떨어진 백룡산(420.8m)에 가서 산줄기는
다시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남쪽으로 가는 산줄기는 마산, 13번국도,
호산, 천제산, 태산봉을 지나며 영암천의 좌측 분수령이 되고,
북쪽으로 가는 산줄기는 백룡산(420.8m), 조리봉(227.7m), 오봉산(162.3m),
태산(85.4m), 두류산(106m), 고문산(103.5m), 옥룡산(132.9m)을 지나며
옥룡산 아래 몽탄마을에서 그 맥을 다하게 되며, 삼포천의 좌측 분수령이 되는
42km되는 산줄기를 옥룡지맥이라 합니다.
옥룡지맥 종주는 첫구간인 분기점(백룡산)에서 조리봉, 오봉산, 곰봉,
13번도로(전남방직)까지는 당일산행으로, 두번째 구간인 13번도로에서
두류산, 고문산, 옥룡산, 몽탄마을까지는 무박산행으로 종주하려고 하며
오늘 옥룡지맥 첫구간 산행에 나서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19의 사회적거리두기가 완화되고 현충일과 맞물려 3일간의 연휴가 시작되는
첫날이라 나들이에 제약을 받던 사람들이 연휴를 즐기려 여행을 떠나는 차량들로
고속도로는 주차장을 방불케하고, 차량의 흐름이 늦어 산행지 들머리인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에 12시를 훌쩍 넘겨 도착하게 되네요
당일산행의 시작을 오전12시를 넘겨 하는건 처음이라 좀 걱정스럽기도 하지만.
산행거리가 15km정도에 나즈막한 능선과 도로를 걷는 구간이 많아 다행입니다.
♥
12:10 현충일과 연결되어 3일간의 연휴가 이어지는 첫날...
차량이 고속도로에 넘쳐난다.
많은 시간이 걸려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 옥정마을의
백룡경로당앞에 도착하여 옥룡지맥 첫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는 옥정마을, 와우동 마을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옥정마을은 마을의 바위틈에서 샘물이 솟아 구슬 같은 샘물이라 하여
구슬 옥(玉)과 우물 정(井)자를 합하여 옥정(玉井)이라 했다.
와우동 마을은 서룽골이라 부르기도 하며, 큰 암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라 하여
업드릴 와(臥) 자와 소 우(牛) 자를 합쳐서 와우동(臥牛洞)이라 부른다
백룡경로당 입구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백룡산으로 향합니다.
옥류정사 등산로 입구 표지판이 있는 곳을 지나고...
산으로 오르는 포장 임도를 따라 올라갑니다.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꺽어져 가고...
임도차단기가 보이고...차단기 우측 산으로 오르는 계단이 백룡산 들머리 입니다.
산으로 들어서면 가파른 오르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경로당이 있는 곳에서 백룡산 까지는 고도를 약300m정도 올리며
거리상으로는 약1.8km정도 됩니다.
12:41 넓은 헬기장을 만납니다.
백룡지맥 능선이며, 백룡산은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헬기장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로프가 매어져 있는 가파른 등로를 오르고..
백룡산 정상의 무인산불감시카메라탑이 보이는 정상부에 닿고..
12:47 백룡산(▲418.3m)정상에 닿습니다.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운암리, 신북면 명동리, 금정면 아천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조선 시대에 나주목(羅州牧) 금마면(金磨面) 터였던 지금의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
백운(白雲) 마을 아래에 용지(龍池)가 있다. 백룡산(白龍山)[418m]이라는 이름은 이 산 정상에
흰 구름이 자욱하게 일고, 뇌성벽력이 치면서 용지에 살던 백룡(白龍)이 승천했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백룡산 정상표지판
백룡산은 활성산에서 형제봉을 거쳐 오르는 산으로, 북서쪽으로 영산강과 영암천
북쪽으로 등성이를 내밀고 있고, 동쪽의 금정면 아천리 골짜기는 영산강 수계의 금천(錦川)이다.
남동쪽의 덕진면 운암리 산기슭은 영산강 수계의 영암천이고, 북서쪽의 신북면 명동리 계곡은
영산강 수계의 삼포강의 발원지이다. 북쪽 두 갈래 능선은 북서쪽의 호산을 거쳐
나주시 반남면 자미산과 영암군 시종면 태산봉에, 북쪽의 나주시 세지면 태산을 거쳐
영산포 가야산과 서쪽의 고흥군 동강면 백련산과 옥룡산에 이른다.
백룡지맥 '백룡산'산패가 붙어 있는 산불감시카메라탑
이곳 백룡산에서 좌측으로 옥룡지맥, 우측으로 백룡지맥이 분기합니다.
백룡산은 월출산 북쪽에 솟은 평범한 산이지만, 산자락이 넓게 퍼져 있고 긴 임도(林道)가 개설되어 있다.
영암 공설 운동장에서 나주 방향 국도 13호선을 따라 5.5㎞쯤 가면 오른쪽으로 수현 마을 갈림길이 나온다.
수현 마을을 지나 산길이 시작되며, 가막 저수지 뒤를 돌아 백룡산 일주 임도와 만난다.
좌회전 하면 길은 해발 200m 등고선을 오르내리며, 백룡산을 휘감고 지방도 819호선으로 내려서다가,
오른쪽으로 500m 올라가 영운재 직전에서 왼쪽 길로 들어선다.
2008년에는 백룡산과 활성산 코스에서 제2회 전라남도 지사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가 열렸다.
백룡산 삼각점(418.3m,영암23/1990재설)
백룡산과 마주하고 있는 영암 월출산 풍경
월출산(月出山)은 백두 대간(白頭大幹) 호남 정맥(湖南正脈)의 무등산(無等山) 산줄기가
남서로 뻗어 우뚝 솟은 산으로, 1988년 스무 번째로 지정된 국립 공원[면적 41.88㎢]이다.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와 교동리,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사이에 주봉인 천황봉(天皇峯)[809m]이 있고,
월출산 북쪽에는 영산강(榮山江) 수계의 영암천(靈巖川)이 발원하고, 영암 읍내가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남쪽 골짜기에서는 탐진강(耽津江) 수계의 금강천이 발원하는데, 이를 ‘경포대’라고 칭한다.
‘월출’은 본디 ‘구릉성 산지에 우뚝 돌출된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월출산은 소백산계의 무등산 줄기에 속하며, 목포 앞바다로 뻗어가다
평지에 솟아오른 잔구(殘丘)[준평원 위에 남아 있는 굳은 암석의 구릉] 형태이다.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호남의 소금강 또는 영산(靈山)이라 불린다.
구정봉(九井峯), 사자봉(獅子峯), 도갑봉(道岬峯), 주지봉(朱芝峯)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어져 있다.
월출산은 한반도 최남단에 있는 산악형 국립 공원으로 문화 역사 자원으로는
국보인 강진 무위사 극락 보전[국보 제13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국보 제144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 삼존 벽화」[국보 제313호]가 있다.
또한 보물로는 영암 도갑사 석조 여래 좌상[보물 제89호], 영암 도갑사 목조 문수·보현 동자상[보물 제1134호],
영암 도갑사 도선 국사·수미 선사비[보물 제1395호], 도갑사 오층 석탑[보물 제1433호]가 있으며,
그 외에도무위사 선각 대사 편광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 「무위사 극락전 백의 관음도」,
「무위사 극락전 내벽 사면 벽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 석탑 등의 문화재가 있다.
백룡산에서 바라본 영암의 활성산 주변의 풍력발전단지
백룡산에서
백룡산에서
백룡산 이정표... 좌측으로 휘어져 옥룡지맥 산줄기에 들어섭니다.
백룡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내려가 안부에 닿고.
12:58 안부에서 잠시 오르면 365.8m봉에 닿습니다.
365.8m봉의 준.희님 산패
365.8m봉에서 편안한 등로를 따라 좌측으로 휘어져 약4분정도 내려갑니다.
13:02 영암군 신북면 명동리와 영암군 금정면 아천리를 연결하는 완만한 안부의
'명동재'를 지납니다. 지금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듯 하다.
명동재에서 약2분을 올라서면 무명봉 361.3m봉에 닿고,
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고도를 낮추며 갑니다.
361.3m봉을 지나면 계단길과 일반 등로를 반복하며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13:12 이정목이 서 있는 임도에 내려서고...
지맥은 우측 화산마을→2.9km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이정표가 있는 임도에서 우측으로 약2분쯤 가면 임도 삼거리를 만나고
삼거리 좌측의 문화유씨 인산공묘비석이 있는 임도로 진행합니다.
비포장 임도가 포장 임도로 바뀌고...
포장임도를 따라 내려가다가 좌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조리봉으로 오릅니다.
넓은 임도를 따라 잠시 가파르게 능선을 오르고....
13:19 지맥능선 좌측으로 약50m정도 떨어져 있는 조리봉(227.7m)봉에 닿는데,
시그널이 많이 붙어 있지만, 산패는 없습니다.
되돌아 내려가 좌측으로 휘어져 지맥길을 이어갑니다.
13:25 조리봉에서 되돌아 내려가 좌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갔다가
잠시 오르면 커다란 나무가 있는 179.4m의 무명봉을 지나고...
마루금은 다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79.4m무명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낙엽이 많이 쌓여 있고, 잡목이 있는 능선을 내려갑니다.
포장 임도가 지나는 '가는재'가 보이네요
문화유씨세장산 비석이 서 있는 '가는재'에 닿습니다.
옥룡지맥 '가는재' 표지
가는재는 좌측의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와 우측의 영암군 금정면 와운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포장임도가 지나고 있습니다.
'가는재' 임도를 건너 산으로 오르는 들머리 풍경
가는재 임도를 건너 산길을 올라 오봉산으로 향합니다.
산길을 올라가면 정상부근에서 감나무 과수원을 만나고
과수원 우측으로 진행하면 오봉산에 닿게 됩니다.
13:36 감나무 과수원끝의 옥룡지맥 오봉산(162.3m)에 닿습니다.
오봉산은 영암군 금정면 와운리에 있는 나즈막한 산으로 지금은
감나무 과수원이 차지하고 있다.
오봉산에서 되돌아서 감나무 과수원을 내려오고...
감나무 과수원 끝에서 좌측 산으로 진입합니다.
잡목이 우거진 능선을 올라가고
13:42 155m의 무명봉에 오르고...
155m봉에서 지맥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노루목재로 내려가게 됩니다.
산죽이 우거져 있는 곳도 지나고...
13:52 '신금로' 2차선 차도가 지나는 '노루목재'에 도착합니다.
좌측은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이고, 우측은 영암군 금정면 와우리 입니다.
사진은 노루목재의 금정면 와우리쪽 풍경
노루목재 표지판
노루목재 좌측인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쪽에서
묘지로 오르는 계단길을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노룩목재에서 약5분을 오르면 118.7m봉에 닿는데
'신궁'코팅지 표지판도 보이네요
118.7m(신궁)에서 돌무더기를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잠시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잡목이 우거진 능선을 오릅니다.
능선의 잡목이 심해 산우측의 감나무 과수원으로 내려와 과수원으로 진행합니다.
과수원 끝에서 우측의 밭으로 내려가고..
밭을 지나면 만나는 임도를 따라 걷다가 골프장앞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가야 합니다.
골프장 좌측으로 휘어져 가는 등로
골프장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골프장과 충효문 건물이 보이고
'충효문'이 있는 곳에서 파란 철문을 지나 세멘트 포장도로에 닿습니다.
충효문을 지나 파란철문을 나와 골프장 옆의 세멘트포장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수도권에는 이미 모내기가 끝났는데...남쪽에는 이제 모를 내고 있네요
어렸을때는 이양기가 없어, 손으로 모를 심었던 부모님의 고생하시던
그시절 생각이 불현듯 떠오르네요
14:14 세멘트도로를 따라 골프장끝을 벗어나면 2차선 차도(신지로)를 만나고....
'신지로' 차도를 건너 옹벽위의 산길에 들어섭니다.
산길에 들어서 조금 오르면 산죽이 있는 곳을 지나고..
14:20 옥룡지맥 114.1m봉의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곳에 닿고...
지맥마루금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간벌목과 잡목이 우거져 있어 길찾기가 애매한 능선을 지나고...
14:34 삼각점이 있는 93.8m곳에 닿고
93.8m삼각점(영암428)
93.8m봉을 지나면 완만하게 고도를 낮추며 잡목의 능선을 내려가고
넓은 임도가 지나는 안부를 지나 다시 고도를 올리며 오릅니다.
임도를 건너 올라서면 산죽과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오르고...
14:48 긴나무의자 2개가 설치되어 있는 쉼터 에 닿고,
옥령지맥은 쉼터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걷기 좋은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14:52 정자가 있는 '뒷골재'를 지나고
정자 아래로는 '하정길' 도로가 지나고 있네요
정자가 있는 '뒷골재'를 지나 조금 더 가면 '백동재'를 지나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혼재해 있는 경사의 등로를 올라 '곰봉'으로 향합니다.
곰봉으로 오르는 등로 풍경
15:01 곰봉에 닿기전 '웅봉천제단'을 만나고...
'웅봉천제단'은 정월대보름에 모산리 주민들이 지역의 번영과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천신께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제단입니다.
웅봉천제단 앞쪽으로 보이는 월출산 풍경
이곳에서 정월대보름 월출산 위로 떠오른 달을 보며
천신께 제사를 올리나 봅니다.
15:02 천제단을 지나 잠시 오르면 사각정자와 운동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곰봉(137.2m) 정상에 닿게 됩니다.
곰봉 정상부에 있는 산패
곰봉을 내려오다가 좋은 등로를 버리고 급우측으로 휘어져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오면 칡넝쿨 우거진곳을 지나
좌측의 과수원으로 내려갑니다.
감나무 과수원안으로 내려서 과수원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감나무 과수원을 지나 내려가면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마을에 내려섭니다.
전방좌측에 태양열발전단지와 그 주변으로 배밭이 펼쳐지네요
옥룡지맥은 우측의 배밭으로 변한 구릉지를 지나서 전방의 산능선으로 이러지는데
태양열 발전단지를 지나는 마을길을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나주농원을 지나고...
전방의 목장뒤의 능선으로 올라야 하는데...
방역상 출입금지 표지판이 보이고...주민이 전하는 말에는
목장뒤로 가는 길이 없다고 합니다.
되돌아 나와서 좌측의 열린농원 방향의 마을길을 따릅니다.
열린농원앞을 지나고...
15:23 농장의 농기계를 보관하고 있는 건물이 보이는
배과수원 삼거리의 지맥 마루금상에 닿고,
삼거리에서 좌측의 포장도로를 따라 계속해서 이어지는 배과수원을 지납니다.
배과수원안으로 들어가 배나무 밑을 지나 산으로 향합니다.
배과수원을 빠져나오면 산길에 들어서고
묘지 좌측의 능선을 올라 78.5m봉으로 향합니다.
15:34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올라서면 78.5m 무명봉에 닿고,
78.5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오면 밭절개를 만나고....
밭앞쪽으로는 영암군 신북면 금수리쪽 풍경이 보이네요
밭절개지를 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산길을 내려갑니다.
밭절개지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잡목능선을 내려서면
앞쪽으로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황교마을이 보이는 방향의
밭으로 내려가 황교마을로 향합니다.
밭을 지나면 '금교로' 포장도로를 만나고...
우측의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황교마을로 향합니다.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황교마을 풍경
교산리에는 자연마을로 감남정이, 갯골,황교, 땟집마을등이 있으며
황교마을은 넓은 다리가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교산리 황교마을 표지석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백제농장 방향으로 갑니다.
교산리 황교마을을 지나는 옥룡지맥 마루금은 밭으로 변해 있어
밭가운데로 세멘트포장된 농로를 따라 백제농원 방향으로 갑니다.
밭가운데의 농로를 따라 갑니다.
15:58 백제농장 앞에 도착합니다.
직진으로 백제농장을 지나는 밭으로 옥룡지맥 마루금이 이어지는데..
개인농장이고, 출입금지 표지판도 붙어 있어
좌측으로 휘어져 마을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백제농장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마을길을 따라 13번도로가 지나는
전남방직회사입구로 향합니다...마을길 도로 우측으로는 수로가 함께 갑니다.
16:02 안산목장앞을 지나고...
계속해서 마을도로를 따라 13번 도로로 향합니다.
주식회사 '신영스틸' 앞을 지나고
13번도로(예향로)에 닿고....
도로 건너편으로 전남방직이고, 우측에는 군계카센타 표지판과
'기영축산' 건물이 보입니다.
13번도로(예향로)에서 옥룡지맥 첫구간의 마루금 산행을 종료하고.
도로 건너편 우측의 '군계휴게소'에 산악회 버스가 대기하고 있어
횡단보도를 건너갑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면 전남방직 입구에 닿고...
도로를 건너 우측으로 약2분쯤 진행하면 '군계휴게소'에 닿고
휴게소 우측의 빨간색버스 앞에서 오늘 산행을 종료합니다.
'땅끝기맥상 지맥 > 옥룡지맥(2022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룡지맥2구간(전남방직-태미산-두류산-구수봉-고문산-옥룡산-영산강/몽탄대교) (0) | 2022.06.20 |
---|---|
옥룡지맥(玉龍枝脈)이란 ?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