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인지맥1구간(KB천안연수원-분기점-큰매산-미륵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
♧ 산행일시 : 2021.04.01. 목, 날씨 : 맑음
♧ 산행참여 : 2명(산정,위치로)
♧ 교 통 편
- 갈때 : 06:30 영등포역 무궁화호열차탑승
07:30 천안역 도착(5,700원)
07:40 천안역동부광장 택시승차
08:05 KB천안연수원 도착(10,300원)
- 올때 : 14:40 삼거리입구 정류장에서 500번 버스 승차
15:20 평택역 도착
15:59 평택역에서 무궁화호 탑승
16:40 영등포역 도착(4,300원)→전철로 귀가
♧ 산행구간 : KB천안연수원-분기점-망향봉-큰매산-미륵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
♧ 산행거리 : 28.70km(차량이동 약7km포함)
♧ 산행시간 : 6시간26분(08:13~14:40)+차량이동시간 포함
♧ 영인지맥1구간 산행기록(KB천안연수원-분기점-큰매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
♧ 영인지맥1구간 산행트랙(KB천안연수원-분기점-큰매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
♧ 영인지맥1구간 (KB천안연수원-분기점-큰매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주요지점 이동시간
※ 08:13 KB천안연수원(충남 천안시 문암동)정문앞 산행시작
08:42 갈마고개→08:52 영인지맥 분기점
09:06 ×337m(폐안테나봉/급좌틀)
09:18 ×293.6m(성거산및문암저수지 조망)
09:24 망향봉(×255m)
09:29 삼각점(등로)
09:40 무너미고개
09:59 경부고속도로 하부 도로
10:10 사각정자(×143m)
10:21 ×155m
10:31 큰매산(▲142.2m)
10:35 북일고후문
10:45 힐스테이트천안신부아파트앞 택시승차
10:58 아산시 음봉면 산동리 오성LST정문 하차
11:08 미륵산(×185.7m/휴식/좌틀)
11:29 충장사
11:43 용와산(▲238.6m)
11:55 ×135m(급좌틀)
12:03 쌍용고개(월암로 2차선도로/아산시 음봉면 월랑1리)
12:08: 수산씨에스엠 회사의 철망울타리 좌측(배밭)으로 우회
12:21 지맥능선 접속(그물망밭 끝)
12:43 ×251.2m(우틀)
12:59 연암정(육각정자)
13:01 연암산봉수대(봉수대5개)
13:09 연암산(▲292.7m)
13:26 ×160m(좌틀)
13:31 연암산로2차선도로
13:36 파인디앤씨 철망울타리
13:50 송촌생태통로(43번국도)
14:08 둔덕산(×226.2m)
14:28 ×158.1m
14:37 어르목고개(음봉면로 2차선도로/음봉면고개)
14:40 충남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삼거리입구 버스정류장 산행종료
♧ 영인지맥1구간 산행지도(KB천안연수원-분기점-큰매산-용와산-연암산-둔덕산-어르목고개)
산행메모
금북정맥상에 있는 영인지맥 영인지맥(靈仁枝脈) 산행을 위치로님과
두번에 나누어 종주 하기로 하고 그첫번째 구간 산행을 시작한다.
영인지맥(靈仁枝脈)은 금북정맥이 칠장산에서 서남진하여 칠현산, 덕성산, 서운산,
성거산(579.1m)을 넘어 걸마고개에 이르기 200m전에 서쪽으로 가지를 쳐
경부고속도로와 1번국도를 건너선 천안시 북부시가지를 지나서 노태산(141m),
천안 제3,4공단을 지난다. 아산땅으로 들어선후 용와산(238.3m), 연암산(292.7m),
둔덕산(225m), 국사봉(222.5m), 금산을넘어 영인산(363.9m)을 일군후
입암산(207.4m)에서 서해에 맥을 담구는 도상거리 44.8km에 이르는 산줄기로
북쪽의 물줄기는 안성천으로 흘러들고,
남쪽의 물은 곡교천으로 흘러들어 삽교천에 합류한후 서해로 들어간다.
영인지맥의 첫번째 구간은 들머리를 KB천안연수원으로 잡고 분기점에 올라선후에
산줄기를 따라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의 어르목고개까지 약29km의 산행을 하였으며
분기점을 출발하여 큰매산을 지나고 북일고등학교옆의 힐스테이트천안아파트를 지나
천안시내구간에 들어서고 부터는 산줄기 모습은 찾을수 없고,
노태산에서 624번 도로사이와 천안 3, 4 산업단지 조성으로 지형조차 변하여
시내구간과 독도하기가 어려운 구간인 오성LST앞까지는 차량(택시)으로 이동했고,
아산시 음봉면 초입에 자리한 오성LST 정문앞에서 다시 지맥능선에 올라 용와산,
연암산, 둔덕산을 지나고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어르목고개에서 산행을 종료하였다.
♥
08:13 천안역 동부광장앞 택시정류장에서 택시를 타고 KB천안연수원으로 가는데
아침 출근시간대와 맞물려 도로에 차량으로 가득해 지체가 되어 약20여분을 걸려 도착하였고.
연수원 정문앞에서 산행준비를 하고 정문옆의 임도를 따라 산행을 시작한다.↓
정문우측의 임도를 따라 민가가 있는곳까지 가고....
민가 직전에 우측의 개울을 건너 산으로 오른다↓
계곡을 따라 태조산 오르는 등로에서 간간히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이정목을 만난다.↓
KB연수원길 제3지점 국가지점번호판을 지나며 등로는 가파르게 오른다.↓
08:42 KB연수원을 출발하여 약30여분을 걸려 금북정맥상의 걸미고개에 도착하고..
걸미고개에서 좌측으로 금북정맥 마루금을 따라 영인지맥 분기점으로 향합니다.↓
갈마고개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르면
나무가지 사이로 금북정맥상의 성거산(579m)이 보입니다.
성거산은 왕건이 삼국을 통일하기 위하여 힘쓰고 있을 당시 천안시 직산읍
산헐원을 지나다가 동쪽의 성거산을 보고 신령이 있다 하여 성거산이라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이야기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진달래꽃이 활짝피어 있는 소나무숲길을 오르면 영인지맥 분기점에 닿게 된다.↓
08:52 영인지맥 분기점에 도착합니다. 삼수봉이란 표지판도 있습니다.
KB천안연수원에서 약40여분, 걸미고개에서는 10분 걸렸네요
금북정맥상에서 영인지맥은 좌측으로 휘어져 가고,
오른쪽은 금북정맥의 성거산 방향입니다.↓
영인지맥 분기봉을 삼수봉이라고도 부르는것 같네요↓
영인지맥 분기봉의 이정목..
영인지맥은 천흥저수지 방향입니다.↓
영인지맥 분기점에서...↓
영인지맥 분기점에서↓
분기점을 내려가면 소나무와 바위들이 있는 곳을 지나고..↓
좌측으로 아침에 산행을 시작했던 KB 천안연수원건물과
그 아래로 문암저수지와 천안시내가 조망되고...
영인지맥은 문암저수지 우측의 산줄기를 따라 내려가게 됩니다.↓
잘만들어놓은 나무계단을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09:06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가 다시 오르막을 올라
폐안테나가 서 있고, 약간의 공터가 있는 337m봉에 닿고.
영인지맥은 이봉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337m봉에서 고도를 낮추며 계속 내리막 등로입니다.↓
09:18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던 등로가 다시 솟구쳐 293.6m봉에 오릅니다.
무명봉이지만...동남쪽으로 조망이 좋네요↓
신이 살고 있다고 전해지는 금북정맥상의 성거산(579m) 모습↓
좌측 아래로 보이는 문암저수지와 천안시내 풍경↓
09:24 조망이 좋은 293.6m봉에서 내려가면
나즈막한 정상석이 있는 "망향봉"에 닿고,
영인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망향봉에서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소나무 숲길..↓
소나무 숲길을 지난후에 등로에 있는 삼각점을 만납니다.
1996년 글씨만 있는 알수없는 삼각점을 지나고..↓
계속 고도를 낮추며 좌측으로 휘어져가며 내려갑니다.↓
09:40 커다란 느티나무 당산목이 있는 "무너미고개"에 닿습니다.
고개가 높지 않아 물이 넘는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영인지맥은 당산나무를 지나서 직진으로 앞쪽 산으로 오릅니다.↓
무너미고개를 지나 영인지맥의 마루금은 마을 뒷산의 산책로를 따라
완만하게 곡선을 그리며 산허리를 돌아 산아래로 내려갑니다.↓
09:54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요방리의 SK주유소앞 23번도로(망향로)에 내려서고...
영인지맥은 좌측으로 보이는 경부고속도로 하부에서 23번도로를 건넌후에
좌측산으로 올라야 합니다.
23번도로에 횡단보도가 없어 23번 도로에 설치된 중앙분리대가
고속도로하부 부근에 뚫려 있어 위험을 무릅쓰고..
차량이 뜸한 틈을 이용해 무단 횡단하여야 하는 곳입니다.↓
23번도로를 무단횡단하여 경부고속도로밑을 빠져나온후
우측으로 경부고속도로와 나란히 가는 임도에서 좌측 산길로 오릅니다.↓
절개지를 오르면 잡목이 많고, 등로는 희미한 능선을 오릅니다.↓
좌측으로 "단국대학교창업보육센터" 건물이 보이는 능선을 오르고↓
좌측에 단국대학교 건물과 울타리를 보며 잡목능선을 오릅니다.↓
잡목능선을 지나면 시민들이 많이 다니는 산책로를 만나고...↓
10:10 사각정자와 운동시설물이 있는 143m봉에 오릅니다.
이곳에 오르면 운동나온 시민들을 많이 만나게 되고,
영인지맥은 사각정자 좌측의 산책로를 따라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합니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산책로가 영인지맥 마루금과 함께 갑니다.↓
10:31 삼각점이 있는 큰매산(▲142.2m)에 오릅니다.↓
큰매산(▲142.2m/평택434/1991재설)↓
큰매산을 지나면 내리막 등로를 따라 북일고등학교 후문쪽을 지나 내려가고↓
천안북일고와 우측의 아파트 사잇길의 벚꽃길을 지나고
우측의 아파트 단지내로 연결되는 길로 내려 섭니다.↓
10:45 힐스테이트 천안신부아파트 단지내에서 정문을 빠져 나가고
정문앞에서 도로변에 정차중인 택시를 타게 됩니다.↓
10:58 아산시 음봉면 산동리 오성LST정문앞에서 택시에서 내립니다.
정문을 지나 경비실 뒷편에 산으로 오르는 등로가 있습니다.↓
오성LST정문앞 경비실 뒷편의 등산로 입구로 오릅니다.↓
경비실뒤로 오르면 잠시 잡목있는 곳을 지나면 좋은 등로를 만나고
능선에 올라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11:08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마정리에 속하는 미륵산(185.7m)에 오릅니다.
영인지맥은 미륵산에서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가게 되는데.., 잠시 쉬어갑니다.↓
미륵산 아래로 보이는 마정저수지와 멀리 성환읍쪽 풍경↓
미륵산에서 간식을 먹으며 휴식후에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안부를 지나고, 다시 완만하게 능선을 따라 오릅니다.↓
11:29 능선 우측으로 "충장사" 건물이 보이는 곳을 지나고..↓
충장사가 있는 안부를 지나면 용와산 오르막 등로가 이어진다.↓
급경사의 등로를 올라선후 만나는 무명봉 우측으로 가야 용와산이다.↓
11:43 표지판과 삼각점이 있는 용와산(▲238.6m) 정상에 도착한다.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마정리와 아산시 음봉면 월랑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영인산, 금산, 국사봉, 연암산,과 이어지는 능선에 있으며
동쪽으로 마정산업단지와 천안제4산업단지, 천안제2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지방도 624호선이 지나며, 서쪽에 경부고속철도가 지나는 용와터널이 있다.
용와산 정상부의 평탄면을 에워싸면서 축조된 테뫼식 토축산성인 용와산성이
있었으며, 둘레가 약300m에 이르는 성벽의 흔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남아 있다.
그러나 축조 경위나 목적, 그 시기등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한다.
(디지털아산문화대전인용)↓
용와산 삼각점↓
용와산 정상부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바위가 듬성듬성 보이는 능선을 지나고...↓
진달래꽃이 활짝 피어 있는 넓은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11:55 안부에서 잠깐 오르면 큰 바위가 하나 있는 135m의 무명봉에 닿고,
이 무명봉을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급휘어져 내려가야 합니다.(독도주의)↓
무명봉 135m봉을 지나면 급좌측으로 내려가야할 등로풍경↓
135m봉에서 내려가면 밭을 만나고, 밭가장자리로 나가면
2차선의 차도가 지나는 쌍용고개에 닿게 됩니다.↓
12:03 아산시 음봉면 월랑1리 "월암로" 2차선도로가 지나는 쌍용고개
지맥은 도로를 건너 우측으로 진행해야되지만....
좌측으로 이동하여 우측으로 들어가는 임도를 따라가는게 좋습니다.↓
우리가 간 등로는 등로를 건넌후에 잡목이 많은 구릉지를 지나고..↓
12:05 묘지와 그 뒤쪽으로 임도가 보이는 곳에 닿습니다.
구릉지대를 지나지 않고...
도로에서 좌측으로 이동후 우측임도를 따르면 쉽게 이곳에 도착하게 됩니다.
뒤쪽으로 보이는 능선을 올라야 하는데.. 임도를 따르면 공장의 울타리가
가로 막고 있어 통과할수 없어 임도 좌측으로 보이는 배밭을 지나
공장의 울타리 밑으로 우회를 해야 합니다...↓
수산씨에스엠 이란 회사의 울타리 밑을 우회하는 곳은
등로도 희미하고, 잡목이 많아 지나기에 어렵습니다.↓
그물망으로 울타리를 쳐놓은 밖으로 밭을 지나고...↓
12:21 그물망 울타리 밭끝에서 산으로 오르는 등로를 만납니다.↓
희미한 등로를 따라 가파르게 비탈을 오르고...↓
12:36 능선에 올라서 뚜렷한 등로를 따라 오릅니다.↓
12:43 쉼터가 조성되어 있는 251.2m봉에 오릅니다.
많은 시민들이 연암산과 연계하여 오르는 산인듯...↓
12:46 251.2m봉에서 우측으로 완만하게 능선을 3분쯤 진행하면
쉼터가 조성되어 있는 연암산 갈림길에 닿습니다.
직진은 아산시 음봉면 동암리 방향이고,
연암산은 우측으로 꺽어져 내려갔다가 다시 오르게 됩니다.↓
연암산 오르는 등로↓
연암산 오르는 급경사 등로를 오르면 먼저 봉수대터가 반기고..↓
우측으로 벚꽃나무 뒤로 연암정이 보입니다.↓
연암정 육각정자↓
연암정에서 바라본 아산시 둔포면 풍경↓
13:01 연암정 좌측에 있는 봉수대 풍경..↓
충남 아산시 음봉면 연암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는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며 2000년 7월 아산시에서 정비및 복원하였다.
석축으로 된 지름20m의 타원형 방화벽 내부에 5기의 불을 피우는 시설인
연조가 세워져 있는데, 제5횃불의 직봉으로 전남 순천에서 시작하여 남해안을 따라
목포로 가서 해안을 따라 군산 옥구에 이른다. 여기에서 다시 내륙으로 들어와
부여, 공주 쌍령산, 천안 태학산, 아산 연암산, 직산현 망해산으로 이어지고
최종 목적지는 한양 목멱산으로 하였다.
연암산 봉수대는 왜구가 남해안을 침입했을대 가장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었다.↓
13:09 연암산 봉수대에서 완만한 능선을 따라
약7분정도 이동하면 연암산(▲294m/삼각점 평택444)정상에 도착합니다.
연암산(燕巖山)은 아산시 음봉면 소동리.동암리.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에 제비바위가 있으며, 돌로 쌓은 성 210간이 남아 있다고 한다.
옛날 음봉 땅에 부모를 오랑캐에게 잃은 한 처녀가 살았다.
그녀는 이곳을 지키는 장수와 사랑에 빠졌는데, 오랑캐가 다시 쳐들어오자
그 장수도 오랑캐와 싸우다가 전사하고 말았다. 처녀는 부모와 정인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오랑캐 주둔부대에 나아가 적장의 침실봉사을 자원하였다.
마침내 적장을 암살하였으나 처녀도 역시 살해되고 말았다.
적이 물러간 후 마을에서는 그처녀와 정인을 합장해 주었는데, 그 무덤에서
제비 한 쌍이 나와 이바위에 둥지를 틀었으므로 그 바위를 제비바위라 부르게
되었으며, 산 이름도 연암산이 되었다고 한다.(네이버 백과글 인용)↓
연암산 정상에서↓
영인지맥 산행중 연암산에서↓
연암산을 지나면 넓은 임도를 따라 고도를 낮추며 내려갑니다.↓
13:18 임도를 내려오다가 임도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직진의 산길로 지맥을 이어갑니다.↓
무명봉을 지나 진한 분홍빛의 진달래꽃 활짝피어 있는 등로를 내려가고↓
13:26 약165m의 무명봉의 삼거리에서 좌측 등로로 내려가는게 좋습니다.
우측으로 가도 되지만 조금 먼거리를 돌아야 합니다.↓
좌측등로를 내려서면 동암저수지가 보이고...
절개지의 날등을 따라 진행하다가 우측으로 꺽어져 도로로 내려갑니다.↓
13:31 절개지에서 우측으로 내려오면 만나게 되는 "연암산로 2차선 도로"
철망울타리가 터져 있는 곳을 지나 승용차 뒤쪽의 밭을 지나 산으로 들어서면
임도를 만나고,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산허리를 돌아가게 됩니다.↓
연암산로 2차선 차도를 건너 밭을 지나면 만나는 임도..
능선으로 오르지 말고, 임도 따라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3:36 임도를 따라 약3분쯤 가면 우측으로 휘어져 올라가고
파인디엔씨 공장의 철망울타리가 보이는 능선에 닿습니다.↓
철망울타리를 따라 내려가면 넓은 교회묘지를 만나고...
묘지 앞쪽 멀리 "둔덕산"이 보입니다.
영인지맥은 이곳 묘지의 우측으로 진행하여 43번 국도를 건너
둔덕산으로 오르게 됩니다.↓
묘지 우측으로 내려서면 아카시아나무가 많은 능선을 올라
좌측으로 휘어지며 43번 도로를 따라 절개지 날등 능선을 내려갑니다.↓
절개지 날등능선을 내려가면 43번 국도와 그위에 만들어진
송촌생태통로가 보이고,..영인지맥은 생태통로를 건너 절개지를 오르게 됩니다.↓
13:50 43번 국도위의 "송촌생태통로"위를 지나고...
절개지를 올라가 능선에 닿게 됩니다.↓
생태통로를 지나 절개지를 오르면 능선으로 오르는 계단을 만나고↓
계단을 오르며 우측으로 바라본 43번 국도와 생태통로,
연암산쪽으로 이어지는 영인지맥 마루금↓
절개지위의 계단을 다오르면 능선에 닿고,
오른쪽으로 휘어져 능선의 등로를 따라 둔덕산으로 향합니다.↓
14:08 둔덕산(226.2m)정상부 풍경...
故 한현우님의 "둔덕산" 표지와 몇개의 시그널이 보이네요
산모양이 가운데가 볼록하여 둔덕처럼 보인다하여 불리어지는 산으로
매곡천의 발원지이기도 하며, 매곡천은 곡교천과 합류한다.↓
둔덕산을 지나면 고도를 낮추며 내려가고...↓
둔덕산 내리막 등로 우측으로 보이는 음봉면 원남리와 둔포면쪽 풍경↓
등로 아래로 45번 도로의 어르목터널위를 지나고...
앞쪽으로 보이는 송전탑 뒤의 158.1m봉으로 오릅니다.↓
14:28 오늘 산행의 마지막 봉인 158.1m봉에 오르고...
158m봉을 지나면 어르목고개까지는 내리막 등로입니다.↓
내리막 능선 좌측으로는 태산LCD 회사의 울타리가 막고 있어
능선 우측의 등로를 따라 어르목고개로 내려갑니다.
어르목고개 건너편으로 다음구간에 오르게 될 국사봉으로
오르는 영인지맥 마루금이 보이네요↓
산길에서 내려와 음봉면로 2차선도로에 내려서면
도로건너편으로 菜氏 묘지 안내석이 보이고
그 앞의 임도를 따라 국사봉으로 오르게 될 다음구간 들머리입니다.↓
14:37 어르목고갯 마루에 도착합니다.
어르목 고개에서 영인지맥 산행을 마치고, 평택으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고개넘어 "삼거리 입구" 버스 정류장으로 향합니다.↓
어르목 고갯마루에서 삼거리 입구 정류장쪽으로 바라본 풍경...
승용차가 있는 곳이 버스정류장이고, 그 좌측이 삼표산업 아산공장 입니다.↓
어르목고개를 넘어 약1분쯤 내려가면
결빙지역 음봉면 삼거리(음봉고개)표지판을 만나고...↓
14:40 아산시 음봉면 원남리 삼거리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영인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칩니다.↓
♥
삼거리 입구 정류장 표지판만 달랑 서있는 버스정류장에 도착하고
이곳을 지나는 버스인 240번, 500번, 501번의 도착시간을 알수가 없어 답답하였는데
아래쪽에서 500번 버스가 올라오고 있네요
이곳을 지나는 240번 버스는 100분간격, 500번 버스는 90분 간격,
501번 버스는 280분간격인데...얼마나 반가운지 혹 안서고 그냥 지나칠까봐
막..손을 흔들어 버스를 세우고 얼른 버스에 탑승하여 평택역으로 향합니다.
만약 버스가 지나갔다면 햇볕과 비바람을 피할수도 없는 도로변에서 1시간 이상을
기다렸을듯한 힘들었을 시간을 피할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영인지맥 마루금에 공장과 아파트와 도로로 변해있는 구간을 걷지 않고,
차량으로 통과하기도 하였지만 무사히 영인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칠수 있어
총2구간으로 영인지맥을 종주 할수 있을것 같아 다행입니다.
오늘 함께 했던 위치로님과 다음 구간도 무사히 종주할수 있기를 바램해 봅니다.
'금북(호서)정맥상 지맥 > 영인지맥(2021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인지맥2구간(어르목고개-국사봉-금산-배티고개-영인산-입암산-공세리성당)산행 (0) | 2021.04.07 |
---|---|
영인지맥(靈仁枝脈)이란?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