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상 지맥/계명지맥(2021완)

계명지맥2구간(솔고개-▲255.5m-신매고개-▲460.2m-성재-남산-마즈막재)

山頂 2021. 12. 18. 15:40

계명지맥2구간(솔고개-▲255.5m-신매고개-▲460.2m-성재-남산/▲636m-마즈막재)산행

 

♧ 산행일시 : 2021.12.11. 토, 날씨 : 맑음(안개및미세먼지많음)

♧ 산행참여 : 홀로

♧ 대중교통 : 갈때 - 06:30 센트럴씨티 발 충주행 고속버스

                                 08:10 충주터미날 도착(일반고속 8,000원)

                                 08:20 하이마트앞 240번 버스승차

                                 08:50 중산 정류장하차 

09:16 도보이동 솔고개 도착

                      올때 - 14:38 마즈막재 버스정류장 101번 탑승

                                15:00 터미날도착

                                15:20 충주터미날발 고속버스(8,000)탑승

                                17:10 센트럴씨티도착

♧ 산  행 지 : 충주시 안림동, 살미면,

♧ 산행구간 : 솔고개(36번도로) - ▲255.7m - 신매고개 - ▲378.4m - 발치- ▲460.2m - 채석장

                      성재(성황당) - ×613.4m - 남산(▲636m) - 마즈막재 산행종료

♧ 산행거리 : 14.9km

♧ 산행시간 : 5시간01분(09:17~14:19)

♧ 계명지맥2구간(솔고개-신매고개-남산-마즈막재)산행기록

계명지맥2구간(솔고개-남산-마즈막재)산행트랙

계명2(솔고개-마지막재)산정.gpx
0.26MB

 

계명지맥2구간(솔고개-신매고개-남산-마즈막재)주요지점 이동시간

      ※ 09:17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 솔고개 산행시작 

          09:54 ×261.5m 

          10:04 ▲255.5m 

          10:17 신매고개

          10:53 ▲378.4m 

          11:24 ×415.7m

          11:46 발치 

          12:14 ▲460.2m

          12:29 채석장 

          12:46 ×448.3m

          12:53 성재(성황당) 

          13:26 ×613.4m

          13:39 남산(▲636m) 

          14:19 마즈막재 산행종료       

계명지맥2구간(솔고개-신매고개-남산-마즈막재)산행지도

계명2-1
계명2-2
계명2-3

 

산행메모

 

2018년11월29일 새마포 산악회에서 주관하는 계명지맥 첫구간 산행을 마치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산행에 참석을 할 수 없어 계명지맥 종주를 마치지 못하였다가

약3년만에 계명지맥2구간 보충산행에 나서게 되었는데..

12월 중순의 겨울 날씨인데도 오늘은 푸근해 산행하는데 별무리가 없을듯 하다.

하지만 지독한 안개로 몇미터 앞까지만 시야가 트여, 산행중 방향감각이 떨어지고

산 위에서의 멋진 조망은 어렵겠다.

충주공용버스터미날에 08시10분쯤에 도착하여 터미널옆의 하이마트앞 정류장에서

솔고개 인근으로 가는 버스를 기다리다가 240번버스를 타고 충주시 수안보면 중산리의

중산 정류장에 08:50분즈음에 내렸는데...짙은 안개로 어디가 어딘지 분간이 되지 않아

오록스맵의 지도를 이용해 솔고개로 가기위해 정류장 건너 510번도로(중산신촌길)를 따라

중산리의 신대마을회관앞을 지난후 좌측으로 보이는 세멘트도로의 신대안길로 들어서

약25분정도를 걸으니 36번도로가 지나는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의 솔고개에 닿게 되었다.

약3년만에 찾은 솔고개는 차량은 뜸하고, 짙은 안개가 자욱하여 시야가 흐릿하네요

오늘 걷게 될 계명지맥 2구간은 솔고개를 출발하여 남산을 지나 마즈막재까지 약15km를

산행하고, 그 나머지 구간은 낼 이어서 산행하여 계명지맥을 졸업하려고 합니다.

09:17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와 내사리를 연결하는 솔고개는 36번도로가 지나고

표지석 뒤로 보이는 산으로 오르며 계명지맥 2구간 산행을 시작합니다.

솔고개 마루의 도로를 건너 절개지 옹벽 우측끝에서 산으로 올라야 하는데

산으로 오르는 등로는 희미하고..산위쪽에 파란그물망 울타리가 가로 막고 있어

산으로 오르는 것을 포기하고, 우회하여 능선에 닿으려 도로를 따라 걷습니다. 

36번도로를 따라 용천리 방향으로 진행하면 용천(윗가르내)버스 정류장을 지나고

버스정류장을 지나 약20m쯤 진행하면 우측으로 '자은" 플라스틱 금형

사출전문 회사 건물로 진입하는 '월악로' 마을길로 진입합니다.

월악로를 따라 용천리 마을로 들어서면 멀리 뒤쪽으로 계명지맥 마루금이 보입니다.

'월악로' 마을길 끝에서 과수원과 민가를 만나고

민가 아래쪽의 도로를 따라 앞쪽으로 보이는 계명지맥 마루금에 올라

좌측으로 보이는 묘지쪽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마루금에 닿으면 겨울철이라 많이 사그라들어 있는 칡넝쿨을 지나 오르면 묘지가 나오고

09:34   과수원 위쪽에 만들어진 묘지끝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파란 철망울타리가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묘지 위에서면 조망이 좋은데...오늘은 안개로 모든게 뿌옇게 보이네요

사진으로 보이는 산이 '어지리산'쯤 되는듯...

 

묘지를 지나 우측으로 휘어지면 밤나무 과수원을 지나게 되고

하절기에는 도저히 지날수 없을 정도로 잡목과 아카시아나무가

빼곡히 들어차 있는 곳을 지나 오릅니다.

09:41   아카시아나무와 잡목이 우거진 능선을 올라서면

약225m봉에 닿고, 이곳에서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22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과수원의 철망울타리를 따라 진행하고

또 과수원을 만들려고 하는지..? 벌목을 하여 놓은 능선을 지납니다.

벌목지를 지나 완만하게 능선을 진행하면

묘지위쪽으로 261.5m봉이 보이는데, 묘지를 지나 오르지 말고

묘지 전에서 좌측 능선에 오르면 좋은 등로를 만나게 됩니다.

09:54   묘지 좌측능선의 등로를 따라 오르면

등로에서 약10m 좌측에 독도님의 산패가 붙어 있는 261.5m봉에 닿습니다.

261.5m봉의 준.희님 산패

261.5m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의 등로는

많은 사람이 다닌듯 길이 반질반질 하네요

좌측으로 휘어진 등로는 안부를 지나 소나무숲길을 오르고..

09:59   소나무 숲길을 올라서면 묘지가 보이고 '밑에 길로 가십시요'라는

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만납니다.

밑에 길로 묘지를 지난후에는 좋은 등로는 우측으로 가는데

지맥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희미한 등로로 가야 합니다.

묘지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희미한 등로를 따라 잠시 고도를 낮추고

안부를 지나면 잡목과 낙엽이 쌓인 능선을 오릅니다.

10:04   삼각점이 있는 255.5m봉에 닿고, 나무가지에는

백두사랑 산악회 산패와 시그널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255.5m봉 삼각점.. 글씨는 마모되고 이끼까지 있어 잘 보이지 않네요

255.5m의 삼각점봉을 지나면 좌측으로 까만 그물망이 보이고

까만 그물망이 쳐져 있는 능선을 오르내리게 됩니다.

까만 그물망이 쳐져 있는 능선을 좌측으로 휘어져 오르고..

좌측에 까만 그물망이 있는 능선을 오르내리며 진행하면

우측에 또 다른 까만 그물망을 만나게 되고 그 사이를 지납니다.

좌,우측의 그물망 사이를 진행하면 잠시후에

좌측의 그물망은 좌측으로 휘어져 가고 우측에 그물망을 두고

능선을 오르게 됩니다.

10:14     우측에 그물망을 두고 능선을 오르면 좌측에

이동통신시설물이 있고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휘어지면 낙엽이 많이 쌓여 있는 넓은 임도를 따라 신매고개로 내려가게 됩니다.

531번 도로가 지나는 신매고개 풍경

지맥은 도로를 건너 앞쪽의 산으로 올라야 하는데

철망울타리가 있어 좌측으로 우회하여 올라야 합니다.

10:17   신매고개  우측 풍경

신매고개 좌측 풍경...

계명지맥은 좌측 절개지 철망끝에서 우측으로 오릅니다.

신매고개는 충주시 살미면 설운리와 신매리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지명의 유래는 신매리에서 가져온 듯 하다

신매리는 충주호 가까이에 자리한 농촌마을로 자연마을로

매화나무가 많았다 하여 이름붙여진 매내미, 묵은골이라 부르던 뭉골,

선돌이 있다 하여 붙여진 선돌배기가 있다.

신매고개 좌측의 절개지 철망끝에서 산으로 진입하는 곳에는

벌목을 하느라 중장비와 차량들이 보이고...산도 파헤쳐져 있어

중장비들이 드나들며 길이 생긴 곳을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벌목을 하며 중장비들이 드나들었던 길을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벌목지대 끝에 오르면 묘지를 만나고

묘지를 지나면 넓은 등로를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묘지가 일렬로 조성되어 있는 곳을 지나고...

10:29  지도상 282.8m봉이 우측으로 보이는 약265m봉에 닿고

계명지맥은 좌측으로 가지 않고, 우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약265m무명봉에서 우측으로 휘어지면 벌목지대를 오르게 되고

벌목지 끝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가게 됩니다.

벌목지 끝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급경사 등로를 오르고

오르막 등로 우측 나무사이로 살미면쪽 충주호가 살짝 보이네요

바위들이 듬성 듬성 보이는 급경사의 무명봉이 보이고..

하지만 무명봉정상 직전에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무명봉 정상 직전에 좌측 사면으로 진행할때

우측으로 보이는 바위아래 놓여진 벌통

무명봉을 좌측 사면으로 우회한 후에 또 다시 급경사의 능선을 오릅니다.

삼각점이 있는 378.4m봉으로 오르는 등로의 암릉지대를 오르고...

암릉을 우회하여 오르기도 하고

암릉지대를 지난후에 완만하게 잡목우거진 능선을 올라갑니다.

10:53   삼각점이 있는 378.4m봉에 오릅니다.

삼각점의 글씨는 알아볼수 없을 정도로 마모되어 있네요

278.4m의 삼각점봉을 지나면 마루금은 좌측으로 휘어지는데

내리막 등로에는 바위들이 많아 조심해야 합니다.

내리막 등로의 나무 사이로 지나야할 봉우리들이 보입니다.

11:05     송전탑이 있는 안부에 닿는데 잡목이 많이 있네요

송전탑을 지나면 다시 오르막 등로가 이어집니다.

바위와 잡목, 그리고 낙엽까지 있는 등로를 오르고...

완만하게 능선을 오르며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바위가 많은 능선을 가파르게 올라가고..

11:20  약410m의 무명봉에 오른후에 우측으로 휘어져 가고

11:24   지도상 해발고도 표시된 415m봉에 닿고,

415m봉에서 급우측으로 휘어져 잠시 내려갔다가 고도를 높이며 오릅니다.

잡목과 바위들이 많은 능선을 가파르게 오르고...

11:34    고사목이 있는 해발 약480m의 오르막 능선에 닿게 되는데

지맥은 직진의 발치봉(550m)방향으로 오르지 않고,

오르막 능선의 우측 사면으로 가야합니다.(독도주의)

우측사면으로 낙엽위에 산꾼들의 흔적이 희미하게 보입니다.

직진으로 오르지 않고, 우측사면을 조금 진행하면

우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좋은 등로를 만나게 됩니다.

낙엽과 작은 돌들이 많은 골이패인 등로를 따라 '발치'로 향합니다.

내리막 등로 앞쪽으로 보이는 발치를 지나 올라야할 465.3m과 ▲460.2m봉 풍경

발치로 내려가는 등로... 좌측 아래로는 주거용인듯한 건물1동이 보이네요

11:46   '발치'에 내려섭니다.

충주시 직동 발치골에서 살미면 재오개리 도선동 사이에 있는 고개로

재오개리 발티 마을 위에 있는 고개로 옛날 삼남대로로 통하는

첫고개 였다고 하나 지금은 사람의 왕래가 뜸한 고개가 되었다.

발치에서 465.3m봉으로 오르는 등로는 무척이나 가파릅니다.

낙엽까지 쌓여 있어 오르는데 자꾸 미끄러져 힘이 많이 드네요.

오르막등로 막바지에는 돌이 많은 경사지역을 오르고...

급경사의 비탈길을 오르면 465.3m봉 좌측 능선상에 오르고

우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진행하면 465.3m봉에 닿게 됩니다.

12:04   준.희님 산패가 붙어 있는 465.3m봉 풍경

465.3m봉에서 조금 진행하면 묘지가 있는 곳을 지나 내려가고..

약간 우측으로 휘어져가며 완만하게 오릅니다.

12:14    잡목이 우거져 있는 460.2m삼각점봉에 도착합니다.

잡목이 많아 조망은 없네요,

계명지맥 마루금은 급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갑니다.(독도주의)

460.2m삼각점(424재설/76.9 건설부)

460.2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내려가는 낙엽쌓인 희미한 등로

좌측으로 채석장의 중장비들이 보이는 능선을 내려갑니다.

12:29   채석장이 있는 곳에 내려섭니다.

 이곳은 충주시 직동에서 살미면 재오개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재오개재(才五介峙)'라 하며 고개의 이름은 재주 있는 아기장사가

다섯살이 되던 해 고개 혈을 끊겨 요절했다고 하여 마을이름을

재오개로 불렀으며 마을에서 고개이름을 따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다행히 작업하는 사람들은 보이지 않고

중장비는 멈춰 서 있어 산행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네요

채석장 뒷편의 산으로 오르기 위해 좌측으로 갑니다.

채석장 좌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산으로 오릅니다.

채석장위에서 산길로 들어서기전에 뒤돌아본 재오개재의

채석장과 그 뒤로 삼각점이 있는 460.2m봉 풍경

채석장 좌측으로 올라 작은 소나무들이 있는 곳에서 산으로 오릅니다.

빼곡히 들어서 있는 소나무 사이로 산꾼들의 흔적을 따라 오릅니다.

소나무숲을 지나 약간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면

시그널이 붙어 있는 지맥 마루금에 닿고

12:40   해발 약430m의 채석장이 있는 봉우리 정상부에 닿고

지맥은 급 좌측으로 휘어져 갑니다.

채석장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완만하게 오르막 등로를 오르고...

12:46   지도상 고도 표시된 448.3m봉에 닿고,

참나무에 준.희님의 산패가 붙어 있습니다.

448m봉을 지나면 성재로 내려가게 되는데...

성재 건너편으로 올라야할 남산(635.6m)이 나무사이로 보이네요

많은 힘을 쏟아야 오를것 같습니다.

잡목이 많은 내리막 능선을 따라 '성재'로 내려갑니다.

12:53    오래된 두그루의 느티나무 사이에 성황각이 있는 '성재'에 도착

제물을 차려 놓고 제를 지낼 준비를 하고 있는 두분의 여인네가 있어

양해를 구하고 사진을 찍었고...

이곳 서낭당안에는 성황지신( 城隍之神)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고 합니다.

성재는 충주시 살미면 재오개리에서 직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지금은 세멘트 포장도로가 생겼다.

성재의 성황당이 있는 곳을 지나면 세멘트포장 임도를 만나고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오릅니다.

세멘트포장임도를 따라 약2분쯤 진행하면 임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비포장 임도 삼거리에 닿고, 비포장 임도를 따라 남산으로 오릅니다.

비포장 임도는 남산 자락을 구비 구비 돌며 고도를 높이며 올라갑니다.

간간히 포장된 임도를 지나기도 하며 우측 산허리를 돌아 오릅니다.

좌측 산허리를 돌아가기도 하고...

13:07  비포장 임도를 출발하여 약13분쯤 후에 임도를 버리고 좌측 산으로 올라야 합니다.

자세히 보면 좌측에 가느다란 로프가 매어 있고, 산꾼들이 지난 흔적이 보입니다.

이곳을 지나치면 임도는 남산을 지나쳐 마즈막재로 내려가게 됩니다.(독도주의)

임도에서 산길에 들어서면 희미한 등로가 보이는데..

낙엽도 쌓여 있고..산꾼들이 많이 지나지 않은듯 합니다.

직진으로 바위가 많은 암릉지대를 만나게 되어

살짝 우회하여 암릉지대 위로 오르고...

계속해서 급경사의 낙엽이 쌓여 미끄러운 산비탈을 오릅니다.

  산비탈에 낙엽이 쌓여 많은 힘을 쏟아가며 약17분 정도 올라서면

사유지로 출입을 금한다는 안내판이 있는 무명봉 능선에 닿습니다.

이후 능선을 따라 남산을 오르게 되어 조금은 편안해지네요.

13:26   임도에서 산길에 들어서 비탈길을 약19분 걸려 오르니

지도상 해발 고도 표시된 613.4m봉에 닿습니다. 

613.4m봉에서 좌측으로 휘어져 약4분쯤 오르면 충주 남산성 성벽이 보이는 곳에 닿습니다.

이곳 충주산성은 몽고군이 침입했을때 몽고병을 물리친 곳으로 추정되며

고종 40년(1253년)9월 몽고가 제4차 침입을 감행하여 충주산성을 공격하자 금당협에

매복하여 몽고군을 공격하여 승리 하였고 같은해 12월에는 포위당한지 70여일에 군량이

다하고 사기가 저하되자 방호별감, 승장 김윤후가 전군과 관노까지 격려하여 사력을

다해 싸워 적을 격퇴하였다고 하며 다음해 2월에 김윤후를 감문위섭상장군으로 삼았고

4월에는 충주를 승격하여 국원경으로 하였다고 한다.

이 산성은 속칭 남산이라고 불리는 금봉산 정상을 둘러싼 석축산성으로

전설에 의하면 삼한시대에 마고선녀가 7일만에 쌓았다고 하여 '마고성' 이라고도 한다.

거리상의 차는 있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충주목 고석조에 보이는 동악성(桐岳城)일

가능성도 있다. 6세기 중엽 이후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둘레가 1,120m, 높이5~7m이며

4곳에 성문이 있다. 동문은 특수한 현문식 구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출토된

유물로 미루어보아 사용시기는 신라시대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차적으로 산성에 대한 복원.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충주의 대표적인

성터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충주산성 안내판 글 인용)

높이 쌓여 있는 성벽... 성벽을 오르면 남문터가 있는데...

성벽을 넘기 위해 좌측으로 진행하여 오릅니다.

13:31   성벽 안으로 들어서면 남산성 기념물 제31호인 남문터에 닿습니다.

무너진 성돌을 수습하여 2018~2019년에 복원을 하였다고 합니다.

남문터에서 바라본 지나온 계명지맥 마루금과 백두대간의 대미산 풍경

남문터에서 성곽위에 만들어진 산책로를 따라 남산으로 향합니다.

남산 직전에 만나는 돌탑들

남산 정상부 풍경...

13:39   남산(636m)정상에 도착합니다

이곳 남산은 충주시 살미면 안림동과 직동및 목벌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 모양이 봉화이 날개를 드리운 것과 같아 금봉산(錦鳳山)이라고도 하며

산정상부에는 일명 남산성이라고 부르는 성터및 성벽이 있으며,

금봉산성, 마고산성, 혹은 충주산성 이라고도 합니다.

남산(636m)의 1등삼각점(충주11/1979재설)

남산 정상에서 약1분쯤 내려오면 서문터에 닿고

계명지맥은 우측 마즈막재2.2km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서문터에서 바라본 마즈막재로 내려가는 성곽 산책로..

성곽 산책로 끝지점에 북문터가 있습니다.

서문터에서 북문터로 가는 길에 바라본 계명산 풍경...

내일 다시 충주로 내려와 계명산을 올라야 할텐데..

초반에 많은 힘을 쏟아야 할듯...

북문터 풍경.

북문터에서 좌측의 성곽을 빠져나와 마즈막재로 향합니다.

남산성을 빠져 나오면 많은 등산객들이 다닌 흔적의 등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13:47  성재에서 남산 자락을 휘휘돌아 올라온 남산 임도를 만나고

이곳을 지나며 임도는 계속해서 마지막재로 내려가지만...

지맥 마루금은 임도를 건너 직진방향의 산길로 내려갑니다.

산길을 내려가면 멋진 소나무와 바위가 있는 전망좋은 곳을 지나고

로프가 매어져 있는 급경사 등로를 내려갑니다.

13:54    마지막재로 내려가는 임도를 다시 만나게 되고...

이후에는 임도를 따라 걷습니다..

주말이라 남산을 찾은 등산객들을 만나게 되네요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TBN(대전교통방송/93.5Mhz)충주중계소앞을 지나고

구불 구불 산허리를 돌아가는 임도를 계속 걷습니다.

마즈막재를 얼마남겨 두지 않은 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직진의 산길로 들어서고...

다시 임도로 내려와 '남산 등산로·임도 안내판'이 있는 남산 입구에 닿습니다.

남산 오르는 임도 입구에서 좌측의 도로를 따라 마즈막재 삼거리로 향하는데...

 '충주대몽항쟁 전승기념탑'과 내일 올라야할 계명산의 산줄기도 보이네요

마즈막재 표지석이 앞쪽으로 보이고...

충주시 안림동과 목벌동, 종민동을 연결하는 고개로 계명산과 남산이 연결되는

지점에 있어 신라시대에는 목벌(木伐)과 같은 깊은나무고개(心木峙)라 하였는데

계명산의 옛 지명인 심항산(心項山)에서 따와 심항현(心項峴)이라 불렀다

심항현을 한자로 해석하여 마수막재라 하였는데...세월이 지나면서 마즈막재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이곳개는 삼국시대부터 지금은 수몰된 남한강을 통하여

청풍, 단양, 죽령을 넘나들거나 송계리,미륵리 하늘재를 넘어 영남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이었다고 한다. 

옛날 한양에서 배를 타고 충주시 종민동 나루에서 내리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대개 충주 포도청으로 가든가 아니면 사형장으로 가게 되므로

'가기만 하면 살아오지 못한다'는 관례에 따라 마지막으로 넘는 고개라는 뜻에서

'마즈막재'라고 했다고도 하며, 또 다른 설에는 이부근에 호랑이가 많아 충주 성안

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가기만 하면 살아오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14:19    '마지막재' 버스정류장에서 계명지맥2구간 산행을 종료하고.

14:38에 마즈막재를 경유하는 101번 버스를 타고 충주터미날에 15:00에 도착하여

15:20분에 출발하는 센트럴씨티행 고속버스로 귀가를 합니다.

마즈막재 버스정류장에 있는 버스 시간표

충주터미날로 가기 위해 이곳에서 101번 버스를 타야합니다.

101번(직동~토계)이 마즈막재에 14:38에 경유하기에 산행끝난후에

배낭정리등을 하는데 약20여분의 여유가 있네요