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둘레길/경기 평화누리길(2019완)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트래킹

山頂 2019. 4. 2. 20:06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트레킹 

 

♧ 트래킹 일시 : 2019년 04월2일.화요일.  날씨 : 맑음
♧ 트래킹 참여 : 나홀로

♧ 트래킹 구간 : 숭의전지→당포성입구→주상절리→임진교→허브빌리지→군남홍수조절지

♧ 트래킹거리 : 18.15km

♧ 트래킹시간 : 4시간00분(09:33~13:33)

♧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트래킹 기록

♧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트랙

평화누리길11코스(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산정.gpx
0.10MB

 

♧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개념도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숭의전지-군남홍수조절지)트래킹사진

 

오늘 걷게될 평화누리길11코스 임진적벽길은 고려역사가 숨 쉬는

숭의전지에서 시작하여 임진강 중상류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형의

주상절리의 절경으로 이어지는 임진강변 길을 걷게 됩니다

가을에는 갈대길이 조성 되겠지만.. 이제 막 돋아나기 시작하는 봄의 새싹과 

꽃들을 보면서 임진교를 건너 두루미 테마파크가 있는 군남 홍수조절지 까지

걷게 됩니다. 평화누리길 11코스가 시작되는 숭의전지에는 아내가 승용차로

 태워다 주었고, 트래키을 마치는 시간에 군남홍수조절지로 픽업하러 와 주어

편안하게 임진적벽길 트래킹을 마칠수 있었습니다.

09:30   숭의전지 입구의 주차장에 도착합니다.

 아내는 어수정에서 약수를 병에 담고...

 나는 트래킹 채비를 하고 숭의전으로 오릅니다.

숭의전은 지난 구간에 트래킹을 하면서 충분히 답사 하였기에

오늘은 밖에서 사진 한장 찍고 트래킹에 나섭니다. 

 숭의전을 지나면 평화누리길11코스(임진적벽길)시작점에 닿습니다.

스탬프용지에다가 스탬프를 찍고 트래킹에 나섭니다. 

 평화누리길11코스 시작점을 지나 돌계단을 오르다가

뒤돌아본 숭의전 풍경  

 돌계단을 올라서면 산능선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능선을 오르내리며 지납니다.

우측 나무사이로는 임진강이 조망되네요

 산능선을 따라 나무계단이 이어지는 숭의전 둘레길을 따라 갑니다.

 능선 우측 아래로 보이는 임진강 풍경

 능선을 내려서면 민가를 지나고

 도로옆에 있는 왕순례의 묘지에 닿습니다.

왕순례는 고려 제8대 현종의 먼 후손으로 본명은 왕지우 이고.

초대 숭의전사를 지낸 분이다.

  왕순례의 묘지를 지나면 도로에 닿고

평화누리길은 도로를 따라 삼화교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도로 우측으로 보이는 임진강과 지나온 능선 풍경

 임진강을 가로 지르는 삼화교 풍경

 아미교를 건너고

10:00    아미교를 건너서 조금 더 진행하면 372번도로와 375번도로가 

만나는 삼화교 입구의 교차로에 닿습니다.

교차로에서 삼화교는 우측으로 휘어지고 평화누리길은

 직진으로 가는 372번도로로 들어섰다가 곧바로 만나는 삼거리에서

372번 도로와 갈라져 우측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당포성 방향으로 갑니다.

  삼화교를 건너 가는 375번 도로 풍경

 평화누리길은 당포성, 임진강 주상절리 표지판이 있는 도로를 따라갑니다.

 당포성 방향으로 가면서 바라본 우측의 삼화교 풍경

 2차선 차도를 따라서 가면 '방호벽'이 있는 곳을 지나고..

 방호벽을 지나면 우측의 나무사이로 당포성이 보입니다.

 10:06   당포성 입구에 닿고...

평화누리길은 당포성으로 가지 않고 직진으로 진행합니다.

 당포성으로 오르는 도로

 당포성 입구를 지나 차도를 따라가면 도로 우측으로

연천 유엔(UN)군 화장장 시설이 있는 곳을 지나고...계속도로를 따라갑니다.

진행방향 우측으로는 감악산이 조망되네요

계속해서 도로를 따라 가면 '동이리부대앞' 버스 정류장을 지나고

10:21   동이리 부대앞 사거리에 닿고

사거리에서 우측의 전곡.적성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우측으로 휘어지는 곳에는 임진강 주상절리 안내판이 있습니다.

주상절리 방향으로 가는 길에 보이는 '동이대교' 풍경

우측으로 동이대교 가 보이고

직진의 임진강 주상절리 1km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동이리 마을을 지납니다.

연천군 미산면에 속해 있는 동이리는 본래 마전군 군내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부리(中部里), 동부리(東部里), 이동리(梨東里)를

병합하고 '동이리'라 하여 미산면에 편입되었다. 1개의 행정리 3개 반으로 구성되어있다.

금굴산(金窟山金堀山)과 임진강의 큰 여울인 밤여울(栗灘)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동부리(東部里), 큰배울 등이 있다. 큰배울은 동이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지형이 큰 돛단배 형상으로 산 안쪽의 마을이라는 뜻이 있는 지명이다.

6·25전쟁 전에는 개성 왕씨(開城 王氏) 8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었고,

마전군 때에는 군내에서 가장 으뜸이 되는 마을이었다.

동부리는 큰배울 동쪽에 있던 마을이다.

우측으로 다시 37번 국도상의 임진강을 건너는 동이대교 풍경이 보입니다.

동이대교와 그아래의 주상절리 풍경

임진강 주상절리 풍경

임진강 주상절리는 경기 연천군 미산면 일대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합수머리에서

임진강의 하류를 따라 강변 협곡에 형성된  주상절리로 마치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6500만년 전 철원, 포천, 연천 일대는 화산활동이 심했던 지역으로 용암으로 뒤덮힌

대지에 임진강이 발달하면서 침식으로 주상절리가 형성된 것이다.
임진강 주상절리 지대는 연천일대 화산활동으로 생겨난 용암유적과 함께

2015년 12월 우리나라 7번째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동이대교 부근의 주상절리를 조망하고 평화누리길은 군남홍수조절지로

향하게 되는데...여기서 부터 약2km까지는 임진강 하상을 이용하는 구간이다.

그러나 집중 호우시에는 사고 예방을 위하여 출입을 제한한다고 합니다.

 임진강 하상으로 평화누리길을 걸어 군남홍수조절지로 가면서

뒤돌아본 임진강과 동이대교 풍경 입니다. 

 임진강의 하상으로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풍경 

 점점 멀어져 가는 '동이대교'를 뒤돌아 봅니다. 

 강건너편으로 주상절리를 보면서 임진강 하상으로 평화누리길을 이어갑니다.

 임진강과 주상절리

 뒤돌아본 동이 대교

 임진강 하상을 따라 평화누리길을 이어갑니다.

강건너편으로는 위락시설(꼬모도펜션,임진각 가든)들이 보이네요 

 임진강 하상으로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임진강과 임진각 가든쪽 풍경 

 계속해서 임진강 하상으로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풍경 

 11:10   임진강 하상에서 계단을 올라서면 제방위 파고라에 닿습니다.

이곳부터는 제방위로 평화누리길을 이어갑니다. 

 제방위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직선의 임진강 제방을 따라 군남홍수조절지로 향합니다. 

 제방 좌측의 넓은 밭에서는 농부들의 분주한 모습이 보이고

 앞쪽으로 '소우물 다리' 가 보입니다.

 11:15  소우물(牛井)다리에 닿습니다.

이곳은 우정리(牛井里)에 있는 다리라 소우물 다리라 부릅니다.

우정리(牛井里)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는 리()로 임진강 옆에 큰 우물인

소우물이 있어 우정리라 하였다. 본래 마전군 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연천군 미산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길웃말(路上洞),

독재(甕峴), 서루니(雪雲里) 등이 있고, 길웃말은 322번 지방도 위에 위치한 마을이며

독재는 우렁논 옆에 있으며, 예전에 옹기를 굽던 가마터가 있었다 하고

서루니는 우정리 남쪽에 있으며, 금굴산 북쪽의 좁은 계곡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솔안으로 불리다가 설안, 설운, 서룬, 서루니로 변화했고

한자로는 설운리(雪雲里)가 되었다.

 소우물 다리를 건너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소 우물을 건너 직선의 농로를 따라 평화누리길을 이어갑니다.

  좌측으로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놀이 시설이 보이는 곳을 지납니다.

"임진물새롬센타"와 "오토캠핑장" 이라고 하네요 

 임진물샘롬센타를 지나면 우측으로 임진강위에 놓인 임진교가 보입니다. 

 임진교 닿기전에 만나는 이정목

평화누리길 11코스 시작점 숭의전과 끝지점 군남홍수조절지의 중간지점입니다.

평화누리길 게스트하우스와 무인카페 홍보판도 보이네요

 이정목을 지나면 임진물 새롬센타 오토캠핑장 종합안내판이 있는 곳을 지나고

 좌측으로 높이 솟은 임진오토캠프장 홍보 시설물도 보이네요 

 11:37   임진교 앞에 닿고

평화누리길은 다리를 건너지 않고, 임진교 아래를 직진으로 통과하여

임진강을 따라 걷게 됩니다.

임진교는 우측으로 임진강을 건너고...

평화누리길은 군남홍수조절지로 가기위해 임진교 아래를 직진으로 지납니다.

 임진교를 통과하여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풍경

 임진교를 지나서 임진강 하상을 잠시 걷고

임진강 하상에서 세멘트계단을 올라 제방위에 닿고

제방위의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계단을 오르면 포장도로를 만나고...우측으로 진행합니다.

 11:46  무등배수펌프장앞을 지나고 

 무등배수펌프장을 지나서도 계속해서 임진강변의 포장도로를 따라 갑니다.

 평화누리길 게스트하우스인 '임진강해돋이펜션' 안내판을 지나고

 평화누리길  홍보판도 만나고

 임진강 고구려 보루 숲길 안내문도 만납니다.

 평화누리길11코스 임진적벽길 아취를 지나 계단을 오르면

고구려 보루 숲길을 걷게 됩니다.

 보루숲길로 올라가는 등로 풍경

 통나무계단의 가파른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1:59   연천 무등리2보루에 닿습니다. 

임진강 일대에는 호로고루나 당포성과 같은 성 외에도 같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규모가 작은 이른바 '보루'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발견되고 있다.

연천 무등리 2보루는 연천군에 위치하는 5~7세기 대에 축조된 이와 같은

보루 유적 약10여개 중의 하나이다. 유적의 조사 결과 무등리 2보루는 

호로고루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목책을 설치하여 방어하였다가 이후,

이를 폐기하고 여기에 돌을 쌓아 올린 형태의 성벽을 조성하였음이 밝혀졌다.

성벽은 대부분 훼손된 상태로 일부 영역에서만 확인되었고, 이회에 석축 치 2기와

성내부에서 배수로 등이 조사되었다. 중요 출토 유물로는 고구려 장수의 갑옷 한벌과

그동안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사행상철기로 추정되는 철기가

출토 되었다. 사행상철기는 말의 안장 뒷부분에 고정시켜 장식하는 것으로 붉은 안료가

입혀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도 이 보루에서는 다량의 탄화곡물과 철제 슬래그 등도

출토 되었다. 출도 유물을 통해 볼 때 성의 주된 활용시기는 6세기 이후로 추정된다.

 2보루에서 바라본 임진강과 강건너 군남면 진상리쪽 풍경 

 연천 무등리 2보루 표석

 무등리 2보루 정상부 풍경

 무등리 2보루 안내판

 무등리 2보루를 지나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12:09      ×124m의 무명봉을 지나고

좌측으로 휘어져 고성산 보루로 향합니다. 

 좌측으로 휘어져 산길을 내려갑니다. 

 산에서 내려가는 앞쪽으로 멋진 건물의 알멕스랜드와

그 뒤로 멀리 군남홍수조절지도 보입니다. 

 알멕스랜드 앞을 지나고

  고성산성 보루를 향해 올라갑니다.

12:24    임도 사거리에서 산으로 오릅니다. 

 고성산성 보루로 오르는 계단길

 군용 삼각점인듯한 삼각점을 지나고.. 

12:30     고성산성 보루에 닿습니다.

 고성산 보루는 고성산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왕징면 무등리와 북삼리의 경계지점에 해당하며

동쪽으로 임진강과 그 건너편의 군남면 일대가 잘 조망된다.

유적의 남쪽으로 2km 떨어진 무등리보루군과 함께

임진강 방면을 통제하기 위해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산 정상부에 원형의 석축시설이 있고 그내부에 사각형에

가까운 함몰부가 조사되었다. 석축은 25~40cm 크기의 할석을 이용해

5~6단 정도 쌓아 올려으나 정연하지 못한 편이다.

 고성산성 보루 풍경

 고성산성 보루를 지나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을 합니다.

 고성산성에서 내려가는 길에  이정표를 만나고...

 완만한 산능선길을 따라 고도를 낮추며 능선을 오르내리며 갑니다. 

 내리막 등로 우측 나무사이로 임진강과  북삼교

그리고 멀리 군남홍수조절지가 보입니다.  

 산을 내려가 북삼교 방향으로 갑니다.

 고성산성 보루에서 내려서는 마지막 부분의 계단길...

 북삼리에 닿습니다.

연천군 왕징면 북삼리는 무등리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임진강을 접하고 있다. 본래 마전군 북면의 지역인데,

외곡리, 징파리, 애동리의 북쪽 3개 리를 병합했다 하여 북삼리라 이름 지었다.

민통선 지역에 놓여 있어 일부 지역에만 민간인이 입주해 있다.

자연마을로는 검은동굴, 둔밭(屯田), 박대울(朴垈洞), 쑥골(艾洞), 안골, 안터(內垈)

이씨터 등이 있다. 검은동굴은 방축골 북쪽에 있던 마을로, 한국전쟁 전에는

 청주 한씨(淸州韓氏)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던 곳이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둔밭은 징파도 부근에 있는 마을로 둔전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박대울은 둔밭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로 죽산 박씨가 많이 산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쑥골은 예전에 쑥이 무성히 자라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라 한다.

 북삼리 마을길을 따라 우측으로 작은 고개를 넘어 갑니다.

좌측으로 돌축대가 높이 쌓여져 있는 세멘트 포장길의 고개를 넘어갑니다.

 고갯마루를 지나 내려가면 우측으로 카페 건물들이 있고

전방아래에는 북삼리 마을의 민가들이 보입니다. 

12:54   연천 허브빌리지 앞을 지납니다....

허브빌리지는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북삼리 한탄강 유역 약 17,000평 규모에 조성된

리벤더, 로즈마리 등 다양한 허브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테마공원이다.

연천허브빌리지는 지중해 휴양지를 연상시키는 자연공간으로 꾸며져 있으며

허브를 이용한 비누, 양초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며 찜질방, 족욕 등

다양한 힐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계절별 특성에 맞는 축제와 공연 행사가 개최되며

유리온실과 허브가든, 무지개가든, 스톤가든, 화이트가든 등 8개의

테마별 가든이 조성되어 100여 가지의 허브식물이 자라고 있다.

 허브 빌리지를 지나면 '북삼교'로 연결되는 78번 도로 밑을 지나고

 둔전나루 음식점 앞의 세멘트 계단을 올라 임진강 제방둑위로 오릅니다. 

 제방둑위에 오르면 임진강 위에 놓인 북삼교가 보입니다.

 우측으로 진행하여 북삼교가 있는 78번 도로에 오르고

북삼교를 건넙니다. 

 북삼교를 건넙니다.

 북삼교를 건널때 좌측으로 보이는 군남홍수조절지

오늘 평화누리길11코스의 종착지점입니다. 

 군남 홍수조절지 풍경

 군남홍수조절지 풍경 

 북삼교를 건너면 좌측으로 군남홍수조절지로 향하는 자전거 도로가 보이고

강변으로 난 자전거 도로를 따라 군남홍수조절지로 갑니다. 

 방금 건너왔던 북삼교 풍경

 군남홍수조절지방향으로 이어지는 평화누리길 풍경

 군남 홍수조절지가 가까이에 보입니다. 

  군남 홍수조절지 앞쪽에 닿습니다.

군남댐은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에 위치한 댐으로, 한탄강 합류점 약 12km 상류의

임진강 본류에 위치하고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홍수조절 전용 단일목적댐이다

높이 26m, 길이 658m, 총저수량 7160규모에 수문 13개를 갖추고 있는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다만 주목적은 홍수조절이지만임진강 유역의 한정된

수자원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농업용수 공급의 역할도 하고 있다

군남댐은 북한이 임진강 상류에 5일댐(2001)과 황강댐(2009)을 각각 건설한 이후

임진강 유역에서 일어나는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해 3181억 원이 투입돼 

2006년 10월부터 건설이 시작됐다그러나 군남댐 공사가 진행중이던 2009

북한이 황강댐 물을 무단 방류해 경기도 연천에서 6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당초 2011년 8월 완공 예정이었으나 북한 황강댐 무단 방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완공 시기를 앞당겼고이에 2010년 6월 30일 완공돼 그해 7월 1일부터 운영되고 있다.

 

  한편군남댐은 임진강 유역 북측으로부터의 유입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접경지역 재난사고 매뉴얼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문을 개방한다.

이러한 수문 조작 시에는 관계기관 및 하류 주민에게 SMS 상황 전파 및 경보방송을

실시하여 하류 대피시간 및 대응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수문의 점진적 개방을 통한 방류랑 조절로 물이 내려가는 시간을 지체시킨다.

 임진강변에서 군남홍수조절지(군남댐)으로 향하는 데크길에 들어섭니다.

 군남 홍수조절지(군남댐) 풍경 

13:29  군남홍수조절지를 지나면 댐옆에는 두루미파크가 조성 되어 있네요 

 군남홍수조절지 두루미파크는 휴전선에서 불과 6km 떨어진 접경 지역에 위치한

군남홍수조절지는 댐 유역의 97%가 북한 땅으로, 임진강 본류의 홍수조절

능력 확보 및 북측 황강댐에 의한 불규칙한 물 흐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겨울철새인 두루미(천연기념물), 재두루미(천연기념물)

 흑두루미(천연기념물)가 매년 겨울 최대 200마리 이상 월동하는 대표적인 곳으로

 남북한 접경 지역이라는 지리적 여건과 임진강 자연환경이 만들어 낸 특수성으로 인해

수달, 고라니, 두루미, 어름치 등 각종 동식물이 서식하는 천혜의 자연 생태지역이다.

2011년 10월 준공한 군남홍수조절지 테마파크는 “두루미가 들려주는

평화와 사랑 이야기”를 주제로 스토리 텔링하였으며, 평화의 북, 소원나무,

두루미 조형물 등 다양한 이야기 시설물과 두루미 대체서식지, 어도 생태원,

생태습지 등의 우수한 환경영향 저감시설들이 조성되어 있다.

 두루미 파크를 지납니다.

두루미파크에 있는 통합기준점을 만나고

 두루미 파크에 있는 두루미에 대한 설명판

 두루미 파크와 그 뒤로 보이는 군남홍수조절지

  두루미 파크와 그 뒤로 보이는 군남홍수조절지

 두루미테마파크에 있는 안내판 

 13:33   평화누리길12코스(통일이음길)시작점앞에서

평화누리길11코스(고랑포길)트래킹을 마칩니다.

  평화누리길11코스 종착점에서 바라본 군남댐풍경

트래킹을 마치고 두루미테마파크 화장실에서 옷을 갈아입고

잠시 기다리니 고맙게도 아내가 이곳까지 승용차를 가지고 마중을 와주어서

부천 집까지 편안하게 귀가했습니다.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