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지맥2구간(영성재-상여봉-노승봉-옥녀봉-용각봉-세봉삼거리-내소사버스종점)
♧ 산행일시 : 2021.11.28. 일,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홀로
♧ 대중교통 : 갈때 - 06:50 센트럴씨티 발(첫차) 부안행 고속버스
09:40 부안터미날 도착(일반고속 15,400원)
10:00 부안터미날건너편 내소사행 버스승차
10:20 용사휴게소(용사)정류장하차
올때 - 16:30 내소사버스종점 출발 → 17:30 부안터미날
17:50 부안발 센트럴씨티행 우등고속버스 탑승(21,000원)
* 내소사출발 부안행 버스시간표
- 오후-16:30, 17:10, 17:40, 18:20, 19:15, 19:30, 20:10(막차)
* 부안터미날에서 서울(센트럴씨티)행버스시간
- 오후 17:00, 17:50, 19:00(동서울), 19:30(막차),
♧ 산 행 지 : 전북 부안군 보안면. 상서면. 진서면
♧ 산행구간 : 영성재 - ×259.5m - ×329.9m - 사창재 - 상여봉(×389.2m) -
노승봉(×352.9m) - 바디재(2차선도로)- 옥녀봉(▲434.2m) -
용각봉(×364.2m) -세봉삼거리(×424.2m) - 내소사버스종점
♧ 산행거리 : 15.4km
♧ 산행시간 : 5시간50분(10:20~16:11)
♧ 변산지맥2구간(영성재-옥녀봉-세봉삼거리-내소사)산행기록

♧ 변산지맥2구간(영성재-옥녀봉-세봉삼거리-내소사)산행트랙
♧ 변산지맥2구간(영성재-옥녀봉-세봉삼거리-내소사)주요지점 이동시간
※ 10:20 전북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 용사버스정류장 출발
10:45 마루금 접속
11:07 ×259.5m
11:16 임도
11:31 ×329.9m
11:42 사창재
12:01 상여봉(▲389.2m)
12:16 노승봉(×352.9m)
12:53 바디재
13:27 옥녀봉(▲434.2m)
13:47 굴바위/가마소갈림길 안부
14:03 용각봉(×364.2m/우틀)
14:11 ×353.7m갈림길/급좌틀
14:29 ×280m
14:47 ×279.6m(좌틀)
15:15 ×315m
15:32 세봉삼거리
15:50 ×205m
16:08 내소사 일주문앞
16:11 내소사버스종점 산행종료
♧ 변산지맥2구간(영성재-옥녀봉-세봉삼거리-내소사)산행지도

산행메모
2018년 새해 들어서면서 새마포산악회에서 변산지맥을 4구간으로 나누어
매주 목요일마다 산행을 시작하여 1월말경에 종주 산행이 끝났다.
변산지맥 두번째 구간 산행이 있던 2018년1월11일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영성재-옥녀봉-세봉삼거리-관음봉-내소사 구간 산행에 참석을 못했다.
2018년1월11일 변산지맥 두번째 구간 산행날에는 눈이 많이 온 관계로
관음봉까지 진행하지 못하고 세봉삼거리에서 내소사로 내려가 산행을 마쳤다고 하며
약4년전에 끝냈어야 할 변산지맥 2번째 구간의 산행을 위해 나홀로 보충 산행을 떠난다.
겨울로 들어섰지만 오늘 날씨는 포근했고, 하늘은 맑지만 미세먼지가 시야를 흐리게 한다.
센트럴씨티 터미날에서 부안행 첫 버스를 타고 부안터미날에 내리니 09:40분쯤되었다.
부안터미날앞 시내버스정류장에서 10시에 출발하는 산행들머리인 영성재(용사휴게소)를 거쳐
내소사로 가는 버스를 타고 약20여분을 걸려 전북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 "용사" 정류장에
미리 내리게 되었다. 내가 내릴 '용사휴게소'의 전 정류장이였다.
♥
부안에서 내소사로 가는 버스 시간표

내소사가는 버스

10:20 '용사휴게소'정류장에 내리려 했는데...벨을 미리 눌러 '용사' 정류장에 내렸다.

'용사' 정류장에서 약100m거리에 '용사휴게소' 정류장이 있다.

'용사휴게소'정류장 뒷쪽에 있는 영성재(강릉유씨재실)

영성재문 좌측의 '용사샛터길'을 따라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 마을로 들어간다.

용사샛터길끝에서 우측의 붉은색벽의 민가뒤로 변사지맥 마루금인데
길은 민가앞에서 끝나고, 좌측 과수원쪽에는 큰 개가 지키고 있어 오르지 못했다.

민가로 진입하던 발길을 되돌려 나와 우측에 지맥능선을 보면서 '사창길'을 따라 걷는다.

우측에 지맥능선이 보이지만 과수원과 밭등이 있어 오르지 못하고
'사창길'을 잠시 걷다보면 첫번째 우측으로 갈라지는 임도를 만나게 되고...
임도 우측편으로 건물이 한채 보이는 곳으로 향한다.

10:39 포장임도가 끝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비포장 임도를 따라 가면
평택임씨 가족묘지가 있는 곳에 닿고, 등로도 없는 뒷편의 산으로 오른다.

10:44 등로도 없는 비탈을 잡목을 헤치고 약5분 오르면
유정재를 지난후의 무명능선 변산지맥 마루금에 닿는다.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걷는다.
여름철 초목이 무성할때면 걷기 많이 힘들었을것 같다.

무명봉을 지나고..다시 잡목이 많은 오르막 등로를 오른다.

산정상부에 군용으로 사용되었던듯한 콘크리트 건물이 보인다.

11:07 세멘트 건물 위쪽이 지도상 고도 표시된 259.9m봉에 닿는다.

259.5m봉을 지나면 앞쪽으로 279.6m봉을 올라야 하는데...
좌측 사면으로 279.6m봉을 우회하는 등로가 있어
좌측 사면길을 따라 진행을 합니다.

11:16 넓은 임도가 지나는 고갯마루에 닿는데..
좌측은 보안면 남포리이고, 우측은 상서면 감교리 방향이다
변산지맥은 임도를 건너 산길로 올라간다.

임도를 건너면 고사목이 쓰러져 있고, 잡목이 많은등 등로가 희미하다

산죽이 있는 등로를 지나 오르고...

우측으로 뚜렷한 등로가 보이는데...
직진의 산죽이 많은 산정상부 방향으로 올라야 합니다.

329.9m봉으로 오르면서 뒤돌아본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와 사산저수지 풍경

11:31 날씨가 푸근한데다 급경사 오르막 등로를 오르느라 땀이 많이 나네요
지도상 고도표시된 329.9m봉에 오르고, 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329.9m봉에서 좌측으로 보안면 남포리 마을과
멀리 뒤쪽으로 방장산쪽 풍경이 보이네요

상여봉쪽 풍경도 보이고

11:35 329.9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약4분쯤 진행하면
328.1m봉에 닿고, 다시 또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낙엽이 많이 쌓이 등로를 미끄러지듯 내려가고

암릉지대를 우회하여 내려갑니다.

11:42 사창재 능선 안부에 닿습니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남포리 만석동 마을로 내려갈수 있고
변산지맥 마루금은 직진으로 올라 상여봉으로 향합니다.

상여봉으로 오르면서 뒤돌아본 지나온 능선 풍경
좌측이 328.1m, 그뒤쪽으로 329.9m봉, 우측이 279.6m봉입니다.

낙엽이 쌓여 있어 오르막 등로를 오를때는 헛바퀴돌듯 미끌거리네요

상여봉 오르는 등로 우측으로 보이는 변산 의상봉과 쇠뿔바위봉 풍경

산죽이 우거진 능선을 한참을 오릅니다.

12:01 상여봉(389.2m)에 닿습니다.
상여봉 표지판과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고
글씨가 마모된 삼각점도 보이네요

상여봉 정상 풍경
변산반도에 솟아 있는 봉우리중의 하나인데, 상여봉에 대한 지명유래는
상여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지...? 자료를 찾을수가 없어 궁굼합니다.

상여봉(389.2m)삼각점

상여봉에서 10여분을 쉬었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12:16 노승봉 표지판이 붙어있는 352.9m봉에 닿고...
이곳에서 변산지맥은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지명의 뜻을 알수 없는 노승봉.. 늙은 스님을 닮은 봉일까...?
노승봉 표지판과 마주보고 있는 352.9m 준.희 산패
노승봉 정상부에는 선산(先山)김씨 묘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노승봉(352.9m)봉 풍경

노승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옥녀봉이 보입니다.

산죽이 있는 등로를 내려가고...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옥녀봉 풍경

안부에서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2:34 세멘트 말뚝이 있는 275m봉에 닿고....
계속해서 오르내리는 등로에는 잡목과 가시넝쿨들이 뒤엉켜 있네요

내리막 등로 우측으로 '정림제'가 나무사이로 보이고

등로 좌측으로는 '우동제'가 보이네요

안부를 지나 잡목이 우거진 등로를 오르고...

12:42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298.4m봉에 닿고,
마루금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298m봉을 내려가는 등로 앞쪽으로 바디재를 지나 올라야 하는 옥녀봉 풍경

298m봉에서 바디재로 내려가는 등로에도 낙엽이 많네요

바디재로 내려가는 곳에는 급경사 절개지가 있고
절개지에서 떨어지는 낙석방지용 철망울타리가 설치되어 있어
직진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바디재 우측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바디재 우측의 낙석방지용 철망울타리끝에 내려서고...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향합니다.

바디재 고갯마루 보안면쪽 풍경
전북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와 보안면 우동리의 경계로 바드재라고도 한다.
고개아래의 청림리는 마을앞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았다고 하고,
큰버드내와 작은 버드내가 있으며 고려 상감청자를 이마을의 뒤 가마터에서
구었다고 전해진다.

바디재 고갯마루의 상서면쪽 풍경

12:53 바디재 고갯마루에 닿습니다.
입산통제 플랑카드와 탐방로 안내도등이 설치되어 있고,
옥녀봉은 탐방로 안내판 뒤쪽으로 오릅니다.

탐방로 안내판

바디재에서 산길로 들어서면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시작된다.

암릉지대를 지나오르고...

급경사 등로에 낙엽이 쌓여 있어 오르는데 힘이 드네요

바위들이 듬성듬성 보이는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옥녀봉으로 오르는 등로 좌후방쪽으로는 우동제와
멀리 즐포 뒤로 방장산과 입암산쪽 풍경이 보이네요

곰소항쪽 풍경도 보이고..

옥녀봉 정상부가 보이기 시작하고...암릉지대를 지납니다.

옥녀봉 오르기전의 암릉지대에서 바라본 우동제, 즐포방향, 방장산과 입암산쪽 풍경

옥녀봉 오르면서 뒤돌아본 노승봉에서 좌측 상여봉쪽으로 이어지는 마루금

서해바다와 건너편의 고창 선운산쪽 풍경

옥녀봉 정상부쪽 풍경..

옥녀봉 오르는 우측으로 보이는 '청림제'풍경

13:24 옥녀봉 직전의 넓은 헬기장에 도착합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약100m쯤 떨어진 곳에 옥녀봉 삼각점이 있고,
변산지맥 마루금은 좌측의 용각봉 쪽으로 휘어져 가게 됩니다.

헬기장에 있는 이정목.. 지맥은 용각봉 삼거리 방향이고,
이정목에 표시가 없는 우측이 옥녀봉(▲434.2m)삼각점이 있습니다.

옥녀봉 정상에 있는 무인산불감시카메라탑

변산지맥 옥녀봉 434.2m의 준.희님 산패

옥녀봉(▲434.2m)삼각점(부안431/1984재설)

옥녀봉에서 바라본 외변산 의상봉과 쇠뿔바위봉
군시설물이 있는 의상봉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고 합니다.

옥녀봉 정상부 풍경

옥녀봉에서 헬기장이 있는 곳으로 되돌아나오고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우측으로 암릉이 보이는 사면을 지나 내려갑니다.

낙엽이 쌓이 내리막 등로를 계속해서 내려갑니다.

13:41 암봉을 만나고. 암봉을 넘어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암봉에서 바라본 옥녀봉 풍경

암봉에서 내려오면 이동통신시설물이 있는 곳을 지나고....
앞쪽으로는 용각봉이 꽤나 높아 보이네요

13:47 용각봉 삼거리에 닿습니다.
좌측 '굴바위', 직진은 '용각봉', 우측은 '가마소 삼거리' 방향입니다.
용각봉오르막 등로는 입산통제 구간으로 되어 있네요

용각봉 삼거리의 이정목

용각봉으로 오르는 등로도 무척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암릉지대도 지나고...
정상부 직전에 우측 사면으로 능선에 오릅니다.

14:03 능선에 닿으면 좌측으로 용각봉이 보이네요
좌측으로 약100m쯤은 올라야 용각봉인데...용각봉은 가지 않고
변산지맥은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용각봉에서 우측으로 가야할 세봉삼거리까지의 변산지맥 마루금이 한눈에 보이네요

우측으로는 외변산의 의상봉과 쇠뿔바위봉도 보이고...

또 더 우측으로 고개를 돌리면 지나온 '옥녀봉'도 보입니다.

용각봉 능선에서 변산지맥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며 다시 353.7m봉을 향해 오른다.

14:11 앞쪽으로 353.7m봉이 올려다 보이는 암릉에서
변산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353.7m봉 오르기전의 암릉의 우측으로는 지나온 옥녀봉이 손에 잡힐듯 보이고..

353.7m봉 오르기전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등로 풍경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가야할 280m봉이 뾰족하게 보이네요

353.7m봉에서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면 암릉을 만나고...
우측 사면으로 진행하여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면 잡목과 풀이 무성한 가파른 오르막 능선을 오르고

14:29 약280m의 무명봉에 오릅니다.

280m봉 풍경

280m봉에서 바라본 곰소만과 건너편으로 보이는 선운산 풍경

280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14:39 무명봉 약250m봉에 오릅니다.
변산지맥 마루금은 이봉을 지나며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능선을 올라 279.6m봉으로 향합니다.

14:47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279.6m봉에 오르고...
준.희님의 산패가 붙어 있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

279.6m봉에서 내려가는 등로에도 잡목과 풀이 무성하네요

안부를 지나면 또 오르막 등로를 올라 약275m봉에 오르고...

15:01 27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절벽위 암릉을 내려가게 됩니다

암릉이 있는 절벽위에서 바라본 곰소만과 바다건너 좌측으로 방장산과 입암산
그리고 우측으로 소요산, 경수산, 선운산쪽 풍경이 보이네요

진행방향쪽으로 보이는 세봉삼거리 풍경

지나온 절벽위 암릉지 풍경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는 우측으로 휘어져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315m봉으로 오르는 등로에도 잡목과 풀이 무성하네요

약간의 암릉지대를 오르고...소나무 우거진 등로를 오릅니다

암릉지역 좌측으로 곰소만과 서해바다가 보이고 바다 건너로는 고창 선운산쪽 풍경

우측으로는 용각산과 그 뒤로 옥녀봉까지 조망이 되네요

가야할 315m봉과 그 뒤로 세봉삼거리로 오르는 변산지맥 마루금 풍경


15:15 315m의 무명봉에 오릅니다.
앞쪽으로는 오늘의 마지막 봉인 세봉삼거리(424.2m)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보이네요

315m봉에서 세봉삼거리로 오르는 등로는 가파르게 오릅니다.

암릉지역을 만나고...암릉에 낙엽이 쌓여 있어 미끄럽고, 위험하기 까지 합니다.

암릉지역이 위험하여 오르지 못하고
좌측으로 우회하여 세봉삼거리 로 향합니다.

15:32 암릉에서 우회하여 5분쯤 오르면 세봉삼거리로 오르는 능선에 닿고,
우측으로 고도를 약30m정도 올리며 올라야 합니다.

이정목과 등산안내도가 설치되어 있는 세봉삼거리 풍경..
좌측으로 진행하면 변산지맥 3구간에서 만났던 세봉과 관음봉에 닿게 되는데...
이미 산행을 했던 곳이라 오늘은 좌측의 내소사 방향으로 갑니다.

세봉삼거리에서 하산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판

세봉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조망이 좋은 암릉에 닿게 됩니다.

암릉에서 바라본 내소사와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서해바다와 건너편의 고창 선운산쪽 풍경

내소사 전경

암릉지대를 지나서 내려가면 또 다시 암릉지대를 내려가 안부에 닿고...
앞쪽으로 보이는 260.9m봉으로 가다가 우측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세봉삼거리에서 내소사로 내려가면 두번째 만나는 암릉지대에서 바라본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일대와 서해바다 그리고 건너편의 선운산쪽 풍경

이정목이 있는 안부에 내려서고...
내소사 1.3km남아 있는 안부에서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15:05 약205m의 무명봉에 오르고...

205m의 무명봉에서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가 260.9m봉으로 향합니다.

205m봉의 내리막 등로의 나무계단 앞쪽으로 보이는 260.9m봉
등로는 260.9m봉을 오르지 않고, 260.9m봉 사면을 지난후 우측으로 휘어져
내소사 일주문 방향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260.9m봉을 지나서 내소사로 내려가는 등로 우측으로
관음봉과 세봉, 세봉삼거리가 보이네요

260.9m봉에서 내소사로 내려가는 암릉구간

암릉구간을 지나면 등로는 흙길과 나무계단길을 지나고..

16:05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의 등산로 입구에 내려섭니다.
우측의 내소사 일주문 방향으로 진행을 하고...

등산로 입구에 있는 탐방로 안내판

내소사 일주문앞에 있는 할아버지 당산나무
일주문앞에는 수령이 700년된 할아버지 당산나무가 있으며
내소사 일주문 안쪽에 1,000년된 할머니 당산나무가 있다.
내소사의 주도하에 불교신앙과 민간신앙이 결합된 입암(내소사)당산제가
전승되어 왔으나, 1990년 이후 사찰에서 당산제를 마을로 이관함에 따라
할아버지 당산을 마을 주신으로 받들고 있다.
입암 당산제는 음력1월14일, 웃뜸 당산제는 음력1월15일 각기 치려졌다 한다.

내소사 안에 있는 할머니 당산나무(수령약1,000년)

능가산 내소사 일주문

내소사 대웅보전
능가산 관음봉 기슭에 우치한 내소사는 백제 무왕34년(633)에
혝두타 스님이 이곳에 절을 세워소래사라 하였는데
창건당시에는 대소래사, 소소래사가 있었으나 대소래사는 소실되었고
지금의 내소사는 소소래사가 남아 전하는 것이라고 한다.
현존 사찰은 조선조 인조11년(1633)에 청민선사에 의하여 증건 되었으며
고종 2년(1865)에 관해선사에 의하여 중수 되었고 그후 만허선사가 보수 하였다.
당초의 소래사를 내소사로 부르게된 연윻는 알수없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내소사로 불러 온것으로 추정된다
내소사에는 보물 제291호 대웅보전, 보물 제277호 고려동종이 있고
보물 제278호 법화경절본사본은 전주시립 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어 있다.
내소사의 부속암자로는 청련암과 지장암이 있다.

16:11 탐방지원쎈타 건너편에 내소사 버스 정류장이 있고
변산지맥 2구간 산행을 종료합니다.
산행종료 후
[내소사→부안터미날] 버스 시간표 : 16:30, 17:10, 17:40, 18:20

'영산기맥상 지맥 > 변산지맥(2018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산지맥4구간(말재-갑남산-구항치-봉화산-격포항)산행 (0) | 2018.01.26 |
---|---|
변산지맥3구간(말재-삼신산-재백이고개-관음봉-세봉-세봉삼거리-내소사주차장) (0) | 2018.01.19 |
변산지맥1구간(장성갈재-쓰리봉-소갈재-옥녀봉-송촌마을-신천초교)~2구간(배풍산)산행 (0) | 2018.01.07 |
변산지맥(邊山枝脈)이란? (0) | 201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