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지맥2구간(동네실재-국사봉-황령고개-칠봉산-바고지산-무운고개길)산행
♧ 산행일시 : 2021.05.08. 토,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작약지맥팀
♧ 산 행 지 : 경북 상주시 은척면, 이안면
♧ 산행구간 : 동네실재-국사봉-▲393.6m-황령재-칠봉산(×597.9m)-×533.3m-무운고개길
♧ 산행거리 : 12.50km
♧ 산행시간 : 4시간51분(09:30~14:21)
♧ 작약지맥2구간(동네실재-국사봉-황령-칠봉산-무운고개길)산행기록
♧ 작약지맥2구간(동네실재-국사봉-황령-칠봉산-무운고개길)트랙
♧ 작약지맥2구간(동네실재-국사봉-황령-칠봉산-무운고개길)주요지점 이동시간
※ 09:49 동네실재(경북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와 상주시 외서면 대전리 경계)산행시작
09:52 ×630m암봉
10:01 입석바위
10:05 ×680m
10:10 국사봉(×704.3m표지판,지맥 좌측, 남산 우측)
10:30 ×533m
10:40 ▲393.6m삼각점
10:43 황령고개(2차선차도)
11:05 ×567m
11:08 5×65m산불감시초소봉
11:22 황령사절고개안부
11:25 ×444m(묘지이장터)
11:35 ×483.9m
11:39 안부
11:48 ×448m
11:53 갈고개(긴나무의자)
12:21 칠봉산(×597.9m표지판,이정목:남곡용추↓2.3km,바고지재→)
12:30 암봉(우회)
12:51 ×506.7m
12:54 ×492m암봉
12:58 안부
13:13 ×525m
13:15 바고지산(×533.3m)
13:30 묘지(×370m)좌틀
13:32 ×365m
13:39 바고지재(2차선차도,축대좌측진행)
13:52 ×311.4m
13:55 ▲297.9m삼각점
13:58 신기미재
14:14 ×308m
14:18 ×315m
14:21 무운고개길(문경시 농암면 사현리 산87-4/철쭉공원/32번구도로)산행종료
♧ 작약지맥2구간(동네실재-국사봉-황령-칠봉산-무운고개길)산행지도
산행메모
작약지맥의 두번째 구간은 경북 상주시 은척면과 상주시 외서면을 경계짓는
동네실재 마루에서 시작하여 국사봉(×704.3m)을 올라선후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
황령을 지나고 다시 급경사 등로를 올라 567m봉 산불감시초소봉을 지나고
칠봉산(597.9m), 바고지산(533.3m)을 올랐다가 바고지재로 내려선후에 다시 올라
300m가 넘는 능선을 오르내리다 2차선 차도가 지나는 무운고개길에서 산행을 끝냅니다.
특히 오늘 산행중에 지맥(국사봉)에서 약1km정도 떨어져 있는 남산(819.5m)을
다녀오느냐 마느냐의 선택은 산행자의 몫이겠지만...
지맥능선 인근의 봉을 섭렵하며 봉 따먹기를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지맥산행에 체력을 안배하여야 하기에 남산을 다녀오는것을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오늘 산행거리는 약12.5km로 짧은 거리였으나 오르내림이 많고, 급경사와
암릉지대를 지나는등 난이도가 있는 산행을 하게 되었고, 날씨가 더워져서 그런지...
산행이 힘들었네요, 남산을 다녀왔다면 더 많이 힘들었을텐데...
안 갔다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
0920 경북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와 상주시 외서면 대전리 경계인
동네실재에서 작약지맥 두번째구간 산행을 시작하는데...
산행들머리는 면경계표지판이 있는 곳의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동네실재 에서 임도를 따라 오르막 등로를 계속오르면
등로는 점점좁아져 산길로 변하고 오르막 경사도도 급해집니다.↓
09:52 동네실재에서 오르막등로를 약20여분 오르면 630m봉에 닿습니다.
봉우리 정상부에는 커다란 바위들이 차지하고 있네요↓
630m봉을 지나서 계속 오르면 암봉이 막아서는 곳에 닿고...
바위틈새로 암릉을 오릅니다....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는 희미한 등로도 있기는 합니다.↓
10:01 암릉을 올라서면 만나는 하늘로 솟아오른 입석바위를 만납니다.↓
입석바위에서 지나올라온 능선 아래의 동네실재로 향하는 997번 도로방향을 조망해 봅니다.
날씨는 맑은데...황사의 영향으로 뒤쪽으로는 뿌옇고, 탁해 보이네요↓
10:05 입석바위를 지나서 오르면 고도680m봉에 닿습니다.↓
10:10 680m봉에서 다시 급경사를 약5분정도 올라서면 작약지맥 국사봉(704.3m)에 닿고
이곳에서 지맥은 좌측으로가고, 남산(819.5m)은 우측으로 갑니다.
일부는 지맥에서 약1km정도 떨어져 있는 남산으로 가지만....,
남아 있는 지맥산행도 힘들것 같아 좌측의 지맥능선으로 향합니다.↓
국사봉에서 완만하게 진행하여 무명봉에 닿고
이곳을 지나면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내리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작약지맥 능선 우측으로 보이는 남산 풍경...
칠봉산 남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이름붙여진 산으로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송이산지로 유명하다고 하며, 산자락에 성주봉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고.
주봉인 남산보다 조망이 빼어난 성주봉(606m)이 더 잘알려진 산이라고 한다.↓
국사봉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오늘 걷게될 작약지맥 능선들
좌측의 높은 봉우리가 황령에서 오르게 될 567m과, 황령저수지가 보이네요
우측으로 뾰족한 앞쪽봉이 칠봉산(597.9m)이고, 그옆이506.7m봉이다.↓
급경사의 암릉지대를 내려갑니다.↓
국사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 안부에 닿고↓
10:30 안부를 지난후 다시 고도를 높이며 올라가 무명봉인 533m봉에 닿습니다.↓
533m봉을 지나면 또 다시 급경사의 미끄러운 등로를 내려갑니다.↓
10:35 내리막 등로에서 만나는 잔디가 거의 없는 묘지
이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묘지에서 좌측으로 휘어져내려가면 임도를 만나고
임도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황령고개로 내려가게 되는데....
황령고개 건너편으로 우뚝 솟아 오른 567m봉이 보이네요↓
황령고개로 내려가는 임도 우측 멀리 보이는 오늘 오르게될 칠봉산 풍경↓
10:40 황령고개 닿기전에 ▲393.6m삼각점 표지판을 만납니다.
표지판은 있는데...삼각점은 보이지 않네요↓
10:43 삼각점을 지나서 약3분쯤 내려가면 황령고개에 닿습니다.
황령고개는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에 있는 고개라 이름붙여졌다고 하며
황령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촌마을로 황령사가 있어 황령리라 하였다고 한다
도로건너 절개지위에 시그널이 붙어 있는 돌축대위로 지맥길이 보입니다.↓
황령고개를 올라서면 급경사 등로가 567m봉까지 계속올라가서..
많이 힘들게 오르는 구간입니다.↓
567m봉 오르는 급경사 오르막 등로↓
11:05 급경사를 힘들게 올라서면 잡목이 많은 무명봉 같은 567m봉에 닿고
황령고개에서 약22분정도 소요되었네요↓
11:08 힘들게 오른 567m봉에서 약3분쯤 완만하게 진행하다가 오르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에 닿습니다...↓
산불감시초소봉을 지나면 급경사의 내리막 등로에
낙엽이 많이 쌓여 미끄러운 등로를 약15분가량 내려갑니다.↓
11:22 황령사 절고개 안부에 닿습니다. 우측에 황령사가 있습니다.
황령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638년(신라 선덕여왕7)
칠봉산 자락에 의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황령사는 임진왜란 당시 함창을 중심으로 봉기한 의병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고
임진왜란때 병화로 대웅전을 비롯해 천불전, 나한전, 심겅당 등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지금은 천년고찰의 흔적을 찾을길 없고, 다만 1786년에 조성된 아미타후불탱과 신중탱,
벽허당 부도만이 18세기 황령사의 사세를 짐작케 할 뿐이다.↓
11:25 황령사 절고개에서 약3분쯤 능선을 오르면 약444m의 묘가 있던 곳에 닿는다.↓
444m묘지터가 있는 곳에서 안부로 내려갔던 마루금은
다시 바위가 많은 암릉지대를 지나 오르고...↓
11:35 약간의 공터가 있는 483.9m봉을 지난다.↓
묵은 낙엽이 발등을 덮는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 안부에 닿고...↓
11:48 굵은 소나무에 송진을 채취하면서 만들어진 상처가 고스란히 남아 있는
445m봉에 오르고, 마루금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1:48 445m봉에서 경사의 등로를 내려갔다가 다시 무명봉 448m봉에 오르고
이곳에서 마루금은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448m봉에서 숲이 우거지고, 낙엽이 많은 등로를 따라 완만하게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11:53 긴나무의자가 있는 "길고개" 안부를 지납니다.↓
길고개 안부를 지나면서는 칠봉산 오르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고...↓
커다란 돌들이 많은 암릉을 지나 오르고...↓
소나무가 많은 오르막 등로를 가파르게 올라갑니다.
칠봉산으로 오르는 등로옆으로는 하얀 비닐끈이 나무에 매어져 있고
지맥능선을 따라 산행이 끝나는 곳까지 이어지네요...
어떤용도인지 알수 없는 비닐끈만 잘 쫓아가도 지맥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12:21 갈고개에서 약28분동안 오르막 등로를 오르면 칠봉산(597.9m) 정상에 도착합니다.
이곳 칠봉산은 문경시 농암면 갈동리와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의 경계에 있으며
봉우리가 일곱개로 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예전에는 황령산 이라고 불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황령산과 황령사, 그리고 삼국지의 조자룡이 무술을 연마했다는
조자룡굴이 기록되어 있다. 또 산정상부에 사선암(四仙岩)이라는 큰 바위가 있는데 신선(선녀)이
노는 것을 시기한 장군이 칼로 바위를 내리쳐 바위가 갈라졌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또 조자룡이 용마을 얻었다는 "남곡용추"와 무술을 연마하면서 마셨다는 약수터 등이 있다.
특히 칠봉산 자락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신라시대(638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는황령사가 있고.
황령사는 임진왜란때 함창을 중심으로 봉기한 창의진 의병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작약지맥은 직진의 바고지재로 향한다.↓
칠봉산을 내려가는 등로는 무척 험하고 급경사다...↓
직벽수준의 로프가 매어져 있는 암릉을 내려가고..↓
12:30 내려가던 등로가 다시 암봉을 오르고...
암봉 정상부 직전에 좌측으로 우회하여 지난다.↓
암봉에서 뒤돌아본 지나온 칠봉산 풍경↓
암봉에서 바라본 오늘 가야할 533.3m봉과 311.4m봉으로 이어지는 작약지맥 능선↓
또 다른 암봉을 우회하여 지납니다.↓
오르내리는 등로를 따라 하얀 비닐끈이 매어져 있네요↓
칠봉산에서 안부까지 떨어졌던 마루금이 다시 급경사 등로를 오르고...↓
12:51 506.1m봉에 오르고...↓
12:54 약492m의 암봉에 도착하고....
암봉 좌측으로 우회합니다.↓
492m 암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우측으로 휘어져 소나무 숲길을 내려갑니다.↓
12:58 임산물 재배지로 입산금지 경고판이 땅에 누워있는 안부에 닿고↓
안부에서 바위들이 많은 급경사의 등로를 오릅니다.↓
13:03 해발 450m의 무명봉에 오르고...↓
450m봉을 지나며 바위들이 많은 암릉지대를 완만하게 지납니다.↓
13:13 암릉지대를 지나 오르막 경사의 등로를 올라서면 해발525m의 무명봉에 오르고
525m봉에서는 급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3:15 52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약2분쯤 가면 533.3m봉에 닿는데...
이 봉우리를 "바고지산"으로 부르고 있다.
바고지는 산아래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의 자연마을인 "바우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곳에 박씨가 처음으로 이주해 정착하였다고 하여
바고지(朴古地)라 부르던 곳으로 지금은 박우지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산정상부에는 정상석도, 산패도 없는 무명봉 처럼 보이고,
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간다.↓
바고지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초반에는 신갈나무가 우거진 능선을 내려가고↓
소나무가 우거진 숲길을 따라 내려간다.↓
13:30 등로 우측으로 묘지가 있고, 묘지 주변의 나무를 잘라낸 곳에 도착하고
작약지맥은 이곳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3:32 봉우리 정상부가 우묵한 365m의 무명봉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바고지재로 내려갑니다.↓
우측으로 내려가던 마루금이 벌목지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벌목지를 지난후에 절개지 우측으로 바고지재로 내려섭니다.↓
13:39 901번 지방도의 2차선 차도가 지나는 "바고지재" 풍경
좌측은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이고, 우측은 문경시 농암면 선곡리의 경계이다.
사현리의 자연마을인 바고지(朴古地)마을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고개이름으로
바고지는 이곳에 박씨가 처음 이주하여 정착하였기에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
작약지맥은 고개 좌측 사현리쪽의 절개지 끝에서 산으로 오른다.↓
바고지재의 901번도로 건너편 좌측 절개지에 시그널 붙어 있는 곳이 들머리다.↓
바고지재에서 산길을 올라서면 능선 좌측으로는 산을 개간해서
밭을 만들어 놓은 곳을 지나 산으로 오르게 된다.
세찬바람에 모자가 공중으로 날아가 절개 우측 아래 나무가지위에 얹혀버려
아쉬운 마음으로 모자만 바라보다가 모자 구하는것을 포기합니다.↓
산을 개간하여 밭을 만들어 놓은 절개지를 지나 경사의 등로를 오릅니다.
햇볕도 가릴수 없고...또 모자를 쓰지 않은 머리에 나무가지등이 닿아
머리를 다칠까봐 조심스럽네요↓
밭을 개간한 곳에서 올라서면 무명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3:51 지도상 고도 표시된 311.4m봉에 오릅니다.↓
13:55 311.4m봉에서 등로를 따라 약3분쯤 진행하면 삼각점을 만납니다.
삼각점 표지판도 없고, 글씨도 보이지 않는 삼각점을 지나고...↓
13:58 작은돌들이 무더기로 있는 32번 도로의 사현터널위 안부에 내려서고...
좌측은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이고, 우측은 농암면 지동리의 경계입니다.↓
사현터널위 안부를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바고지재를 지나면 편안한 산행이 될것 같았는데...
산행 막바지에도 계속해서 오르내림을 반복하니 힘이 드네요↓
무명봉을 하나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고...↓
그루터기만 남아 있는 무명봉을 지나고...↓
14:14 308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능선 좌측 아래로 구32번 도로가 보이네요↓
14:18 해발 315m의 무명봉을 오릅니다..
오늘 산행의 마지막 봉우리 입니다.↓
14:21 구32번 도로의 고갯마루의 철쭉동산이 만들어진곳에 내려섭니다.
산꾼들은 이고개를 뭉우리 고개라고 부르는데.. 실제 뭉우리 고개는
이곳에서 동쪽으로 약500m 정도 가면 은척면 두곡리에 "뭉우리고개" 가 있고
고개아래에는 뭉우리골이 있다.↓
14:21 새롭게 뚫린 사현터널을 지나는 32번도로의 신설로
지금은 차량의 통행이 거의 없는 32번 구도로의 고갯마루
좌측은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이고, 우측은 농암면 지동리의 경계인
도로명 "무운고개길"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버스가 문경시 농암면 사현리 32번도로 "사기막"버스 정류장앞에서 기다리고 있어
무운고개에서 32번 구도로를 따라 버스가 있는곳 까지 가느라 추가 트랙이 형성 되었네요.
나중에 도착하는 산우들을 위해 버스를 무운고개로 이동하였습니다.
트랙을 이용하실때 무운고개에서 산행이 끝났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백두대간상 지맥 > 작약지맥(2021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지맥4구간(진고개-206.4m-▲175.9m-137.2m-태봉산-합수점-금곡교남단) (0) | 2021.06.04 |
---|---|
작약지맥3구간(무운고개길-무운봉-작약산-시루봉-은점봉-수정봉-운암사-휴양림입구) (0) | 2021.05.23 |
작약지맥1구간(갈령-분기점-669.5m-두루봉-803.4m-▲663.4m-동네실재)산행 (0) | 2021.04.25 |
작약지맥(芍藥枝脈)이란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