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일지맥2구간(주미재-샛재-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산행
♧ 산행일시 : 2021.05.02. 일,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안일지맥팀
♧ 산 행 지 : 경북 울진
♧ 산행구간 : 주미재-샛재임도-대왕금강송-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
♧ 산행거리 : 17.80km
♧ 산행시간 : 5시간33분(10:24~15:57)
♧ 안일지맥2구간(주미재-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산행기록
♧ 안일지맥2구간(주미재-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트랙
♧ 안일지맥2구간(주미재-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주요지점 이동시간
※ 10:24 캠핑장(경북 울진군 울진읍 소광리)산행시작
10:30 임도삼거리(소광리생태관리센타임도/주미재임도)
11:14 ▲710.5m
11:35 샛재(조령성황사)
11:53 ×719m(굵은금강송)
12:04 망부송
12:10 ×784m(이정목:대광천←3.5km/대왕송→0.6km)
12:18 대왕송(600년된 금강송 전망테크)
12:25 안일왕산(▲819.3m)
12:49 ×580.1m
12:56 안부
13:02 폐헬기장
13:12 ▲519m(울진404/2004재설)
13:19 ×479.6m
13:45 ×641.8m(삼면봉:울진군 금강송면,북면,울진읍)
13:49 산불감시카메라시설물(×640m)
14:04 ×644.3m
14:14 ×625m
14:23 아구산(준.희 표지판▲653.1m/삼각점:울진301,재설2004)
14:30 헬기장
14:55 424.3m봉 좌측우회로
15:10 임도에서 우측 산길
15:23 ▲363.5m(울진406/재설2004)
15:33 용천사 임도(좌측)
15:46 용천사일주문
15:57 산행종료(울진군 울진읍 신림리 마을회관앞)
♧ 안일지맥2구간(주미재-안일왕산-아구산-용천재))산행지도
산행메모
2015년에 산악랜드에서 시행했던 안일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쳤으나...
그후 사정으로 안일지맥 2~3구간 산행을 못했었는데...
마침 좋은 사람들 산악회에서 안일지맥 산행이 있어
그간 하지 못했던 안일지맥 2구간 산행에 참석하였다.
안일지맥은 낙동정맥 석개재 남쪽 7.9km지점의 삿갓봉(1119.1m)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쳐 5.3km지점에서 북쪽으로 매봉산(응봉산:1000m)줄기를 떨구고
남동진하며 샛재, 안일왕산(安逸王山.812m), 아구산(653m), 금산(-0.9km.389m),
바릿재를 지나 비래봉산(20m) 을 거처 왕피천이 동해 바다에 드는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0.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왕피천(61km)의 우측 분수령이 되며 신산경표가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아구지맥을 안일지맥으로 이름을 바꿨다.
안일지맥 2구간은 주미재에서 시작하여 샛재, 안일왕산, 아구산을 지나
용천재에서 신림리 마을회관 까지 접속거리 포함 약18km의 산행을 하게 됩니다.
산행 들머리인 주미재로 가기위해서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를 지나는
구불 거리며 계곡을 오르는 1차선의 좁은 917번 지방도로를 따라 금강송면 소광리의
오토캠핑장앞에 도착을 하여 산행을 시작합니다.
♥
10:24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의 오토캠핑장에 좁은 길을 올라온 대형버스가
회차할수 있는 장소가 있어 버스에서 내려 산행을 시작합니다.↓
새롭게 포장된 금강송면 소광리 917번 도로를 따라 올라 주미재로 향합니다.
금강송면은 울진 읍내에서 서쪽에 입지하여 서면으로 하였다가 금강송 군락지에서
유래된 금강송면으로 2015년4월에 명칭을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10:30 917번도로가 직진으로 가고, 주미재는 우측의 후곡천을 건너게 되는 임도 삼거리에 닿는다.
삼거리 위쪽에 "소광리산림생태관리센터"가 있는데...이 삼거리에서 직원이 입산 제지를 하네요
사전에 입산신청을 하고 허가받은 사람만 금강송길을 걸을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 사실을 모르고 갔던 불찰로 입산을 못하고 되돌아 나올수 밖에 없었네요↓
입산금지된 금강송길이 아닌 능선을 오르려고
후곡천을 건너서 산능선 오르는 입구로 향합니다.↓
산꾼들인지...약초꾼들인지..누군가 지나간 흔적을 따라
샛재를 향해 가파른 능선을 오릅니다.↓
잡목과 미끄러운 낙엽이 갈길을 더디게 하는 등로를 힘들게 올라서면
무명봉에 닿고,...방향을 우측으로 틀어 계속해서 고도를 높입니다.↓
11:14 삼각점이 있는 710.5m봉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좌직진으로 급경사를 내려갔다가 666.8m봉을 오르고
다시 내려가면 샛재에 닿게 됩니다.↓
710.5m봉에서 낙엽이 쌓여 있는 급경사의 미끄러운 등로를 내려가 안부에 닿고↓
안부에서 급경사 등로를 올라 666.8m봉을 우회하여 샛재로 내려갑니다.↓
11:35 "조령성황사"가 있는 샛재에 도착합니다.
성황사는 처음에는 부상(負商)들이,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선질꾼들이
십이령을 오가며 장사를 할때 이들이 주도하여 제물을 마련하여 제를 지냈으며
선질꾼들이 사라진 이후에는 빛내마을에서 제당을 관리하고 제사를 지냈던 곳이다.
「조령성황사 중수기」에 의하면 샛재 성황사는 1868년(고종5)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1868년 이전에 만들어졌으며, 보부상단이 샛재 성황사 중수를
주도하였고, 중수하면서 당신도(堂神圖)를 그려 봉안하였음을 알수 있었다고 합니다.↓
샛재 풍경..
제당동쪽에 신목으로 높이 20m의 들미나무가 있고
찬물내기로 넘어가는 고갯마루 아래에 보부상이나 선질꾼들이 지나며
돌을 던져 만들어진것으로 추정되는 돌무지가 남아 있다.
인근의 안일왕 산성과 관련하여 아밀왕이 성을 쌓기위해
돌을 나르던 곳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샛재 이정목...대왕소나무 방향으로 안일지맥 능선입니다.↓
샛재를 지나면서 부터는 금강송이 자라고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금강송면 소광리일대에는 금강송이 많이 산재해 있다.
금강송은 조선시대부터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으며, 금강송 군락지는
우리 전통 소나무의 원형을 가장 완전하게 보전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 받는다.
1959년 육종보호림으로 지정된 이후 47년이 지난 2006년 일반인의 출입이 허용되었다.
금강송이 우거진 가파른 능선을 오릅니다.↓
계속해서 계단길의 등로를 오르고...↓
가파른 능선을 오르다가 뒤돌아본 백병산쪽 풍경...↓
11:53 가파른 계단을 올라서면 굵은 금강소나무가 있는 719m봉에 닿고...
안일지맥 능선은 약간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능선 좌측 나무사이로 우뚝 솟아 오른 안일왕산이 살짝 보이네요↓
719m봉에서 잠시 내려서면 목책이 설치되어 있는 안부를 만나고↓
연분홍 철쭉꽃이 피어 있는 능선을 완만하고 고도를 높이며 오르고..↓
울진 금강소나무 숲길 현위치 안내판이 있는 곳을 지납니다.↓
12:04 등로 좌측 아래로 커다란 금강소나무가 보이네요
남편을 기다리는 여인을 닮은 듯한 소나무로 "망부송"이라고 합니다.↓
망부송↓
망부송을 지나면 다시 급경사의 계단길을 올라 고도를 높이며 갑니다.↓
바람에 의해 넘어진 소나무를 이용해 만든 의자가 있는 곳을 지나 오르고↓
12:10 이정목이 있는 784m봉에 오르고.
안일지맥은 대왕송 0.6km방향인 급좌측으로 휘어져 가야합니다.↓
784m봉에서 잠시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는 다시 오르막으로 변하고
능선 우측의 허리를 돌아가면 고도를 높입니다.↓
12:18 대왕금강송나무를 조망할수 있는 전망대에 도착합니다.
"대왕송" 이라 이름붙여진 약600년된 금강소나무
2014년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높이가 14m, 가슴높이지름이 1.2m↓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산11번지에 위치한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600년된 금강소나무 "대왕송" 모습
금강소나무는 일반 소나무와는 달리 줄기가 곧바르고 마디가 길며
껍질이 유별나게 붉은데, 이 소나무는 금강산의 이름을 따서 금강송이라 부른다.
흔히 춘양목이라고 알려진 나무로 결이 곱고 단단하며 켠 뒤에도 크게 굽거나
트지 않고 잘 썩지도 않아 예로부터 소나무중에서 최고의 나무로 쳤다.↓
12:25 금강송을 보고나서 약5분정도 경사의 등로를 오르다가
등로에서 좌측으로 조금 벗어나 있는 안일왕산(▲819.3m) 정상에 오른다.
부족국가 시대에 창해 삼국의 하나였던 실직국의 안일왕이 파조국을
합병하였는데, 그 뒤 예국의 침략을 받아 쫓기게 되자 이 산에 성을 쌓고
방비를 한 것에서 "안일왕산성"이라 했다고 말한다.
울진 지방에서는 "애밀왕성터"라고도 한다. 그러나 안일왕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어 산과 산성 명칭 가운데서 어느것이 먼저인지는 알수 없다.
또한 산의 이름이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게 되었는지도 정확히 알수 없다.
다만「신증동국여지승람」(울진)에서 "안일왕산성은 돌로 쌓았으며 주위 753척인데
지금은 폐지되었다"라는 기록을 통해서 안일왕과 관련된 산 이름의 유래가
조선 중기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안일지맥의 주산임에도 정상석도, 표지판도 없어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안일왕산의 삼각점(죽변22/2004재설)↓
안일왕산에서 잠시 고도를 낮추며 완만하게 진행하고...↓
12:31 해발 약760m정도 되는 무명능선봉에 닿는다.
편안한 등로인 우측으로 진행하지 말고,
직진으로 급경사비탈을 내려가야 한다.(독도주의)↓
약760m의 무명능선봉에서 급경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갑니다.↓
고도를 낮추며 통나무 계단길을 내려가고↓
금강소나무 숲길도 지나고...↓
12:49 나무뿌리가 뽑혀져 있는 580.1m봉을 지나고...↓
계속해서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는 능선 좌측편 나무사이로 멀리 아구산이 살짝보입니다.↓
계속해서 고도를 낮추며 또 통나무 계단길을 내려갑니다.↓
12:56 고도약 480m되는 안부에 내려서고...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13:02 안부에서 올라가면 폐헬기장에 닿고....
폐헬기장에는 송이철에 움막을 짓고 머물렀던 흔적이 남아 있네요↓
헬기장을 지나면 급경사 오르막 등로가 이어지고↓
13:12 519.9m의 삼각점봉에 도착합니다.↓
▲519.9m 삼각점(울진404/재설2004)↓
519.9m봉을 지나면 잠시 내리막 등로가 이어지는데...
금강소나무가 고사목으로 변해 있는 능선을 지납니다.↓
13:19 고사목 지대를 지나 오르면 무명봉 479m봉에 닿고↓
13:21 무명봉 479.9m봉에서 약2분쯤 내려가면 임도 삼거리를 만나고,
안일지맥은 좌측의 임도로 진행하다가 우측 산으로 올라갑니다.↓
임도에서 산길로 오르는 들머리 풍경↓
임도에서 절개지를 올라서면 급경사 등로에 잡목이 많은 비탈을 오릅니다.↓
금강소나무가 있는 암릉을 지나 오르고...↓
능선에 닿으면 좌측으로 휘어져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오릅니다.↓
13:45 안일지맥 삼면봉(641.8m)준.희 표지판이 붙어 있는 봉에 닿는데...
이봉은 경북 울진군 울진읍, 금강송면, 북면이 만나는 봉입니다.↓
삼면봉에서 금강소나무가 줄지어 서 있는 완만한 능선을 지나고...↓
13:49 삼면봉에서 약4분쯤 가면 산불감시 카메라 시설물이 있는곳을 만나고...
시설물을 지나서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무인산불감시카메라 시설물이 있는 봉에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무인산불감시카메라 시설물이 있는 봉에서 내려가 임도를 건너고...↓
잠시 완만한 능선길을 걷습니다.↓
완만한 능선에서 숨을 고른후에 다시 급경사 등로를 오릅니다.↓
14:04 급경사 오르막 등로 끝에서 산악기상관측 시설물이 있는 644.3m봉에 닿습니다.↓
산악기상관측장비를 지난후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산악기상관측장비가 있는 봉에서 내려갈때 전방 우측으로 보이는 아구산 풍경↓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는 다시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4:12 오르막 등로 좌측으로 전망바위가 있는 곳에 닿습니다.
전방바위에서 바라본 안일왕산(중앙 뾰족한산) 풍경과 지나온 산줄기들↓
14:14 전망바위에서 올라서면 625m의 무명봉에 오르고...↓
625m봉에서 길게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면 다시 아구산 오르는 등로가 시작되는데...
간벌목이 등로 우측으로 있고, 오토바이들이 올라갔는지..?
우묵하게 파인 등로를 오릅니다.↓
마지막에는 황장목이 있는 급경사 등로를 오릅니다.↓
급경사를 올라서면 커다란 바위에 작은 돌을 쌓아 놓은 아구산 정상부에 도착합니다.↓
14:24 안일지맥 아구산(653.1m)산패가 붙어 있는 곳에 도착합니다.
경북 울진군 울진읍 대흥리에 있는 아구산은 주민들의 구전에 의하면 고기 입같이
생겼다고 하여 어구산(漁口山)에서 아구산 또는 악구산(岳口山)으로 불려졌다 한다.
산 남쪽으로는 광천이 감입곡류하는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불영계곡이 있다.↓
아구산 정상부 풍경↓
아구산(▲653m)삼각점(울진301/재설2004)↓
안일지맥은 아구산에서 좌측으로 약50m정도 진행후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14:30 등로를 내려가면서 헬기장을 지나고...↓
금강소나무가 많은 등로를 내려갑니다.↓
계속해서 금강소나무가 많은 무명봉을 지나고...↓
오토바이의 흔적이 있는 산길을 오릅니다.↓
14:55 우측으로 424.3m봉인데...
좌측 아래의 우회 등로로 진행하게 되고...↓
14:57 직진으로 잘되어 있는 등로에서 안일지맥은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우측으로 휘어진 안일지맥 등로는 경사의 비탈길을 내려가고...↓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는 멀리 동해바다도 보이네요...↓
15:02 넓은 묘지에서 시작되는 넓은 임도를 따라
앞쪽으로 보이는 363.5m봉으로 향합니다.↓
15:10 임도를 약8분정도 걷다가 임도에서 우측 산길로 올라갑니다.↓
363.5m봉은 아주 가파르게 올라가는데...
산행 후반이라 그런지 힘도 듭니다.↓
봉우리에 올라서면 커다란 소나무와 사각의 삼각점이 보입니다.↓
소나무 아래에 있는 "기본" 삼각점↓
15:10 기본 삼각점 약5m앞쪽에 있는 안일지맥 ▲363.5m봉에 도착합니다.↓
▲363.5m(울진406/재설2004)↓
363.5m봉에서 안일지맥은 우측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좌측으로 가기 쉬운곳으로 독도주의↓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이 많은 능선을 내려갑니다.↓
15:33 용천재의 임도에 닿고....
좌측 용천사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넓은 임도를 따라 내려가고..↓
15:46 임도를 따라 약12분정도 내려오면 용천사에 도착합니다.↓
용천사 작은법당↓
용천사 일주문과 관세음보살상↓
용천사 일주문을 나선후에 포장도로를 따라 신림리 마을회관까지
약10여분을 걸어 내려가서 산행을 마치게 됩니다.↓
15:57 경북 울진군 울진읍 신림리 마을회관앞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
'낙동정맥상 지맥 > 안일지맥(2021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일지맥3구간(용천재-검산-316.9m-가진재-▲182.2m-비래봉산-합수점)산행 (0) | 2021.05.17 |
---|---|
안일지맥 (安逸枝脈. 구 아구지맥)이란 ? (0) | 2021.04.22 |
안일지맥1구간(백화사입구-삿갓봉-안일지맥분기점-대밭목재-쇠치지맥분기점-주미재) (0) | 202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