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상 지맥/숭덕지맥(2022완)

숭덕지맥2구간(우산재-▲447.9m-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산행

山頂 2022. 3. 13. 20:08

숭덕지맥2구간(우산재-▲447.9m-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산행

 

♧ 산행일시 : 2022.03.12. 토, 날씨 : 오전흐리고 오후 맑음

♧ 산행참여 : 좋은사람들/27,000원

♧ 산  행 지 : 경북 상주시 외서면, 상주시 이안면

♧ 산행구간 : 997번도로-우산재-▲447.9m-범산-오봉산-비지재-국사봉-득천재-숭덕산-이안교

♧ 산행거리 : 16.58km

♧ 산행시간 : 04시간46분(09:25~14:11)

♧ 숭덕지맥2구간(우산재-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산행기록

숭덕지맥2구간(우산재-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고도표

숭덕지맥2구간(우산재-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산행트랙

숭덕2(우산재-오봉산-숭덕산-이안교)산정.gpx
0.10MB

 

숭덕지맥2구간(우산재-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주요지점 이동시간

    ※ 09:25 경북 상주시 외서면 가곡리 산65-1(997번 구도로)산행 시작 

        09:35 우산재(230m)표지석 

        10:00 407.9m/우틀 

        10:14 ▲447.9m(상주302) 

        10:39 고붓재 

        10:49 범산갈림길 

        10:53 범산(×419.4m)

        11:06 ×358.1m(전망데크) 

        11:16 고붓터갈림길안부

        11:27 오봉산 갈림길 

        11:34 오봉산(×310.7m/전망대)

        11:49 오태리갈림길 이정표(오태리우측/지맥좌측) 

        11:59 ×254.2m 

        12:06 비지재(비재로2차선도로)

        12:20 ×235m/좌틀

        12:35 국사봉(×338.9m/정상석,산불감시초소)

        13:02 득천재(2차선도로/예주1리정류장)

        13:11 박실고개(세멘트농로)

        13:32 ×215m

        13:40 숭덕산(235.7m) 

        13:51 ×204.2m(임도정점/좌틀)

        14:00 숭덕산길(포장도로 좌측) 

        14:11 3번국도 성심원버스정류장(경북 상주시 공검면 역곡리632-6)산행종료

숭덕지맥2구간(우산재-범산-오봉산-국사봉-숭덕산-이안교)산행지도

숭덕2-1
숭덕2-2
숭덕2-3

 

산행메모

 

코로나19 확진자 판정을 받고 집에서 격리중이라 숭덕지맥(崇德枝脈) 첫구간은

참석을 하지 못하고, 2주후에 시행되는 숭덕지맥2구간 산행에 참석하였다.

숭덕지맥(崇德枝脈)은 백두대간 봉황산(740.8m)과 신의터고개 중간쯤인

437.7m봉(봉황산 7.9km, 신의터고개7.6km)에서 북동쪽으로 가지를 쳐

소머리산(442m), 우산재, 범산(416.5m), 국사봉(339m), 숭덕산(236m ),

서산(192.2m), 오봉산(240m), 두리봉(249.7m), 금지봉(386.5), 군암산(280.0m)을

지나며 낙동강과 영강이 만나는 상주시 사벌면 퇴강리까지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44.3km되는 산줄기를 말하는데, 좋은사람들 산악회에서 3구간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오늘 걷게될 숭덕지맥2구간은 경북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는

우산재를 출발하여, 447.9m삼각점봉, 고붓재, 범산(×419.4m), 오봉산(×310.7m), 비지재,

국사봉(×338.9m), 득천재, 숭덕산(×235.7m)을 지나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이안교까지

약16km의 산행을 하게 되었다.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의 오전 날씨는 영상10도를 웃돌지만 하늘은 뿌옇게 흐려있다.

요즈음 경북 울진, 삼척등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에 어려움이 많다는데

밤 부터 전국적으로 비가 온다는 반가운 예보도 있기도 하지만...

대지를 흠뻑 적실만큼 내려 산불 진화와 화사한 봄의 전령을 만났으면 좋겠다. 

09:25   경북 상주시 외서면 가곡리 산65-1  우산재터널을 만들며 새롭게 뚫린 997번도로에서

예전에 우산재를 오르내리던 구997번 도로를 따라 숭덕지맥2번째 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우산재까지 버스가 올라갈수도 있는데...구도로 입구에 차단시설물이 놓여있네요

구997번도로를 따라 가면 우산재에서 오르면 만나는 약310m의 첫봉우리를 보며 오릅니다.

09:35    약10분 걸려 우산재(230m) 표지석이 있는 곳에 닿습니다.

우산재는 경북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마을에 있는 고개라 붙여진 이름이며

우산마을은 경지가 넓게 분포하는 평지에 자리한 농촌마을로  우산천이 마을을

감싸 흐르며 우산 밑이 되므로 우산리라 하였다고 한다.

우산재에서 우측 능선으로 오르는 등로의 들머리는

표지석 닿기 직전의 도로 우측의 시그널이 보이는 산비탈을 올라야 합니다.

급경사의 산비탈을 오르면 암릉이 좌측으로 보이는 곳을 지나고

09:44   해발 약310m의 무명봉에 오르고...

소나무가 있는 310m봉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310m봉에서 우측으로 잠시 내려갔던 등로는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합니다.

한고비 오르고 나면 잠시 완만한 능선을 오르는데...

우측 나무사이로는 407.9m봉을 올랐다가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게될

삼각점이 있는 447.9m봉이 오뚝하게 보입니다.

다시 가파른 오르막 등로를 올라 407.9m봉을 오릅니다.

10:00   굵은 소나무에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407.9m봉에 닿고,

숭덕지맥은 이곳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407.9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보이는 447.9m삼각점봉

봉우리가 오뚝 솟아 있어 힘이 많이 들것 같네요

407.9m봉에서 내려오면 안부에 닿는데 이정목이 있습니다.

우측으로 머티마을 가는길이고...지맥은 직진의 고부재 방향으로 오릅니다.

머티 마을은 경북 상주시 외서면 가곡리에 있는 마을로 둑(堤) 밑에 마을이 있고

들이 벌어졌다고 하여 벌티라고 불렀는데 차츰 음이 변하여 멀티가 되었다고 한다.

머티마을 갈림길을 지나면 소나무 우거진 숲길을 가파르게 오릅니다.

447.9m봉 오르는 중간즈음에서 만나는 이정목

관현리(샛마)는 우측이고...지맥은 직진으로 오릅니다.

관현리(샛마) 갈림길을 지나서도 계속해서 소나무 숲길을 가파르게 오릅니다.

10:14  삼각점이 있는 447.9m봉에 오릅니다.

삼각점 앞쪽에는 백두사랑산악회에서 붙여놓은 447.9m 산패와

삼각점 안내판도 보입니다.

447.9m삼각점(상주302)

▲447.9m봉에서 완만하게 능선을 진행하고

삼각점봉에서 약2분정도 진행하면 만나는 449.3m봉 준.희 산패

449.3m봉을 지나면 길게 내리막 등로가 이어지는데..

초반에는 소나무 숲길을 내려가고

암릉지대를 지나고...이후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10:39   쉼터의자와 이정목이 있는 '고부재' 안부에 내려섭니다.

이곳 고부재는 관현리에 살던 한 여인이 은척면의 어느 마을로 시집을 갔는데...

 이 여인의 남편이 한양으로 과거보러 갔다가 오랜 기간 돌아오지 않자

지친 이 여인이 친정을 가려하자 평소 고비간의 정이 많았던 시어머니가

친정가는 며느리를 고개 너머까지 배웅을 하는데, 홀로 돌아갈 시어머니 걱정이 앞서

산마루에서 서로가 밤새도록 배웅 해주기를 하다가 고부가 혹한으로 지친 나머지

부둥켜 안고 동사 했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고부재 안내판글)

고부재에 있는 이정표...우측은 관현리, 직진 오봉산

고부재를 지나면 범산으로 향하는 오르막 등로가 시작됩니다.

한고비 올라서면 완만한 능선의 소나무 숲을 지나고...

10:49   완만한 능선에서 고도를 높이며 오르면 이정목을 만납니다.

이정목에서 지맥은 우측 오봉산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직진으로 약150m즈음에 있는 범산(419.4m)을 다녀오려고 합니다.

10:53  그곳에 오르고 싶은산 '범산(419.4m) 준.희님 산패가 있는 곳에 닿고,

범산 정상에서 혼자 산행중이신 '홀대모' 카페지기 에이원님을 만났습니다.

반가웠습니다. 안전 산행 하시고 귀가 잘하셨겠지요. 늘 안산,즐산 하십시요

11:01   범산을 다녀온후 다시 지맥마루금에 복귀하여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 안부를 지나고...

안부를 지나 완만하게 오르막 등로를 오릅니다.

직진으로 오르던 능선이 우측으로 휘어지며 특수작물재배 지역 경계줄을 따라 오릅니다.

11:06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으나 출입을 못하게

비닐끈으로 막아 놓은 358.1m봉에 오릅니다.

전망대 우측의 358.1m봉 정점 풍경...

이곳을 지나며 좌측으로 로프가 매어져 있는 곳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358.1m 정점의 좌측으로 보이는 급경사 내리막 등로의 로프

로프가 매어져 있는 우측은 '바위손'이 바위에 붙어 있는 암릉의 절벽 입니다.

급경사 내리막 등로 한편에 '바위손'에 대한 안내판이 있는 곳을 지나고..

바위손이 있는 곳을 지나면 좌측으로 공검면 중소리의 이안천이 휘돌아 가는 풍경이 보이고

11:12   직진으로 내려가던 지맥 마루금은 급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고...

길게 매어져 있는 로프에 의지해 급경사를 내려갑니다.

11:16   고붓태 마을 갈림길 이정목이 있는 안부에 내려섭니다.

우측은 고붓태 마을 가는 길이고...지맥은 직진의 빈방고개 방향입니다.

고붓태마을은 경북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 샛마와 곡실의 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오봉산의 서쪽 아래에 있으며 고붓재 아래에 있어서 불리는 

이름이라고 하는데...빈방고개는 어딘지 알수가 없네요..?

안부를 지나면 오봉산 오르막 등로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오르막 등로에서 중소 갈림길 이정목을 지나 오르고...

계속해서 무명능선을 오르내리며 고도를 올리며 갑니다.

11:24    오봉산과 지맥이 갈라지는 안부의 삼거리에 닿습니다.

좌측으로 가면 오봉산을 가지 않고 숭덕지맥 능선을 이어갈수 있고

우측의 가파른 능선을 오르면 오봉산으로 향하게 됩니다.

직진의 가파른 등로를 오르면 로프가 매어져 있고..

오봉산 0.4km 이정목을 만납니다.

오봉산을 다녀온후 이곳에서 오태리 방향으로 진행하여

숭덕지맥 산행을 이어가면 됩니다.

오봉산 정상부를 향해 막바지에 가파르게 오릅니다.

오봉산 정상부 풍경

좌측에 전망대가 있고, 우측에 사각정자의 쉼터가 보입니다.

11:34    사각정자안에 이정표를 겸한 오봉산(310.7m) 정상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오봉산은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와 외서면 관현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정상에 오르면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의 '오태저수지'가 그림같이 펼쳐져 보인다.

오봉산은 봉우리가 다섯개여서 붙여진 이름인듯...

오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오태저수지'풍경

오태저수지는 1952년 3월말에 착공하여 1959년 5월말에 준공한

흙으로 제방을  쌓아 올린 길이680m, 높이 13.5m의 흙댐이다. 

유역면적이 1만5,040ha, 총 저수량은 521만 2,000톤으로 농업용수 공급과

낚시터로 많이 이용된다고 합니다.

저수지 좌측으로 숭덕산과 또다른 오봉산쪽이 보이고

우측멀리 천봉산쪽 풍경도 시야에 흐릿하게 들어오네요

오봉산(310.7m)정상에서

오봉산(310.7m)정상에서 다시 오봉산0.4km 이정목이 있는 지맥 능선으로 복귀하여

길게 로프가 매어져 있는 내리막 등로를 따라 안부로 내려가고...

오봉산을 오르지 않고, 좌측으로 우회하는 지맥능선상에 닿고 능선을 올라갑니다.

11:49   소나무숲의 능선을 오르면 오태리1.0km 이정목을 만나고..

숭덕지맥은 좌측의 능선 사면으로, 오태리는 우측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능선사면을 지나면 로프가 매어져 있는 능선을 오르고...

11:54   해발 240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240m무명봉을 지나면 또 다시 로프가 매어져 있는 등로를 내려가고

안부로 내려갔던 등로가 안부를 지나면 또 로프가 매어져 있는 등로를 오릅니다.

11:59   숭덕지맥 254.2m봉에 도착합니다.

쉼터의자가 있고, 쉼터의자 주위를 통나무를 이용해

사각형으로 만들어 놓았네요..

주인을 잃은듯한 물통도 보이고

254.2m봉에서 숭덕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 가게 됩니다.

12:01  254.2m봉에서 약2분쯤 내려온 등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가야합니다(길주의)

급경사의 잡목이 많은 내리막 등로를 내려오면 '비지재'를 지나는 2차선 도로가 보이고..

12:06    '비지재'에 도착합니다.

비지재는 좌측 공검면 중소리와  우측의 공검면 병암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비재로'라 불리는 2차선 차도가 지나고 있다.

도로를 건너 우측 잡목이 우거져 있는 산으로 올라갑니다.

비지재 절개지위에는 잡목이 많치만 조금더 진행하면 뚜렷한 오르막 등로를 만나고...

12:11   약190m의 무명봉을 올라선후에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좌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계속해서 고도를 높이며 오르고..

12:20   약235m의 무명봉을 지납니다.

235m봉에서 잠시 내리막 등로가 안부로 이어지는데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오르게 될 국사봉쪽 풍경이 보입니다.

안부를 지나면 소나무 우거진 국사봉 오르는 가파른 등로가 이어지고...

국사봉 오르는 중턱 전망이 터지는 곳에서 바라본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와 가야할 숭덕산 풍경

계속해서 가파른 등로를 올라갑니다.

12:35   국사봉(▲338.9m)에 도착합니다.

국사봉은 율곡리와 예주리 부곡리, 중소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공갈못에 사는 숫 황룡이 경주 안압지에 사는 암 백룡에게 장가를 갔다

장가든 황룡은 백룡을 데리고 돌아 오던중 영천의 신령못에서 잠시 쉬게 되었는데

이때 이 못에 살던 암 청룡이 공갈못 황룡에게 마음이 끌려 공갈못까지 따라와 함께

살게 되었다. 이때부터 백룡과 황룡을 사이에 두고 사랑 싸움이 잦게 되었고..

하루는 싸움이 벌어지자 황룡은 청룡을 없애려고 내려친 것이 사랑하는 아내를 죽이고

말았다. 원통한 황룡은 백룡의 시체를 국사봉에다 정성껏 장사 지냈는데 이후부터

백룡은 한해와 수해를 관장하는 신이 되었고 마을 사람들은 가뭄이나 홍수 때 제를 지내

해가 없기를 빌었다고 하며 해마다 제사를 지냈기 때문에 국사봉이 되었다고 한다.

▲338.9m삼각점(점촌26/1980복구)

삼각점이 있는 국사봉에서 완만하게 능선을 내려갑니다.

12:39   완만하게 진행하던 능선 삼거리에서

급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길주의)

우측으로 휘어져 안부로 내려가고...

안부에서 급경사 등로를 잠시 오르고...

12:45   산정상부에 국사봉(314m)정상석과 산불감시 초소가 있는 봉에 도착합니다.

국사봉(337m)정상석과 世和年豊國泰民安 제단

국사봉(337m) 정상석

국사봉(337m)정상에서

국사봉 정상에서

국사봉에서 바라본 공검면 세실지..좌측의 흐릿하게 보이는 숭덕산과 오봉산쪽 풍경

산불초소봉 좌측으로 보이는 작약산과 작약지맥 능선 그리고 우측의 숭덕산 풍경..

337m국사봉에서 경사의 내리막 등로를 내려가고...

12:48    내리막 등로 삼거리에서 좌측의 바위가 있는 곳으로 내려갑니다.(길주의)

좌측으로 휘어진 등로는 계속해서 급경사 등로를 내려가고...

급경사 등로를 지나면 잡목이 많은 완만한 등로를 진행합니다.

망개나무와 산초나무등 잡목이 많은 곳을 지나 내려가면 득천재를 지나는 도로가 보입니다.

득천재를 지나는 '공검이안길'도로에 내려서고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13:02    득천재 고갯마루에 닿습니다.

득천재는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와 율곡리를 연결하는 2차선 도로가 지나고..

좌측에 예주1리 버스정류장이 있습니다.

득천재 우측의 묘지가 있는 곳으로 숭덕지맥 능선을 오릅니다. 

묘지를 지나면 가시나무와 잡목이 우거져 있는 곳을 지나고..

이동통신신설물이 있는 무명봉을 지나고...

묘지가 있는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이동통신시설물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가는 등로

좌측으로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벽실마을이 보이고...

13:11   농로가 지나는 '벽실고개'에 내려섭니다.

13:11     벽실고개에 내려서고..

좌측의 공검면 예주리 벽실마을과, 우측의 율곡리 뒷골과

연결되는 고개로 세멘트 농로가 지나고 있다.

절개지를 오르면 밭에 설치된 울타리가 있어 진행에 불편하다.

벽실고개에서 포장 농로를 따라 우측의 율곡리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큰소나무가 있는 곳에서 좌측 산으로 오르면 된다.

산길에 들어서면 지금도 잡목이 많아 진행하기 좋치 않은 곳을 오르고

풀이 무성해지는 하절기에는 지나기가 더욱 어려울듯....

13:20   희미한 등로에 가파른 경사면을 올라서면 약172m봉에 닿고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고도를 높이며 갑니다.

172m봉을 지나면 잠시 완만하게 능선을 진행하고...

13:25    약 176m의 무명봉을 지나고

완만하게 고도를 올리며 조금씩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무명봉을 지나 안부로 내려가니 소로의 사거리를 직진으로 지나고...

안부를 지나 고도를 올리며 올라갑니다.

13:32   해발 215m의 무명봉을 오르고,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등로 좌측으로 그물망 울타리를 만나고

그물망 울타리를 따라 계속 능선을 올라갑니다.

그물망 울타리를 따라 숭덕산 오르는 능선으로 오르고....

오르막 등로 전방으로 나무에 가려져 있지만, 숭덕산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숭덕산 오르는 등로 풍경

숭덕산 직전의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율곡리와 국사봉 풍경

13:40   숭덕지맥이라는 이름을 낳게한 숭덕산(231m)에 도착합니다.

상주시 이안면 여물리 와 공검면 율곡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고령가야의 왕궁의

진산으로 알려져 있다. 주변에는 이안천 쾌재정, 남재사, 사당등 문화유적이 산재해 있다.

지맥의 이름을 낳게 한 산임에도 산세도 그리 수려하지 못한데다가 또한

뚜렷한 산의 설명을 찾을수 없어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숭덕산에서

숭덕산에서

숭덕산정상에서 직진으로 약50m정도 진행하면 만나는 지적삼각점

삼각점을 지나면 지맥 능선은 잠시 안부로 내려가고...

안부를 지나 오르막 등로를 다시 오릅니다.

봄의 전령사인 생강나무 꽃이 피어나기 시작하네요

해발 215m의 무명봉을 오르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고..

13:51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임도의 정점인 204.2m봉에 오릅니다.

숭덕지맥은 204.2m봉에서 잠시 임도를 따라 내려가다가

좌측으로 휘어져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뚜렷한 등로가 없는 낙엽이 쌓인 내리막 사면을 어렵게 내려갑니다.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의 '세일영농조합법인' 건물이 있는 곳으로 내려갑니다.

14:00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의 '세일영농조합법인' 앞의

'숭덕산길' 도로에 닿고, 지맥은 직진의 산으로 오르지만(산으로 오르는 길없음)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하여 이안교까지 갑니다.

숭덕산길을 따라 좌측으로 보이는 중부내륙고속도로 방향으로 가다가

좌측의 빈집이 있는 앞쪽에서 우측의 농로를 따라 역곡리 방향으로 갑니다.

역곡리 방향으로 가는 마을길

앞쪽에 보이는 축사앞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이안교로 갑니다.

축사앞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보이는 풍경...

정면으로는 고속도로 건너편으로 다음에 오를 서산, 오봉산이 보이고

사진의 중앙에는 3번국도에 서있는 산악회의 빨간색 버스도 보이네요.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마을을 지나 경북선 철도가 지나는 곳을 건너고

3번국도상의 산악회 버스가 있는 곳으로 향합니다.

3번국도의 지하통로를 지나서 조금더 가면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이안교'에 닿지만

산악회 버스가 3번국도위에 있기에 반사경 우측으로 3번 국도상에 오릅니다.

14:11    3번국도의 '성심원' 버스정류장이 있는 곳에서 숭덕지맥 2구간 산행을 종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