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상 지맥/운달지맥(2021완)

운달지맥3구간(새터재-장구매기산-달고개-월방산-천마산-달봉산-삼강합수점)산행

by 山頂 2021. 4. 12.

운달지맥3구간(새터재-장구매기산-달고개-월방산-천마산-달봉산-삼강합수점)산행

 

♧ 산행일시 : 2021.04.10. 토, 날씨 : 맑음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 운달지맥팀 25명

산행거리 : 32.89km(3-1=19.29km+3-2=13.60km)

산행시간 : 9시간33분=(3-1구간02:50~08:21=5시간:31분)+(3-2구간08:21~12:24=4시간2분)

교 통 편 : 좋은사람들버스28인승

산행구간 주요지점 통과 시간

    ※ 02:50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석봉리 260번지 돌당골출발

        02:58 새터재 이정목(포장임도에서 비포장임도 좌틀)

        03:10 ×370m(이정목:배넘어산3.2km/돌리네습지0.5km/주차장1.4km)

        03:18 ×350m(이정목:주차장1.2km/돌리네습지0.5km/등산로정상전망대0.4km)

        04:02 ×358.5m(송전탑109)

        04:10 ×281m(우틀)

        04:21 장구매기산(×310.7m/급좌틀)

        04:43 달고개(달곡로/923번도로/옹벽좌측)

        05:04 ×350m(▲381m갈림)

        05:16 ×321.8m

        05:31 ×360.6m

        05:39 전망데크

        05:42 ×320.2m

        05:45 안부

        05:58 ×352.9m

        06:16 금사재

        06:39 ▲352.7m

        06:46 ×340m봉(급좌틀/독도주의)

        06:56 ×348.2m(우틀)

        07:13 월방산(×360.1m정상석/월방화합송)

        07:24 ×330m

        07:41 자실고개(봉서리표지판)

        07:53 봉서 삼양목장

        07:59 약천산(×213m정상석)

        08:14 진정사거리(34번도로)

        08:27 경북선 철도(횡단)

        08:35 왜곡재

        08:45 ×137m

        08:52 반곡리 도로접속

        09:03 일월출정(휴식/좌틀)

        09:14 새발재(봉계쉼터 정자)

        09:23 ×116m

        09:30 923번도로 접속(도로따라진행)

        09:49 사근1리(924번도로접속/영순중앙교회)

        10:01 서낭댕이 버스정류장

        10:06 밤고개(무림길에서 우측무림1길진행)

        10:19 ×175m(우측벌목능선)

        10:29 ×236.2m(준.희 격려판)

        10:39 ×223m

        10:53 천마산(278m 정상석/산불감시초소/우틀)

        11:01 ×235m(우틀)

        11:06 ×210m(현위치 문경A10표지목)

        11:16 ×205m

        11:20 큰고개(문경시 영순면 이목리 큰고개길)

        11:37 205m

        11:45 199.5m

        11:57 달봉산(×236m/육각정자)/좌틀)

        12:01 임도(임도건너절개지오름)

        12:07 ×200m봉

        12:24 삼강교(지맥종료)

        12:39 삼강주막 주차장(삼강종합안내소)산행종료

♧ 산행트랙 : 운달지맥3-1구간(새터재-산양제2농공단지)

운달3-1(새터재-산양제2농공단지)산정.gpx
0.36MB

                 

운달지맥3-2구간(산양제2농공단지-삼강교합수점)

운달3-2(산양농공단지-삼강교)산정.gpx
0.27MB

 

♧ 운달지맥3구간(새터재-월방산-약천산-천마산-달봉산-삼강교합수점)산행기록

운달3-1(새터재-산양농공단지)

운달 3-2(산양농공단지-삼강교)

♧ 산행지도 : 운달지맥3구간(새터재-월방산-약천산-천마산-달봉산-삼강교합수점)지도

운달3-1
운달3-2
운달3-3
운달3-4
운달3-5

 

산행메모

 

운달지맥은 생사를 넘나들었던 그래서 잊을수 없는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지맥길이다.

2018년12월20일 운달지맥 첫구간 산행을 순조롭게 진행하던 중에 국사봉(940m)에서

급성심근경색으로 산행을 포기하고 마전령으로 하산하여 119로 문경제일병원응급실로

이송되었으나, 심장시술을 할수 있는 병원이 아니랍니다.

생사의 기로에서 촌각을 다투는 심장시술이 필요한데...

문경제일병원에서 응급처치후에 경북안동에 있는 권역응급의료센타인 안동병원에

연락하여 닥터헬기를 타고 병원응급실에 도착하자마자 관상동맥의 좁아진 부분에

스텐트2개를 넣는 시술을 무사히 마쳤고

병원에서 2박3일을 머물러 치료를 받은후에 집으로 귀가 하였기 때문입니다.

그후 심근경색으로 인해 마치지 못한 운달지맥 산행을 할 기회가 없었는데..

마침 "좋은사람들"카페에서 운달지맥 일정이 잡혀 있어서 참여 하게 되었습니다.

운달지맥이란 백두대간 대미산(1,115m)에서 남으로 분기되는 능선으로

여우목고개(618m)를 지나 911.9m봉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마전령(661.7m)에서

지맥 이름을 낳은 운달산(1,097.2m)으로 이어지고 운달산에서 계속 남진하는

운달지맥은 석봉산(985.7m)을 지나면서 고도를 낮춘다.

조항령을 지나 활공장으로 변한 866.9m봉을 들어올린후 남쪽 단산(959.4m)과

월방산(360.1m), 약천산(210.8m)에서 천마산으로 이어진 다음 금천이 낙동강에

합수되는 삼강교에서 맥을 다하는 약48.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심근경색으로 산행을 포기했던 마전령에서 새터재까지는 좋은 사람들 산악회에서

시행하는 운달지맥2구간 산행을 신청해 놓았었는데...첫구간을 시작할때 여우목고개에서

대미산 오르는 것을 막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으로 첫구간 대신에 두번째 구간을 했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로 두번째 구간은 또 숙제로 남았고...마지막 구간 산행에 참석을 합니다.

운달지맥 3구간은 새터재에서 시작하여 삼강교 합수점까지 약 32km정도 되는 거리로

무박산행으로 시행하였는데...당일 산행으로 하려면 3구간, 4구간에 해당 됩니다.

무박산행은 안하는것을 원칙으로 산행을 이어왔지만...교통이 불편한 운달지맥이라서

산악회를 따라 왔으니...어쩔수 없이 무박산행을 10여년만에 하게 되네요

02:50  사당역1번 출구앞에서 4월9일(금) 23시50분에 출발하여 중

부내륙고속도로의 충주휴게소에서 휴식을 잠시 한후에

새터재로 오르는 들머리인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석봉리 260번지앞에 도착하고

마을에 도착하니 칠흙같이 어두운 한밤중이고...동이틀려면 아직도 먼데..

웅성거리며 산행길에 나서는 낯선 산꾼들을 향해  동네 개들이 마구 짖어대네요

석봉리 마을에서 새터재로 오르는 포장도로를 구불구불 올라갑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보지만...어두워서 쓸만한 사진이 없네요

02:58  해드렌턴의 불빛을 이용해 비교적 편안한 포장도로를 따라 오르면

오르막끝에서 이정목을 만나고, 좌측의 비포장 임도를 따라 갑니다.↓

방향감감도 잊어버리고...마구 내달리는 산꾼들의 불빛을 따라

산능선을 오르내리는 비포장 임도를 따라가니 또 이정목을 만납니다.

전망대(돌리네습지) 방향으로 갑니다.↓

03:10  해발약370m되는 지점의 이정목을 만납니다.↓

03:18  350m봉의 이정목(주차장1.2km/돌리네습지0.5km/등산로전망대0.4km)

등산로 전망대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04:02    산행을 하면서 아무것도 보지못하고, 걷기만 하는 무박산행...

그래서 무박산행을 안해왔는데...

오늘은 해뜰때까지는 어쩔수 없이 걷기만 해야겠네요

지도상 고도표시된 358.5m봉의 나무를 찍어봅니다.↓

04:10  까만밤...불빛에 의지해 땅만보고 걷지만

등로가 희미해 간간히 등로를 벗어났다가 되돌아오기를 하며

해발281m봉에 오릅니다.

나무가지에 이곳을 지나간 산꾼들의 표식기가 보이네요↓

04:43    310.7m봉을 지나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오면 달고개 도로에 내려섭니다.

달곡로의 2차선 차도가 지나는 달고개에서 옹벽 좌측으로 산길을 오릅니다.↓

05:04 달고개에서 희미한 등로를 따라 약20여분을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381.1m봉 갈림길에 닿습니다.

좌측으로 고도를 약30m정도 올리면 만나는 삼각점봉은 가지 않고,

우측으로 휘어져 지맥능선을 이어갑니다.↓

05:16  지도상 고도 표시된 임도상의 321.8m봉을 지납니다.

계속해서 임도 따라 한참을 진행합니다.↓

 

임도에서 간벌을 하고 묘목을 심어 놓은 경사진 간벌지를 오르면서

뒤돌아본 풍경...멀리 천주봉이 실루엣처럼 보이고...

파노라마처럼 물결치는 산능선위로 여명이 밝아 오기 시작하네요.↓

05:31   간벌지를 올라서면  360.6m봉에 닿고..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 안부로 향합니다.↓

05:39   안부에 잠시 오르면 전망데크가 있는 곳에 닿습니다.↓

전망데크에서 바라본 문경시 호계면 지천리 방향뒤로 여명이 밝아 오는 문경시내의 풍경↓

05:45  문경시 호계면 지천리와 문경시 산북면 대상리를 연결하는 안부를 지나고..↓

05:58   352.9m봉을 지납니다..↓

06:04  금사재로 향하는 무명봉 능선 좌측으로 일출이 시작됩니다.↓

아주 오랬만에 산행중에 보는 일출 풍경↓

인생에서도 역경을 이겨내면 행복한 시간들을 맞이 하듯이

캄캄한 어둠속에서 산길을 헤매던 시간들이 사라지고

이젠 눈으로 주변의 풍경들을 보며 산길을 걷게 되겠죠...↓

일출을 보며 능선을 내려가면 넝쿨이 우거져 있는 안부에 내려서고↓

06:16   넓은 비포장 임도의 산능선을 지나서 금사재에 내려섭니다.

금사재의 포장 임도는 좌측의 문경시 호계면 지천리와

우측의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를 잇는 고개다.↓

금사재 고갯길의 포장임도를 건너 야산의 능선을 지나고...

06:22  또 다시 세멘트포장 임도를 건너 산길로 지맥을 이어간다.↓

간벌목이 지저분하게 널려 있는 능선을 지나고...↓

등로 좌측으로 굵은 로프가 매어져 있고...

사유지로 출입을 금지한다는 표지판이 매달려 있는 능선을 오릅니다.↓

햇볕을 받아그런지..유난히도 하얗게 보이는 산벚꽃 나무가 있는 곳을 지나고↓

06:39   삼각점이 있는 352.7m봉에  오릅니다.↓

계속해서 사유지를 경계짓는 로프를 따라 무명봉을 하나 올랐다가 내려가고...↓

06:46   해발 340m의 무명봉에 닿고, 정상부에 사유지 출입금지 표지판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사유지 경계 밧줄을 넘어 좌측으로 지맥능선이 이어집니다.(독도주의)↓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면 또 사유지 경계밧줄을 따라 안부로 내려갔다가

다시 급경사의 등로를 올라갑니다.↓

06:56  348.2m봉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07:06   좌측 호계면 구산리와 우측의 산양면 봉정리를 잇는 안부를 지나고...

07:10  월방산 갈림길 삼거리에 도착합니다.

좌측으로 100m를 가면 월방산이고, 지맥은 우측 봉천사 방향입니다.

월방산을 다녀옵니다.↓

07:13  월방산(360.1m)정상에 도착합니다.

문경시 산북면 운달산 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산북면과 호계면 산양면 경계에

솟은 산으로 산기슭에 봉서리 삼층석탑, 마애보살입상, 등의 불교 유적이 있다.

산아래에 있는 산신당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에 산제사를 드린다고 한다.↓

문경 호계면 월방산에서↓

월방산 정상부에 있는 "월방화합송"↓

월방산 정상부에 있는 월방산둘레길 안내판

지맥은 우측 봉천사(1.7km)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월방산을 지나면서 부터는 복숭아꽃길을 자주 만납니다.↓

봉샘 갈림길을 지나고↓

07:24   잡목이 많은 능선을 올라 철망울타리가 쳐져 있는 330m봉을 지납니다.↓

330m봉에서 내려와 복숭아꽃이 피어 있는 걷기 좋은 등로를 따라 진행하고↓

좋은 등로 우측의 잡목능선으로 올라가 지맥산행을 이어갑니다.

잡목도 많고, 등로도 희미해 고생스런 산길입니다↓

07:38   잡목능선을 포기하고, 좌측으로 내려가 호계면 봉서리3층석탑에 닿습니다.

이탑은 높이 4.58m의 통일신라시대 석탑으로 일제말기 사리구절취단에 의해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91년10월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자연암반을 깍아 지대석이 생략된 특수한 구조로서 단층 기단위에 탑을 세웠으며

탑내의 사리구는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1965년 문화재협정에 의해 반환되었으며

현재 청자완목제사리함, 수정사리호등 사리구 유물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이 위치한 곳에 봉덕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하고, 사찰에서 사용하였던것으로

추정되는 석물들이 남아 있다.↓

07:41   봉서2길 2차선도로를 따라 "월방산 봉서리 표지판"이 있는 곳을 지나고↓

봉서2길 2차선도로 양옆의 바위아래에 이름을 붙여 놓은곳을 보며 지납니다.↓

봉서2길 2차선 도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앞쪽에 보이는 수루재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야 합니다.↓

수루재 삼거리에서 좌측의 봉서2길을 따라 지맥길을 이어갑니다.↓

포장된 도로 우측이 지맥능선이지만...

산허리를 돌아가는 비포장도로를 따라 진행하고↓

07:53   봉서 삼양목장 입구를 지납니다.

CCTV가 설치되어 있네요↓

봉서 삼양목장 입구를 지나내려오면 좌측에 폐축사가 있는곳을 지나

임도를 따라 약천산으로 향합니다.↓

약천산으로 오르는 등로는 넓고, 사람이 다닌 흔적도 보이네요↓

07:59   약천산(213m)정상에 도착합니다.

경북 문경시 산양면 반곡리에 있는 약천산은 운달지맥의 마지막 부분으로

약천산에서 이어지는 가재골에 약샘이 있어 藥泉山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곳곳에 바위가 있으며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으나, 높이가 낮은 야산으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 찾는이는 많지 않다. 산자락에 경선암이 있다.↓

약천산 아래로 보이는 산양농공단지풍경↓

약천산에서 34번 도로로 내려오는 등로에는 여기저기

많은 바위들을 만나게 되는데...고래의 머리처럼 생긴 바위도 지나고↓

커다란 바위가 두동강으로 잘라진 곳도 보며 지난다↓

약천산을 내려오면 34번도로의 우측에 산양교차로 표지판이 보이고..

운달지맥은 좌측의 진정사거리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08:14   34번도로의 진정사거리에 도착합니다.

운달지맥은 진정사거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의 산양공단2길로 들어섭니다.↓

산양공단2길 풍경↓

산양공단2길을 따라 가다가 유풍산업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도로끝까지 가게 됩니다.↓

08:27   도로가 끝나는 곳에서 좌측의 풀이 우거진 공터를 지나

절개지를 내려가면 경북선 철도를 만나게 되고...

철도건널목이 없어 무단횡단하여 절개지를 올라야 합니다.

경북선은 경부선의 김천역에서 중앙선의 분기점인 영주역을 연결하는

길이 115.2km의 단선철도로 여객수요가 적어 폐쇄된 역도 많고,

열차의 운행회수가 적은 경북 북부지방의 교통망의 하나이다.↓

경북선 철도의 절개지를 올라서면 만나는 농로

농로따라 직진방향으로 보이는 나즈막한 능선으로 향합니다.↓

농로가 좌측의 민가쪽으로 휘어지는 곳에서 직진의 밭둑을 지나면

나즈막한 산자락의 능선으로 지나는 넓은 임도를 만나 임도 따라 진행합니다.↓

08:35  비포장 임도를 잠시 걸으면 포장도로와 만나는 왜곡재에 닿는다.

앞쪽으로 목장이 보이고, 목장옆으로 이어지는 비포장농로를 따른다↓

목장을 지나 비포장의 농로를 따라 계속진행합니다.↓

08:35  넓은 임도를 따라 오르면 초계변씨 묘지를 지나고

묘지를 지난후 잡목이 많은 능선길을 따라 137m의 무명봉에 닿고.....↓

135m봉을 지나는 능선 우측으로 문경시내쪽 풍경이 보이네요↓

135m봉을 진행하여 내려와 농로를 만나고

농로를 건너 밭이 보이는 능선으로 올라야 하는데..

파종준비를 하며 분주히 일하는 농부들이 보여 능선을 포기하고

문경시 산양면 반곡리 백동마을로 내려섭니다.↓

좌측으로 우회한 능선을 보며 마을도로를 따라갑니다.↓

08:55  백동입구의 수로밑을 지나서 우측 산길로 오릅니다.

우회 하였던 농부가 일하던 밭이 있는 능선을 지나오면

이곳에서 만나게 되는 곳입니다.↓

수로뒤의 야산을 오르면 잡목이 많고, 등로는 희미한 능선을 지납니다.↓

잡목이 많은 야산의 능선을 내려오면 포장된 농로를 만나고...

앞쪽으로 보이는 정자로 운달지맥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09:03   육각정자의 안쪽에 日月出亭 이라 써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휴식을 갖는 곳인듯..생활용품들도 정자안에 많네요

잠시 계단에 앉아 휴식을 갖은후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일월출정에서 내려가는 넓은 임도..

임도를 내려가면 "새발재"닿게 됩니다.↓

09:14   일월출정에서 내려가면 만나는 새발재에 있는 봉계쉼터↓

09:17   봉계쉼터에서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약3분쯤 가면 923번도로와

만나는 삼거리에 닿습니다. 도로 뒤쪽으로는 평지저수지가 있고,

운달지맥은 923번도로의 의성방향으로 가다가 우측의 산길을 오르게 됩니다.↓

09:23   923번 도로의 우측 산길을 오르면 약116m의 무명봉을 지나고...↓

116m봉에서 넓은 임도를 따라 내려오면 앞쪽으로 사과과수원이 보입니다.

운달지맥은 과수원직전에 좌측의 수로가 지나는 곳을 따라야 합니다.(독도주의)↓

수로를 따라 야산을 넘으며 운달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09:30   수로를 따라 야산을 지난후에 다시 923번 도로에 내려서고

오르막 도로를 따라 오릅니다.↓ 

09:36   923번 도로를 따라 고갯마루턱에 올라서면

좌측으로 공장(동양ENG)이 보이는 포장도로로 지맥을 이어갑니다.↓

세멘트포장 도로는 밭사이를 지나는 농로로 변하고...↓

포장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휘어지며 앞쪽으로 보이는 923번도로로 향합니다.↓

포장도로는 좌측으로 휘어져 사근리의 영순중앙교회쪽으로 향합니다.↓

09:49    사근리 영순중앙교회앞의 923번 도로에 도착합니다.↓

923번 도로를 따라 걸으며 사근1리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글로벌 선진학교 문경캠퍼스앞을 지나고↓

09:54   사근삼거리에서 운달지맥 마루금은 우측도로인 "무림길"을 따라 이어집니다.↓

"무림길"을 따라 걷는 우측으로는 산행중에 함께 했던 수로도 보이네요↓

10:01   무림길의 "서낭대이"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사근리 마을 정자가 있는곳을 지나고...

10:06   무림길을 따라 "밤고개"에 도착하고...

이곳에서 운달지맥은 우측의 무림2길을 따라 갑니다.↓

무림2길을 따라 민가의 맨끝까지 올라가고...↓

무림2길 끝에서 우측 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릅니다.↓

비포장 임도를 올라서면 포장임도를 만나고..포장 임도를 따라 언덕을 오릅니다.↓

10:12   포장임도가 비포장으로 바뀌고...

묘지를 두고 임도가 좌우로 갈라지는 곳에서

좌측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10:19   좌측 임도를 올라서면 벌목지의 175m봉에 닿고..

우측으로 휘어져 벌목지 능선을 따라 236.2m봉으로 가게 됩니다.↓

175m봉에서 바라본 가야할 벌목능선과 그 정점의 236.2m봉↓

벌목능선 우측으로 보이는 풍경

벌목지 아래의 태양열발전설비와..멀리 문경시내↓

10:29   벌목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236m봉에 닿습니다.↓

236m봉 정상부에는 "운달지맥을 종주하시는 산님들

힘힘힘 내세요!"  준.희님 격려판이 산꾼들을 반갑게 맞이 합니다.↓

10:39    236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갔던 마루금이

안부를 지나 다시 오르막 산길을 올라223m봉에 닿고...↓

10:40  도장골 안부를 지납니다.↓

안부를 지나 가파르게 오르고...↓

나무의자3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무명봉을 지납니다.↓

의자3개가 놓여 있는 무명봉을 지나 천마산으로 가는 능선의

우측 나무가지 사이로는 낙동강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10:53  산불감시초소와 정상석이 자리하고 있는 천마산(278m)정상부에 도착합니다.

이곳 천마산은 문경시 영순면 이목리.말응리에 속해있는 산으로 높이는 낮지만

문경시의 남쪽 끝에 솟아 정상에 서면 낙동강이 내려다 보인다.

옛날에는 산기슭에 나루터가 있어 많은 배들이 드나들었다고 하며, 그래서 지금도

이목1리를 금포, 이목2리를 백포라고 부른다. 해장골에는 작은 암자인 해장사가 있다.↓

천마산(278m)정상석↓

천마산에서↓

천마산에서↓

운달지맥은 천마산 정상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소나무 숲길을 내려갑니다.↓

11:01  천마산에서 내려갔던 마루금이 안부에서 다시 올라

무명봉인 235m봉을 오른후에 다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1:06   현위치 문경A-10 이 있는 약210m봉을 지나고...↓

소나무 숲길 우거진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11:12           222.3m의 무명봉을 지나고...

11:16   205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무명봉인 205m에서 내려가면 만나는 이정목(천마산←1.6km,삼강교↓3.7km)에서

우측(삼강교3.7km)으로 내려가 도로에 닿습니다.(독도주의)↓

11:20   이정목에서 내려오면 "큰고갯길"도로에 닿고,

도로따라 큰고개(큰고개는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와 이목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오르다가,

전봇대가 있는 우측 산으로 올라 운달지맥 산행을 이어갑니다.↓

큰고개에서 소나무숲길을 따라 좋은 등로를 올라가고

11:31   등산로 표지판을 나무에 매달아 놓은 195m봉을 지납니다.

이후로 고만 고만한 봉우리들을 계속해서 오르내리게 되네요↓

11:37  205m의 무명봉을 지나고...↓

긴나무의자가 하나 있는 무명봉을 지나고...

11:45     지도에 해발고도 표시된 199.5m봉을 지납니다.↓

199.5m봉을 지나면 다시 달봉산 오르는 등로가 시작되고...↓

11:57    육각정과 정상석이 있는 달봉산(236m)에 올라서고....

운달지맥은 달봉산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달봉산 정상 좌측으로 지나온 마루금과 정면으로 문경시내 풍경↓

달봉산에서 좌측으로 휘어진후에 만나는 잘 다듬어진 등산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12:01   달봉산에서 약4분쯤 내려오면 만나는 세멘트 포장 임도의 이정목↓

임도를 건너 시그널이 보이는 비탈의 절개지를 오릅니다.↓

12:07   임도 절개지를 올라서 약6분정도 진행하면

해발 200m의 무명봉을 지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의 나무사이로 삼강교와 삼강주막쪽 풍경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급경사의 내리막 등로가 좌측으로 휘어져 산허리를 돌아가네요..

직진으로 계속내려가기에는 너무 급경사 비탈이라 내려갈수가 없습니다.↓

삼강교가 보이고, 그아래 내성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풍경이 손에 잡힐듯 가깝네요↓

급경사를 내려서면 운달지맥이 끝나는 내성천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잡은 용화사에 도착합니다.↓

용화사↓

삼강교와 내성천 풍경↓

12:24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분기하여 도상거리 48.8km를 뻗어온 산줄기가

내성천이 낙동강과 합류되는 지점인 삼강교에서 그맥을 다하는 풍경을 보며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 삼강교 에서 운달지맥 산행을 종료합니다.↓

버스가 삼강교(낙동강) 건너편에 있는 삼강주막 주차장에 있다고 하여

경북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에서 경북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로 향합니다.↓

삼강교를 건너면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로 접어듭니다.↓

예천 삼강문화단지 풍경↓

삼강주막 풍경↓

12:39  삼강주막 주차장에서 운달지맥3구간 산행을 종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