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정맥 산행(2007~2014)/낙남정맥(2012완)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산행

by 山頂 2020. 6. 10.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산행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향산-1.75-미산령-2.0-오곡재

▣ 산행거리 : 13.15km

▣ 산행시간 : 5시간50분(11:40~17:30)

▣ 산행참여 : 뫼솔낙남2기팀 29명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산행지도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산행지도

 

산행메모

 

전국적으로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심해 농부들의 마음을 애타게 하고 있다는

뉴스가 연일 나온다. 그들의 마음을 위로라도 할만큼의 비가 오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남부 지방에는 조금의 비가 내렸다는 소식이다

산행을 하는 사람들은 비가 오면 곤혹스럽기에 산행하는 날에는 비가 안오길

바람하고는 하는데... 산행목적지에 다다를 즈음에는 간간히 이슬비가 뿌려

심란하기 까지 했는데 산행할 때는 날씨가 잔뜩 흐려 있기만 하다.

사당에서 6시50분경에 출발한 버스가 산행들머리인 한치고개에

11시 35분경에 내려 놓는다.

마산시와 함안군의 경계에 있는 한티재는 한치재 또는 봉곡리 고개라고도 하는데..

고갯마루에는 진고개 휴게소가 있습니다.

79번 국도가 지나는 한티재는 해발 150m라고 합니다

들머리 입구에는 이발실장군태역 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산행 들머리는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965-5 번지라고 합니다...

11시40분경 들머리를 출발합니다

한치고개 들머리에 있는 이정표입니다.

이곳에서 여항산 까지는 9.1km를 가야 합니다.

한치고개에서

한치고개에서는 풀이 우거진 밭가장자리를 따라 가다가 숲으로 들어갑니다

숲으로 들어가기전 차량에서 내렸던 진고개 휴게소의 모습을 봅니다

숲으로 들어서면 330m봉까지는 급경사를 약15분가량 오릅니다

330m봉 정상부의 모습입니다

330m봉을 지나고 나면 잠시 내리막길입니다

이정표가 있는 봉곡 갈림길입니다.

이곳을 지나면서 부터는 봉화산 갈림길까지는 가파른 오르막입니다

커다란 바위가 여기저기 놓여 있는 오르막길을 올라갑니다.

20~30명은 족히 앉을것 같은 넓은 마다아위를 지납니다.

날은 흐려 있지만 기온과 습도가 높아 땀이 흐르기 시작합니다..

여러가지를 뻣은 커다란 소나무를 지나고도 오르막은 계속 이어집니다.

급경사여서 허리를 잔뜩 구부리고 경사길을 올라가는데

걸음을 옮길적 마다 모자 챙을 타고 흘러내리는 땀방울이 땅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네요

초반부터 땀을 너무 많이 흘러내린다...

옷이 흠뻑 젖고, 숨이 턱에 까지 차오를 즈음에

낙남정맥 마루금에서 벗어나 있는 봉화산 갈림길 마루턱에 닿습니다.

이곳에서 부터 봉화산 까지는 0.9km 대부분 힘겹게 오른 탓인지...

봉화산을 다녀오는것은 단념을 합니다

봉화산 갈림길에서 물한모금 마시고 그리고 인증샷을 한후 서북산쪽으로 향합니다

봉화산 갈림길을 지나면 등로는 좌측으로 꺽이며 잠시 완만하게 진행됩니다

봉화산 갈림길을 지나 완만한 등로를 조금 진행하면 해발 649.2m의 대부산 정상에 닿습니다.

나무 널판지에 대부산 정상표지판과 작은 헬기장이 그리고 삼각점 이 있습니다

대부산 정상에서 인증샷..

대부산에서..

 

산행을 하는 동안 운무가 잔뜩 시야를 덮고 있어서 조망은 할수가 없습니다..

편안하고 완만한 등로를 이어가면 603m봉을 지납니다

603m봉을 지나면 좌측 내리막 길로 내려가야 합니다.

좌측은 평지산쪽으로 가는 등로입니다

가파른 내리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내리막 길은 임도가 나오는 곳까지 이어집니다

내리막 등로 좌측으로 조망하기 좋은 바위가 보입니다...

그러나 운무로 조망을 할수가 없네요

구름을 잔뜩 머리에 이고 있는 뿌옇게 보이는 산이 서북산 입니다

경사길을 내려서면 넓은 임도길이 나타납니다..

이곳부터는 편안한 산행이 이어집니다

임도길에서 지나온 대부산쪽을 조망해 봅니다.

송전탑 뒤쪽인 대부산쪽은 뿌옇습니다

임도옆으로 산딸기가 익어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아직은 덜 익은것이 많치만 새콤달콤한 맛에 몇개를 따먹습니다.

임도 앞쪽으로 서북산이 조망될터인데..오늘은 운무가 앞을 막고 있네요

엉겅퀴와 인동초등...들꽃이 임도 옆으로 많이 피어 있습니다

임도가 갈리지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올라야 서북산으로 바로 올라갑니다

좌측 서북산쪽으로 오르는 갈림길 임도는 초입은 굉장히 거치른 길입니다

거치른 임도를 다오르고 나면 등로 좌측에 잣나무를 심어놓은 산길을 걷습니다.

잣나무 재배지를 지나 서북산쪽이 운무속에 흐릿하게 보이는듯 합니다

창원 진북면 영학리와 함안 여항면 주동리를 이어주는 감재고개를 지납니다

감재고개의 이정표..감재고개에서 서북산까지 0.9km는 급경사 오르막 길입니다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산행1

blog.daum.net/rnrdudthd/5982823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 1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1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산행2

blog.daum.net/rnrdudthd/5982824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2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2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산행3

blog.daum.net/rnrdudthd/5982825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3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3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

낙남정맥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산행4

blog.daum.net/rnrdudthd/5982826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낙남정맥 제7구간(한치-대부산-서북산-여항산-미산령-오곡재 ) 산행4 ▣ 산행일시 : 2012.06.09(토) 날씨 : 흐린뒤맑음 ▣ 산행구간 : 한치-2.1-대부산-3.5-서북산-3.8-여항산-1.75-미산령-2.0-오곡재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